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시조와 섹슈얼리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설시조와 섹슈얼리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사설시조의 개념과 명칭
1.1. 개념
1.2. 명칭
1) 만횡청 ․ 만횡청류
2) 장시조
3) 사설시조
2. 사설시조의 발생
2.1. 고려시대 발생설
2.2. 임진왜란 ․ 병자호란 이전 발생설
2.3. 임 ․ 병란 이후 발생설
3. 창작향유층
4. 사설시조에 나타난 여성화자와 Sexuality
4.1. 여성화자를 통해 드러난 성
4.2. 능동적인 여성

Ⅲ. 결 론

본문내용

속적이고 에로틱한 작품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Ⅱ. 본 론
1. 사설시조의 개념과 명칭
1.1. 개념
사설시조는 평시조보다 후대에 발생했고 그 평시조의 정형률을 깨고 파생한 시조의 발전적 형태이다. 그 형식은 대체로 평시조처럼 초중종 3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초중종 3단 모두 평시조보다 구절수가 늘어나는 특징을 지녔다. 3장 중 중장에 구절첨가 현상이 제일 많이 일어나고, 그 다음은 종장과 초장의 순서이다. 율격 면에서는 산문을, 내용 면에서는 산문성, 계층 면에서는 평민층들이 주류를 이룬 문학형태이다. 원용문, 사설시조의 성격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1.2. 명칭
사설시조를 시조에서 파생된 것으로 이해한 것이 지배적 경향이기 때문에 명칭도 사설시조(辭說時調)를 비롯해서 장시조(長時調) 또는 장형시조(長型(形)時調)로 불려 왔고, 시조와는 다른 형식적인 특성을 가진 문학이란 입장에서 만횡청(蔓橫淸) 또는 만횡청류(蔓橫淸類)라고 불려지기도 하는데, 주장하는 이의 견해에 따라 달리 사용되고 있다.
1) 만횡청 만횡청류
『청구영언(靑丘永言)』의 편자인 김천택(金天澤)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청구영언』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만횡청류는 시어가 음탕하고 말의 뜻이 너무 품위가 떨어져서 법으로 삼기에는 부족하나 그 유래가 이미 오래되었기에 일시에 버리기는 불가하다고 생각되어 아래에 적어둔다.
이능우는 사설시조를 시조의 범주에서 독립시켜 다른 장르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능우, 고시가논고, 선명문화사, 1966.
즉 사설시조가 평시조의 변형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조선 중기 이후부터 존속해 온 민간가요로부터 나왔으리라는 이야기다. 그는 사설시조를 시조의 일종이라 보는 견해에 반대하면서, 청구영언에서 ‘만횡청류’라 한 것이 사설시조를 가리키는 곡조명이라 하고, 사설시조를 ‘만횡청’이라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만횡청설은 이능우 외에는 주장하는 이가 없어 사실상 존재의의가 없다.
2) 장시조(長時調)
우리가 흔히 말하는 3장 6구 45자 내외의 일반적인 개념의 시조를 평시조라 부를 때 이에 상대가 되는 개념으로 평시조보다는 길이가 길어졌다는 뜻에서 나온 명칭이다.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라는 명칭은 음악형태상의 명칭이기 때문에 문학형태상의 명칭으로는 단시조 중시조 장시조라고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3) 사설시조
가람 이병기(李秉岐)에 의해 처음 쓰인 것으로 그의 논저에서 명칭에 대한 설명 없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시조는 그 창(唱)과 작(作)의 형태가 서로 다르다. 그 창의 형태로는 평시조(평거시조), 중어리시 조(중거시조), 지름시조(삼삭시조), 사설시조(농시조)의 네 가지가 있고, 그 작의 형태로는 세 가지 가 있으니,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말시조 주심)이다. 이병기, 국문학개론, 일지사, 1978
이제까지의 문학에서는 시조가 평시조를 비롯하여 엇시조와 사설시조의 3가지 형식이 있다는 가람의 주장이 그대로 통용되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2. 사설시조의 발생
사설시조가 언제 발생했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 이제까지의 견해를 보면 대체로 고려말의 발생설과,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전의 설, 양란 이후의 설로 크게 나누어진다. 그 주장을 보면 다음과 같다.
2.1. 고려시대 발생설
각 가집에 무명씨의 작품으로 되어 있고 『악학습령(樂學拾零)』에만 이정보의 작으로 되어 있는 “八萬大藏 부처님께 비이다 나와 님을 다시 나게 오소셔.”와 주씨본(周氏本) 『해동가요(海東歌謠)』에만 김수장의 작으로 되어 있는 “夏四月 첫 여드릿날에 觀燈(관등)려 臨高臺(임고대)니”의 2수에서 내용이 불교적이고, 유창한 감정과 비속적이 아닌 해학을 가졌다고 하여 이 작품들이 고려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 손진태(孫晉泰), 詩調와 詩調에 表現된 朝鮮사람, 『新民』, 1926.
하기도 했다.
황패강(黃浿江)은 그의 논문에서 고려말의 대은(大隱) 변안렬(邊安烈)(1334~1390)이 정몽주와 함께 이방원이 초청한 곳에서, 이방원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기 위해 지은 「하여가(何如歌)」에 대해 「단심가(丹心歌)」로 화답했고, 대은도 「불굴가(不屈歌)」를 지은 사실이 있음 황패강, 대은 변안렬과 블글가, 『논문집』(단국대)
을 밝혔고, 계속해서 진본(珍本)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수록되어 있는
가슴에 궁글 둥시러케 고 왼기를 눈길게 너슷너슷 와
그 궁게 그 너코 두 놈이 두 긋 마조 자바 이리로 흘근 저리로 훌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7.10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