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인환자의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견인환자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견인요법의 원리

2) 견인요법의 목적

3) 견인방법

본문내용

nerve paralysis)를 일이키기 때문에 팔의 위치를 자주 조절해 줄 필요가 있다. 발목관절은 직각으로 유지되게 하고 운동시키며 cradle을 사용하여 이불에 눌리지 않도록 보호한다. 야간에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몸을 옆으로 돌리는 경우가 잇으므로 주위한다.
v) 신체청결 : 상태에 따라 세면과식사시간에만 Halter를 잠시 풀어 놓을 수 있도록 허용될 때가 있다.
vi) 침상길이 : 환자가 Halter traction 침상에 누워있으면 침상아래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기 때문에 발이 침대발치에 닿거나 무릎이 구부러져 있으면 견인효과를 상실한다.
vii) 배설 : 변비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완화제나 좌약으로 조절한다.
viii) 시야의 제한 : 시야가 제한되므로 침대머리에 거울을 달아주어 주위의 충경을 볼 수 있는 즐거움도 고려해 준다.
ix) 식사 : 식사는 Halter 때문에 저작운동의 지장을 가져온다. 특히 의치가 있으면 의치사이에 음식찌꺼기가 끼어 불결해지거나 궤양이 생기므로 매 식후 양치하도록 한다. 턱이나 치아에 이상감각이 있는 환자에게는 당분간 연식과 충분한 물을 준다.
② 두 개견인(skull traction)
i) 준비기구 : Ice-tong 두 개겸자(skull caliper set), 활차, 견인끈, 중추, S자 고리
ii) 두 개견인은 수술실에서 국소마취나 전신마취 하에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환자 상태에 따라 견인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지지된대로 머리를 삭모하고 씻는다. 그리고 caliper 삽입부는 피부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철저하게 소독한다.
iii) 의사가 skull caliper로 측두골을 찝어서 고정하고 중추의 양을 정한다.
iv) 침상머리를 높이고 체위, 견인방향 및 활차의 상태를 확인한다. 경추골절이 있으면 처음부터 충분한 견인력을 가해야 한다. 환자가 심히 고통을 느끼면 매우 조심해야 한다.
v) 거울과 독서용 책꽃이를 침대머리 적당한 위치에 달아준다.
③ 견인 중의 간호
i) 지시에 의해서 후두부와 견갑부 기타 욕창호발부위에 작은 베개나 원좌를 사용할 수 있다.
ii) 몸을 움직여서 caliper 자입부의 나사가 느슨해지거나 피부로 견인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환자의 호소(동통, 두피의 긴장감 등), 국소의 종창 및 견인구의 상태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나사를 조여 줄 필요가 있다. 나사가 빠져 긴급을 요하면 Halter traction으로 대치하기도 한다.
iii) 경추탈구나 골절이 있을 때는 상당향의 중추를 달아야 하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서 관찰한다.
iv) 관절경축이나 근력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 지시에 따라 침상에서의 기능훈련을 한다.
v) 구 팔이 부자유한 환자인 경우에 식사를 잘 도와주며 저작하기 쉽고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준다. 손을 쓸 수 있는 환자에게는 손에 쥐고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제공할 수 잇으며 국물은 빨대를 쓰게 한다.
vi) 배설을 도울 때 견인에 지장이 없도록 주의하며 통변에도 항상 유의한다.
(6) 골반견인
준비물품 : 연성콜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7.06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1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