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의 영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기의 영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아의 신체 성장
(1) 체중과 신장
(2) 머리둘레와 가슴둘레
(3) 신체 비율의 변화
(4) 체조성의 변화
(5) 뇌 성장
(6) 치아 발육
(7) 영아의 발육상태 평가
(8) 성장·발달의 결정적 시기

2. 영아의 생리발달
(1) 소화·흡수 기능
(2) 간 기능
(3) 신장 기능
(4) 영아기의 체온, 맥박, 호흡, 혈압
(5) 섭식행동 발달과정

3. 영아의 영양필요량
(1) 에너지
(2) 단백질
(3) 지방
(4) 수분
(5) 무기질
(6) 지용성 비타민
(7) 수용성 비타민

4. 우리나라 영아의 영양섭취 실태

5. 영아를 위한 각종 유즙(조제유)
(1) 우유 조제유
(2) 두유 조제유
(3) 단백질 가수분해물 조제유
(4) 특수 조제유
(5) 조제유 조유 요령
(6) 수유방법
(7) 수유 횟수와 수유량

6. 영아를 위한 보충식품(이유식)
(1) 이유실시 시 유의점
(2) 이유보충식 공급방법
(3) 보충식품의 종류
(4) 가정에서 이유식을 만드는 법
(5) 국내 시판 이유보충식품
(6) 우리나라 영아의 이유실태

7. 미숙아 영양

8. 영아의 영양관련 문제
(1) 선천성 대사 장애
(2) 영아 비만
(3) 젖병 치아우식증
(4) 감염성 질환
(5) 복통
(6) 식품 알레르기
(7) 설사
(8) 성장장애

본문내용

- 단순히 신체 외형상의 크기만을 가지고 발육상태를 평가하지 말고 기능적인 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백분위 곡선
- 영아의 신장은 50백분위수 정도인데 체중이 95백분위수를 능가한다면 비만상태를 의미
[발육지수]
비체중 = 체중/신장
카우프 지수 = 체중/신장2
뢰러 지수 = 체중/신장3×104 (신장은 cm, 체중은 g)
- 영아기에는 카우프 지수, 아동기 이후에는 뢰러 지수를 사용
- 카우프 지수 10 이하 : 체소모증 13~15 : 체중부족 15~18 : 보통
19~22 : 과체중 23 이상 : 비만
(8) 성장발달의 결정적 시기
① 증식성 세포 성장기 : 세포의 수가 늘어나는 시기
영양상태가 불량할 경우 후에 영양이 보충 되어도 회복 불가능
② 비대성 세포성장기 : 세포의 수가 늘어남과 동시에 크기가 증가하는 시기
영양상태가 불량할 경우 후에 영양공급이 되면 회복 가능
2. 영아의 생리발달
(1) 소화흡수 기능
① 입 : 생후 1년 타액 분비량 50~150ml
타액 아밀라아제, 구강 리파아제 효소 존재
② 위 : 신생아 위 용량 10~12ml → 생후 1년 200~250ml
본문의 기능 미발달로 토하기 쉬움
③ 소장 및 대장 : 영아의 장 길이 3~5m
- 지질분해 : 담즙산 분비 낮음
모유의 지방은 소화 흡수 용이
- 탄수화물 분해 : 이당류 분해효소 충분, 췌장 아밀레이즈 부족
- 단백질 분해 : 3개월까지 장점막 미성숙 → 단백질 그대로 흡수
(장점 : 면역단백질 흡수 가능
단점 : 알레르기, 궤양성 장염 유발가능)
모유에는 유사분열인자, 호르몬, 아미노당이 함유 → 장점막을 성숙시킴
◎ 출생 시 존재하는 소화효소
효 소
특 징
탄수화물
락타아제
슈크라제
말타아제
많이 존재
활성이 높아 이당류 가수분해 가능
타액 아밀라제
적은양 존재
but 영아기 소화흡수에는 충분한 양
췌장 아밀라제
생후 4~6개월까지 활성 거의 없음
그 이후에 전분 가수분해 가능
단백질
펩신
활성은 매우 낮으나 소화에 크게 제한받지 않음
트립신
키모트립신
카르복시텝티다아제
활성은 매우 낮으나 소화에 크게 제한받지 않음
레인(응유효소)
유즙속의 카제인을 파라카제인으로 변화시켜 펩신의 작용을 받도록 함
지질
구강 리파아제
출생 시 활성 매우 높아 신생아의 지질 소화에 중요
위 리파아제
신생아의 지질 소화에 중요
췌장 리파아제
출생 시 활성 매우 낮으나 1세 경에 성인 수준 도달
담즙산
간 기능 미숙으로 분비량 적어서 지질의 흡수 제한
(2) 간 기능
* 신생아의 간 기능 미숙
- 신생아 황달 발생 : 생후 2~3일 경, 생성된 빌리루빈을 간에서 처리 하지 못하여 조직과 혈액에 축적, 얼굴과 눈의 흰자위에 노랗게 변함
→ 생후 7~10일 후 회복
(3) 신장 기능
* 신생아의 신장 기능 미숙
- 크레아티닌(creatinine) 제거율: 25~30ml/min
(10대 소아의 수치(105ml/min)의 25%정도밖에 되지 않음)
- 모유는 단백질, 무기질 함량이 적어서 신상의 부담이 적음
(4) 영아기의 체온, 맥박, 호흡, 혈압
* 체온 : 신생아 체온조절기능 미흡
50일 이후 적응 가능
* 맥박 : 신생아 - 140~180회/분
영아기 - 100~140회/분
* 호흡 : 신생아의 호흡수는 성인의 2배(40~70회/분)
영아기 - 30회 정도
* 혈압 : 심장과 혈관 직경이 크고 탄력성이 커서 혈압 낮음(신생아, 미숙아)
(5) 섭식행동 발달과정
[신생아]
포유반사(rooting reflex) : 신생아의 입 주변과 볼을 건드리면 자극이 있는 쪽을 향해 움직여 먹으로고 하는 반사
[4~8개월]
머리를 가눌 수 있고, 손으로 젖병이나 엄마의 젖을 잡을 수 있음
6~8개월 경에는 혼자 앉을 수 있게 되고 음식을 손가락에 쥐고 먹을 수 있게 됨
8개월 쯤 되면 컵에 담긴 물이나 우유를 마실 수 있는 능력도 생김
[9~12개월]
엄지와 검지로 물체를 잡을 수 있음
부드러운 것은 그대로도 먹을 수 있게 됨
스스로 숟가락질을 하여 혼자 먹으려고 시도하기도 함
3. 영아의 영양필요량
(1) 에너지
* 에너지의 50%는 휴식 대사량(why? 체표면 비율이 높기 때문)
나머지는 초기에는 성장 발달에 이용
후기에는 신체 활동에 이용
* 영아의 1일 에너지 영양권장량
연령(개월)
체중(kg)
신장(cm)
에너지
kcal/kg
kcal/일
0~4
5.6
58
95
500
5~11
9.3
73
84
750
(2) 단백질
* 일생 중 필요량이 가장 높은 시기
* 타우린 : 담즙산 대사 및 wndcntlsrudrO 관여
카르니틴 : 지질ㄷ사
티로신 : 페닐케토뇨증(PKU) 있는 아이에게 공급
* 영아의 1일 단백질 영양권장량
연령(개월)
체중(kg)
체중1kg당
권장량(g/kg)
단백질 권장량
계산치(g/일)
조정치(g/일)
0~4
5.6
2.83(3.17)
13.33(17.74)
15.0(20.0)
5~11
9.3
1.90
17.67
20.0
(3) 지방
* linoleic acid : 총 섭취에너지의 4~5% 공급
linoleinc acid, EPA, DHA : 모유영양에 풍부
* 총 에너지의 4~5%를 리놀레산으로 섭취하는 것이 영아에게 최적 수준이라고 보고
* 리놀렌산, 해양식품에 풍부한 EPA, DHA : n-3 지방산으로 식품성 식품에서 섭취 가능
특히 DHA는 태아기와 영아기에 뇌와 망막의 성장발달에 필수적
(4) 수분
* 수분 손실량이 많은 이유
- 체표면으로 증발되는 수분의 양이 많기 때문
- 성인에 비해 호흡수가 많아영아가 호흡을 통해 상실하는 수분의 양이 많음
- 새로운 조직 합성에 사용하게 때무에 많은 수분 필요
- 체액의 부피 증가 때문에 많은 수분이 필요
- 뇨 농축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
* 불감수분손실(insensible water loss)
- 피부와 호흡기로 상실되는 양 60%
→ 성인의 수치인 40~50%보다 월등히 높음
* 영아의 수분 권장량
- 에너지 소비량 1kcal 당 1.5ml로 설정
(5) 무기질
[칼슘]
가장 중요
필요량도 높고 흡수율도 높음
모유 내 칼슘은 이용률이 높아 70%가 영아의 체내에 보유
(우유 칼슘의 체내 보유율은 25~30%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7.0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