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음 정의
2. 소음세기별 실례
3. 문제제기
4.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소음관리실태 및 관리전망
6. 소음관리체계 개선방안
7. 영향예측단계
8. 소음영향검토 (공사장 소음영향조사)
9. 소음방지시설
2. 소음세기별 실례
3. 문제제기
4.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소음관리실태 및 관리전망
6. 소음관리체계 개선방안
7. 영향예측단계
8. 소음영향검토 (공사장 소음영향조사)
9. 소음방지시설
본문내용
류 및 특성
① 다공질 흡음재
- 재료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넓은 음역에서 흡음률이 증가한다.
- 밀도를 증가시켜도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과 동일한 흡음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 재료의 배후에 공기층을 유지해 두며 저주파 음역의 흡음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 특성은 고주파측(1~8KHz)의 흡음률(0.8정도) 효과가 양호하다.
- 재료는 유리면, 암면, 흡음폼 등이다.
- 주요인자는 밀도(연성,탄성), 두께, 기공률, 구조계수, 흐름저하이다.
- 소리에너지가 기계에너지인 열에너지로 소비되어 저감된다.
- 유리섬유지름은 0.5~15㎛정도이다.
② 공명형 흡음재
- 배후 공기층이 흡음의 주파수범위를 결정하는데 공기층이 크면 흡음영역은 저주파음 역으로 이동된다.
- 배후 공기층에 있는 재료의 유무와 재질은 음이 구멍으로 흐를 때 생기는 저항에 지 배되며 흡음률에 크게 영향을 준다.
- 특성은 주파수가 63~350Hz일때만 흡음률(0.1~0.95)이 높으나 특히 125Hz일때 0.4 로 제일 높다.
- 재료는 유공보드, 타공판 등이다.
- 소리에너지는 공동에 구멍이 뚫려 이곳에서 들어가 진동시 마찰열로 감소된다.
③ 판상 흡음재
- 판은 진동에 민감한 얇고 가벼울수록 흡음률이 높다.
- 흡음률의 최고점은 200~300Hz 정도에 있고 판 두께와 배후 공기층이 클수록 저주 파 음역으로 이동된다.
- 판 배후의 공기층에 다공질 흡음재를 부착하면 흡음률이 크게 증대되고 흡음률의 최 고점은 고주파음역으로 이동된다.
- 판 진동으로 인하여 반대로 소음을 야기시킬 경우도 있음으로 판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 특성은 저주파측(63~250Hz)일때 흡음률이 0.3~0.75이나, 고주파측(500~800Hz)은 흡음률이(0.1~0.15) 아주 낮다.
- 재료는 철판, 합판, 유리, 플라스틱판 등이다.
- 합판두께는 3~12mm정도이다.
* 소음기 : 팽창(공동)형 소음기, 공명형 소음기, 흡음형 소음기
2) 차음을 이용한 소음방지
차음 : 대기중의 소리가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 차음재 분류
① 단일벽(일체 진동벽) : 콘크리트벽, 벽돌벽, 블록벽 등.
② 이중벽(다공질 흡음재료를 충진한 벽) : 석면 슬레이트판, 목 모 시멘트 판, 베니어 판 등.
③ 샌드위치 패널 : glass wool, rock wool, 스티로폴, 우레탄, 하니캄, 합판 등.
④ 다중벽(3중벽 이상) : 단일벽을 여러 겹으로 설비.
※ 2006년 환경피해 구제기준 및 배상내역
* 일반소음 : 80dB은 1인당 13~84만원, 90dB은 30~118만원, 95dB이상 40~134만원
- 소음+진동먼지악취등 둘이상 복합되면 주된 피해원인에 의한 배상액 기준 으로 10~50% 가산
* 도로나 철도 소음 : 65dB이면 8~51만원, 75dB이면 30~84만원, 85dB이상이면 58~118만원
* 구제대상 및 소요액 : 25만명(전체인구의 0.5%), 2200억원으로 추산(05년말 기준)
* 조망, 일조, 통풍방해등 환경피해도 분쟁조정대상에 추가
① 다공질 흡음재
- 재료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넓은 음역에서 흡음률이 증가한다.
- 밀도를 증가시켜도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과 동일한 흡음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 재료의 배후에 공기층을 유지해 두며 저주파 음역의 흡음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 특성은 고주파측(1~8KHz)의 흡음률(0.8정도) 효과가 양호하다.
- 재료는 유리면, 암면, 흡음폼 등이다.
- 주요인자는 밀도(연성,탄성), 두께, 기공률, 구조계수, 흐름저하이다.
- 소리에너지가 기계에너지인 열에너지로 소비되어 저감된다.
- 유리섬유지름은 0.5~15㎛정도이다.
② 공명형 흡음재
- 배후 공기층이 흡음의 주파수범위를 결정하는데 공기층이 크면 흡음영역은 저주파음 역으로 이동된다.
- 배후 공기층에 있는 재료의 유무와 재질은 음이 구멍으로 흐를 때 생기는 저항에 지 배되며 흡음률에 크게 영향을 준다.
- 특성은 주파수가 63~350Hz일때만 흡음률(0.1~0.95)이 높으나 특히 125Hz일때 0.4 로 제일 높다.
- 재료는 유공보드, 타공판 등이다.
- 소리에너지는 공동에 구멍이 뚫려 이곳에서 들어가 진동시 마찰열로 감소된다.
③ 판상 흡음재
- 판은 진동에 민감한 얇고 가벼울수록 흡음률이 높다.
- 흡음률의 최고점은 200~300Hz 정도에 있고 판 두께와 배후 공기층이 클수록 저주 파 음역으로 이동된다.
- 판 배후의 공기층에 다공질 흡음재를 부착하면 흡음률이 크게 증대되고 흡음률의 최 고점은 고주파음역으로 이동된다.
- 판 진동으로 인하여 반대로 소음을 야기시킬 경우도 있음으로 판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 특성은 저주파측(63~250Hz)일때 흡음률이 0.3~0.75이나, 고주파측(500~800Hz)은 흡음률이(0.1~0.15) 아주 낮다.
- 재료는 철판, 합판, 유리, 플라스틱판 등이다.
- 합판두께는 3~12mm정도이다.
* 소음기 : 팽창(공동)형 소음기, 공명형 소음기, 흡음형 소음기
2) 차음을 이용한 소음방지
차음 : 대기중의 소리가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 차음재 분류
① 단일벽(일체 진동벽) : 콘크리트벽, 벽돌벽, 블록벽 등.
② 이중벽(다공질 흡음재료를 충진한 벽) : 석면 슬레이트판, 목 모 시멘트 판, 베니어 판 등.
③ 샌드위치 패널 : glass wool, rock wool, 스티로폴, 우레탄, 하니캄, 합판 등.
④ 다중벽(3중벽 이상) : 단일벽을 여러 겹으로 설비.
※ 2006년 환경피해 구제기준 및 배상내역
* 일반소음 : 80dB은 1인당 13~84만원, 90dB은 30~118만원, 95dB이상 40~134만원
- 소음+진동먼지악취등 둘이상 복합되면 주된 피해원인에 의한 배상액 기준 으로 10~50% 가산
* 도로나 철도 소음 : 65dB이면 8~51만원, 75dB이면 30~84만원, 85dB이상이면 58~118만원
* 구제대상 및 소요액 : 25만명(전체인구의 0.5%), 2200억원으로 추산(05년말 기준)
* 조망, 일조, 통풍방해등 환경피해도 분쟁조정대상에 추가
추천자료
-한국 환경 행정 문제의 부패의 원인․방지 방안-
팔당상수원-환경규제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전자파와 환경공해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환경친화적 도로건설사업을 위한 환경성평가의 개발
[소음][항공기소음][항공기][소음피해][소음대책][항공기소음 민원][소음 피해 사례]소음의 ...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정착과과제
[부영양화][부영양화의 과정][부영양화의 오염원][부영양화의 영향][부영양화의 방지 대책]부...
[지역사회간호학]환경문제(소음문제)와 해결방안
[소음][소음공해][소음 정의][소음 영향][소음 관리방안][소음공해 실태][소음공해 영향][소...
환경평가제도란
보육시설 평가 인증정책 찬성과 반대
환경영양 평가
[유아교육과 C형] 유아교육의 교수-학습원리에 대해 논하고(15점), 유아교육기관의 시설과 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