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잠의 우주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잠의 우주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우주만물에 대한 위진 현학의 두가지 기본 관점

2.'지허'의 우주본체론

3.'태허'와 우주구성론

4. 장잠의 우주관의 역사적 의미와 한계

본문내용

. 장잠의 우주관의 역사적 의미와 한계
1)지허의 우주본체론적 한계
①지허를 절대적 불변의 존재로 상정->초자연적 실체로 오해될 소지 많음
②시(恃), 뢰(賴) 등 생성론 개념 다시사용->우주생성론 벗어나지 못함
③자생의 자(自) : 만물의 통일성을 전재로한 독자성/개별사물 자체만의 고립적 독자성
->이중적 의미 혼란 야기시킴
2)태허의 우주구성론적 한계
①장잠의 열자주에서 태허는 일기로 충만한 상태로 짐작됨->태허, 일기의 관계가 불분명
②허(虛) : 우주전체인 \'태허\'/우주본체인 \'지허\'->구별하기 힘듬
3)지허, 태허의 관계의 문제점
①지허와 태허는 이론적으로 구분가능 하지만 사실적 차원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움
②일기는 그 자신 이외에는 의존하지 않는 것이나 역에 의지함 ->우주본체가 일기를 주 재하는 궁극적 실체로 오인할 수 있음
4)역사적 의미
①왕필(귀무론)과 곽상(독화론)을 종합검토, 지허 개념 중심으로 비교적 질서정연한 우주 본체를 완성시킴
②태허의 우주구성론은 장재의 기본체론 구성의 계기가 됨
5)발전가능성
·지허--(절대적 불변성 강조)-------------> 주리론 발전
·태허--(기의 속성을 역동적 항상성 의미로 설정)-->주기론 발전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7.25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