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lea - John Donne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결합되었다고 주장하여 비로소 승낙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이 흑옥의 벼룩의 체내에서 너와 나의 피가 융합되고 있으니 이는 마치 흑옥색의 현란한 성당내에서 엄숙하게 결혼식을 올리고 있는 듯 하다. 벼룩 속에 너와 나의 피가 섞여 있기 때문에 네가 이 벼룩을 없애는 것은 성당 안에서 벼룩과 나를 살해하고 너 자신도 죽이는 일이 된다. 이것이야 말로 성당모독죄, 살인, 자살이라는 삼중의 대죄를 범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피는 생명이며 영혼이라는 성서적 교리의 중요한 논리를 일종의 생략추리법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시행이 완전한 paradox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제 3연에서 이 시의 전체의 paradox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화자는 벼룩을 짓이겨 여인의 손톱이 붉게 물들게 된 것을 목격하고 그녀의 경솔한 행동을 힐책하고 있다. 벼룩의 피는 이제는 당신과 나의 피인 동시에 blood lf innocence인 것이다. 만약 죄가 있다면 당신에게 피 한 방울을 빨아 먹은 죄밖에 없지 않은가? 라고 반문함으로서 Bethell이 말하는 부분적 허위 fallacy of secundum quid를 나타내고 있다. 벼룩에게는 배 속에 가득한 혈액이지만 인간에게는 적은 한 방울의 피에 지나지 않는다는 부분 대 전체의 paradox의 기묘함을 보이고 있다. Donne은 이 시에서 한 가지 단어에서 여러 개의 뜻을 찾는 허위에 의해서 상대방의 말에 당장 대응하면서 여인을 설득한다. 일종의 수사학의 도치반복이나 점강법을 사용한 극적인 박진감을 표출함으로써 부분적 허위에 의한 paradox를 성취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7.0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