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쓰리(p143) ⑧기온마쓰리(p143) ⑨분류:계절별, 통과의례등(p140,143,152,266) ⑩전통적 마쓰리의 순서(p145)
①마쓰리의 기본정신(p141,142):인간의 종교적 심성에 뿌리를 두고 신에 대한 기원과 감사
*마츠리(祭)의 유래와 목적;농사의 풍작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고대의 제의(祭儀)에서 비롯된 종교행사의 한가지로 신과 인간과의 적극적인 교류에 목적이 있다. 각 지역의 마쓰리는 기원하는 내용이나 신화적 배경, 대상신(각 지방의 수호신)의 성격은 다르지만 신을 즐겁게 해 드리고 신과 인간이 교류하며 참가자들이 기쁨을 나누며 서로의 우의를 두텁게 하려는데(공동체의식 고양) 최종적인 목표를 둔다는 점이 공통된다.
②마쓰루(p141) 신에게 봉헌하고 제사하다
*어원:마츠루(종교적 행위를 하다의 뜻),rite, ceremony, festival
의례(신앙적 측면) ,의식,식전,축제(집단적 행사)등
③마쓰리의 복장(p141) 하치마키, 핫피, 타비
④마쓰리의 역할(p148,150,153)① 해방감(일상을 벗어난 카오스와 엑스터시를 맛봄)
*사회적 기능: 평소 준비해 두었던 것을 일시에 쏟아냄으로써 생활의 활력소가 됨
②지역사회 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확인. 개개인이 속한 집단의 사회적통합과 아이덴티티의 확인기능.
*신을 즐겁게 한다는 공동목적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결속력 강화
⑤우지가미(氏神 p151) 그 지역 신사에 모셔진 신 혹은 신사 자체를 같은 뿌리를 둔 집단이란 뜻으로 우지가미라 한다.
(p153) 우지코인 자식이 우지가미인 부모를 초청해서 그 해의 안녕에 감사하고 새해 번영기원
⑥미코시(p146) 신을 모시는 제사후 행렬을 함. 신을 모신 가마(미코시, 신을 모신 작은 신전모양), 미코시 보다 큰 수레(다시. 신전모양, 악사들이 타고 춤을 추는 소년이 탐)로 행렬하며 상점등에 들러 축복함. 미코시를 매는 사람은 그 지역사람들만 멜 수 있다.
인간들이 소원을 아뢰며(기원)
⑦산자마쓰리(p143) *5월 도쿄의 산자마쓰리(三社祭);이는 매년 5월 셋째 일요일에 아사쿠사신사(淺草神社)를 중심으로 일대의 마을 사람들에 의해 대대적으로 벌어지는 도쿄의 대표적인 마쓰리. 이 지역의 세 수호신을 받든 이래로 마을이 크게 발전되었다 하여 오늘날에도 신에게 감사하며 복을 빈다. 3개의 큰 미코시가 중심이 되어 이를 따르는 100여개의 미코시가 행진.
*간다마쓰리:에도성과 이에야스집안의 수호신. 31개의 다시가 있었으나 오늘날 미코시행진
오사카 덴진마쓰리, 교토의 기온마쓰리와 함께 일본의 삼대마쓰리
*덴진(天神)마쓰리: 7월24,25일. 덴진은 헤이안시대의 스가와라미치자네의 사후 신이 된 다음의 이름. 천둥과 번개의 신, 학문의 신으로써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 됨. 신을 모신 오미코시를 배에 옮겨 싣는데 특징. 덴만구신사에서 미코시, 배를 타고, 다시 육로로 행진한다..
⑧기온마쓰리(p143)
⑨분류:계절별, 통과의례등(p140,143,p152,p266)
통과의례(p266) 오미야마이리, 시치고산, 세이진시키
연중행사(p266) 하츠모우데, 세츠분
의례 및 행사(p267) 하루마츠리, 아키마츠리, 입학, 진학, 취직등
⑩전통적 마쓰리의 순서(p145)*마쓰리의 진행순서;마쓰리의 전형적인 구조는 첫 번째로 마쓰리가 시작되면 부정을 씻기 위해 주위를 청결히 하고 제단 주위에 물을 뿌리거나, 푸른 색 나뭇가지를 흔들어(하라이) 신을 맞이할 준비를 한다(신을 맞이하기).몹의 부정을 씻기 위해 바닷물이나 강물에 들어가 몸을 씻는다(미소기)
그 다음으로 음식대접, 춤과 노래 연극등으로 신을 대접하여 즐겁게 한 뒤에(신에게 여러 가지 모양으로 환대하기).신을 모시는 제사후 행렬을 함. 신을 모신 가마(미코시, 신을 모신 작은 신전모양), 미코시 보다 큰 수레(다시. 신전모양, 악사들이 타고 춤을 추는 소년이 탐)로 행렬하며 상점등에 들러 축복함. 미코시를 매는 사람은 그 지역사람들만 멜 수 있다.
인간들이 소원을 아뢰며(기원) 다시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엄숙함보다 흥겨운 놀이로 환대한다. 이런 과정이 끝나면 신을 배웅한다(배웅하기).
*어원:마츠루(종교적 행위를 하다의 뜻),rite, ceremony, festival
의례(신앙적 측면) ,의식,식전,축제(집단적 행사)등
*하나마쓰리:신도들이 법당 앞에 모여 불상을 씻는다.
*5월 도쿄의 산자마쓰리(三社祭);이는 매년 5월 셋째 일요일에 아사쿠사신사(淺草神社)를 중심으로 일대의 마을 사람들에 의해 대대적으로 벌어지는 도쿄의 대표적인 마쓰리. 이 지역의 세 수호신을 받든 이래로 마을이 크게 발전되었다 하여 오늘날에도 신에게 감사하며 복을 빈다. 3개의 큰 미코시가 중심이 되어 이를 따르는 100여개의 미코시가 행진.
*간다마쓰리:에도성과 이에야스집안의 수호신. 31개의 다시가 있었으나 오늘날 미코시행진
오사카 덴진마쓰리, 교토의 기온마쓰리와 함께 일본의 삼대마쓰리
*기온(祇園)마쓰리;매년 7월 17일부터 24일까지 교토 시가지 중심부에서 화려하게 펼쳐지는 대규모 마쓰리이다.
868에 시작. 당시 전국에 전염병이 돌았는데 쿄토시내의 야사카신사의 수호신 스사노오미코토가 노해서라고 생각해서 스사노오신을 위해 대대적인 제사를 지냈는데 그 전통이 연중행사로 정착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짐.
약 1100년의 역사를 지닌다. 마쓰리의 절정은 17일 교토 시내를 누비는 야마보코(山)의 행렬이다. 야마보코는 각 구역의 수호신을 모시는 31대의 수레로, 이 수레들은 각 수호신의 신화를 나타내는 그림과 장식으로 정성껏 꾸며져 있다. 다시의 행렬은 수호신이 거리를 돌며 축복을 내린다는 의미.
*덴진(天神)마쓰리: 7월24,25일. 덴진은 헤이안시대의 스가와라미치자네의 사후 신이 된 다음의 이름. 천둥과 번개의 신, 학문의 신으로써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 됨. 신을 모신 오미코시를 배에 옮겨 싣는데 특징. 덴만구신사에서 미코시, 배를 타고, 다시 율로로 행진한다.
*네부타( )마쓰리;아오모리현을 중심으로 동북지방에서 8월 초에 열림. 이 마쓰리는 물과 관련이 깊은 행사로서 예전에는 칠석행사의 하나였다. 네부타는 잠을
①마쓰리의 기본정신(p141,142):인간의 종교적 심성에 뿌리를 두고 신에 대한 기원과 감사
*마츠리(祭)의 유래와 목적;농사의 풍작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고대의 제의(祭儀)에서 비롯된 종교행사의 한가지로 신과 인간과의 적극적인 교류에 목적이 있다. 각 지역의 마쓰리는 기원하는 내용이나 신화적 배경, 대상신(각 지방의 수호신)의 성격은 다르지만 신을 즐겁게 해 드리고 신과 인간이 교류하며 참가자들이 기쁨을 나누며 서로의 우의를 두텁게 하려는데(공동체의식 고양) 최종적인 목표를 둔다는 점이 공통된다.
②마쓰루(p141) 신에게 봉헌하고 제사하다
*어원:마츠루(종교적 행위를 하다의 뜻),rite, ceremony, festival
의례(신앙적 측면) ,의식,식전,축제(집단적 행사)등
③마쓰리의 복장(p141) 하치마키, 핫피, 타비
④마쓰리의 역할(p148,150,153)① 해방감(일상을 벗어난 카오스와 엑스터시를 맛봄)
*사회적 기능: 평소 준비해 두었던 것을 일시에 쏟아냄으로써 생활의 활력소가 됨
②지역사회 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확인. 개개인이 속한 집단의 사회적통합과 아이덴티티의 확인기능.
*신을 즐겁게 한다는 공동목적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결속력 강화
⑤우지가미(氏神 p151) 그 지역 신사에 모셔진 신 혹은 신사 자체를 같은 뿌리를 둔 집단이란 뜻으로 우지가미라 한다.
(p153) 우지코인 자식이 우지가미인 부모를 초청해서 그 해의 안녕에 감사하고 새해 번영기원
⑥미코시(p146) 신을 모시는 제사후 행렬을 함. 신을 모신 가마(미코시, 신을 모신 작은 신전모양), 미코시 보다 큰 수레(다시. 신전모양, 악사들이 타고 춤을 추는 소년이 탐)로 행렬하며 상점등에 들러 축복함. 미코시를 매는 사람은 그 지역사람들만 멜 수 있다.
인간들이 소원을 아뢰며(기원)
⑦산자마쓰리(p143) *5월 도쿄의 산자마쓰리(三社祭);이는 매년 5월 셋째 일요일에 아사쿠사신사(淺草神社)를 중심으로 일대의 마을 사람들에 의해 대대적으로 벌어지는 도쿄의 대표적인 마쓰리. 이 지역의 세 수호신을 받든 이래로 마을이 크게 발전되었다 하여 오늘날에도 신에게 감사하며 복을 빈다. 3개의 큰 미코시가 중심이 되어 이를 따르는 100여개의 미코시가 행진.
*간다마쓰리:에도성과 이에야스집안의 수호신. 31개의 다시가 있었으나 오늘날 미코시행진
오사카 덴진마쓰리, 교토의 기온마쓰리와 함께 일본의 삼대마쓰리
*덴진(天神)마쓰리: 7월24,25일. 덴진은 헤이안시대의 스가와라미치자네의 사후 신이 된 다음의 이름. 천둥과 번개의 신, 학문의 신으로써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 됨. 신을 모신 오미코시를 배에 옮겨 싣는데 특징. 덴만구신사에서 미코시, 배를 타고, 다시 육로로 행진한다..
⑧기온마쓰리(p143)
⑨분류:계절별, 통과의례등(p140,143,p152,p266)
통과의례(p266) 오미야마이리, 시치고산, 세이진시키
연중행사(p266) 하츠모우데, 세츠분
의례 및 행사(p267) 하루마츠리, 아키마츠리, 입학, 진학, 취직등
⑩전통적 마쓰리의 순서(p145)*마쓰리의 진행순서;마쓰리의 전형적인 구조는 첫 번째로 마쓰리가 시작되면 부정을 씻기 위해 주위를 청결히 하고 제단 주위에 물을 뿌리거나, 푸른 색 나뭇가지를 흔들어(하라이) 신을 맞이할 준비를 한다(신을 맞이하기).몹의 부정을 씻기 위해 바닷물이나 강물에 들어가 몸을 씻는다(미소기)
그 다음으로 음식대접, 춤과 노래 연극등으로 신을 대접하여 즐겁게 한 뒤에(신에게 여러 가지 모양으로 환대하기).신을 모시는 제사후 행렬을 함. 신을 모신 가마(미코시, 신을 모신 작은 신전모양), 미코시 보다 큰 수레(다시. 신전모양, 악사들이 타고 춤을 추는 소년이 탐)로 행렬하며 상점등에 들러 축복함. 미코시를 매는 사람은 그 지역사람들만 멜 수 있다.
인간들이 소원을 아뢰며(기원) 다시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엄숙함보다 흥겨운 놀이로 환대한다. 이런 과정이 끝나면 신을 배웅한다(배웅하기).
*어원:마츠루(종교적 행위를 하다의 뜻),rite, ceremony, festival
의례(신앙적 측면) ,의식,식전,축제(집단적 행사)등
*하나마쓰리:신도들이 법당 앞에 모여 불상을 씻는다.
*5월 도쿄의 산자마쓰리(三社祭);이는 매년 5월 셋째 일요일에 아사쿠사신사(淺草神社)를 중심으로 일대의 마을 사람들에 의해 대대적으로 벌어지는 도쿄의 대표적인 마쓰리. 이 지역의 세 수호신을 받든 이래로 마을이 크게 발전되었다 하여 오늘날에도 신에게 감사하며 복을 빈다. 3개의 큰 미코시가 중심이 되어 이를 따르는 100여개의 미코시가 행진.
*간다마쓰리:에도성과 이에야스집안의 수호신. 31개의 다시가 있었으나 오늘날 미코시행진
오사카 덴진마쓰리, 교토의 기온마쓰리와 함께 일본의 삼대마쓰리
*기온(祇園)마쓰리;매년 7월 17일부터 24일까지 교토 시가지 중심부에서 화려하게 펼쳐지는 대규모 마쓰리이다.
868에 시작. 당시 전국에 전염병이 돌았는데 쿄토시내의 야사카신사의 수호신 스사노오미코토가 노해서라고 생각해서 스사노오신을 위해 대대적인 제사를 지냈는데 그 전통이 연중행사로 정착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짐.
약 1100년의 역사를 지닌다. 마쓰리의 절정은 17일 교토 시내를 누비는 야마보코(山)의 행렬이다. 야마보코는 각 구역의 수호신을 모시는 31대의 수레로, 이 수레들은 각 수호신의 신화를 나타내는 그림과 장식으로 정성껏 꾸며져 있다. 다시의 행렬은 수호신이 거리를 돌며 축복을 내린다는 의미.
*덴진(天神)마쓰리: 7월24,25일. 덴진은 헤이안시대의 스가와라미치자네의 사후 신이 된 다음의 이름. 천둥과 번개의 신, 학문의 신으로써 사람들의 신앙의 대상이 됨. 신을 모신 오미코시를 배에 옮겨 싣는데 특징. 덴만구신사에서 미코시, 배를 타고, 다시 율로로 행진한다.
*네부타( )마쓰리;아오모리현을 중심으로 동북지방에서 8월 초에 열림. 이 마쓰리는 물과 관련이 깊은 행사로서 예전에는 칠석행사의 하나였다. 네부타는 잠을
추천자료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일본문화는 저질문화인가?
한국은 금후 일본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 일본대중문화
21세기와 일본문화 -와쓰지 데쓰로(和 哲郞)의 일본문화론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의 틀 - <일본의 방송문화>
일본문화를 통한 일본의 기업문화 연구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의 역사와 문화
[일본문화]일본의 식문화
현대사회와 일본문화(일본의 장례문화)
우수독후감(일본문화,일본학,대중문화론)-(오타쿠 가상 세계의 아이들)을 읽고서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를 읽고
일본대중문화 - 일본 요괴 문화
[일본문화] 일본의 주거문화 (일본 주택의 특징, 주거형태, 주거예절, 가옥의 구조 등)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의 음식문화와 음주 문화
2017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동경대 특별강좌 일본사회 일본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