학습이론(이론가와 이론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이론(이론가와 이론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Pavlov, Ivan Petrovich >
1.pavlov의 생미
2. 이론이 나오게 된 배경
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
3. pavlov의 이론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 무조건 자극(Unconditional Stimulus: UCS)
▶ 무조건 반응(Unconditional Response: UCR):
▶ 조건 자극(Conditional Stimulus: CS)
▶ 조건 반응(Conditional Response: CS)
2) 고전적 조건형성의 주요 측면들:
▶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의 제시순서와 시간적 관계
▶ 일반화(generalization):
▶ 변별(discrimination):
▶ 소거(extinction):
▶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 고차적 조건화(higher-order conditioning):
3) 임상적 적용:
4. pavlov이론의 적용

Jhon B. Watson
1. watson의 생미
2. watson이론이 나오게 된 배경
3. watson의 이론
(1) 환경론적 입장
(2) 정서의 조건 형성
4. watson이론의 적용과 영향력

Skinner, Burrhus Frederic
1. skinner의 생미
2. skinner의 이론이 나오게 된 배경
3. skinner의 이론
4.skinner이론의 적용 및 영향력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다시 조건 자극을 제시하게 되면 조건 반응이 다시 나타나는 것. ▶ 고차적 조건화(higher-order conditioning): 어떤 중립자극이 고전적 조건화 과정을 통하여 조건 자극이 되었 을 때, 이 조건 자극이 또 다른 중립자극과 반복적으로 연합되면 그 중립자극도 조건 반응을 유출시킬 수 있는 또 하나의 조건 자극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고차적 조건화라고 한다.
3) 임상적 적용: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은 인간행동에 대하여 많은 함의를 가지며 그리고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역조건화(counter-conditioning)이다. 만약 공포가 조건화를 통하여 습득된다면 조건화된 공포를 탈학습, 소거, 제거하는 것도 역시 가능해야 한데, 이것을 역조건화라 하며, 이것이 결국은 체계적 둔감법의 기초가 된다. 체계적 둔감법에는 세 가지의 국면이 있는데, 첫째, 불안 위계를 만드는 것이고 둘째, 환자에게 이완하는 방법을 가르치며 마지막 국면으로 환자로 하여금 깊은 이완을 해 있으면서 동시에 점차적으로 불안위계에서 보다 더 무서운 장면을 상상해 보게 하는 것이다. 둘째는 혐오치료(aversion therapy)이다. 여기서도 역조건화를 사용하지만 목적은 공포의 제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유해한 장면을 회피하게 하는데 있다. 여기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습관을 고통스러운 자극과 짝지움으로서 그것을 제거하고자 한다. 예컨대 알콜 중독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술마시기를 허용한 다음 메스꺼움을 일으키는 약물과 짝지우거나 담배를 피운 다음 메스꺼움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먹게 하는 것과 같다.
4. pavlov이론의 적용
pavlov는 조건 형성의 원리들이 다양한 여러 현상을 설명한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그는 이 원리들을 사람의 성격과 관련시켰는데, 그 이유는 개와 인간의 근본적인 차이는 흥분과 억제간의 균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흥분 성향인 사람은 지나치게 멋대로 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한편, 억제 성향인 사람은 반응의 기민성이 부족한 경향을 보인다. pavlov는 흥분과 억제의 갈등이 신경증(neurosis)의 기초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개가 원과 타원간의 변별학습을 할 때 타원이 점차로 원과 유사해짐에 따라 궁극적으로 원과 타원의 변별이 완전히 깨어지는 지점에 도달함을 발견하였다. 이때 흥분한 개들은 두 자극 모두에 반응하려 했고, 억제된 개들은 그 어느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으려고 하였다. 이런 변별 실패는 단순히 두 자극에 대하여 같은 반응을 침착하게 택하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개들은 지정대고 실험실을 떠나려고 하였으며, 보통 걱정스럽고, 좌절되고, 혼란스러운 듯이 보였다. 이런 증상들은 힘든 갈등
상황에 차한 사람들의 증상과 매우 흡사하게 보였으므로 pavlov는 이런 증상에 ‘실험신경증’ 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pavlov는 그 업적 때문에 러시아에서 대단한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새 소련 정부에 대한 그의 반응은 별로 열광적이지 않았다. 그가 ‘고등 심적 과정’을 조건 형성으로 축소시켜 이를 강조한 점은 공산주의의 유물론에 호소한 것이고, 학습의 강조는 환경결정론 이라는 공산주의 철학과 잘 어울린다.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의 적용들은 체계적 둔감화, 비만의 치료, 조건정서 - 공포의 조건형성 등이 있다. pavlov의 이론 체계는 공식 이론 체계로 되어서 논문마다 pavlov의 인용은 칼 마르크스의 인용처럼 충성에 대한 상징처럼 되었다. 다른 동구 심리학자들과 생리학자들이 pavlov의 체계에 많은 것을 첨가하였지만, 그의 기본 생각은 변치 않고 남아 있다.
Jhon B. Watson
1. watson의 생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7.02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4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