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들어가는 말
<제 2 장> 朝鮮時代의 敎育
1. 朝鮮時代 敎育制度의 目的
2. 朝鮮時代 敎育制度
가. 朝鮮의 官學制度
나. 朝鮮의 私學制度
다.書堂의 役割과 機能
3. 敎育機關에 따른 敎育對象
<제 3 장> 나가는 말
<참고문헌>
<부 록 > 朝鮮時代의 科擧制度
<제 2 장> 朝鮮時代의 敎育
1. 朝鮮時代 敎育制度의 目的
2. 朝鮮時代 敎育制度
가. 朝鮮의 官學制度
나. 朝鮮의 私學制度
다.書堂의 役割과 機能
3. 敎育機關에 따른 敎育對象
<제 3 장> 나가는 말
<참고문헌>
<부 록 > 朝鮮時代의 科擧制度
본문내용
이 일정기간 수습이 끝나면 정식 관료로 채용되었다.
◈ 조선시대 무과제도
=====================
* 무과는 문과와 더불어 조선시기 양반이 주로 보던 과거로써 무관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 제도이다. 그 연원은 고려 예종 4년(1109)에 국학을 설치하면서 무학재(제7재)를 두어 일시 적으로 무학과 무업이 실시된 적은 있으나 문신들의 반대로 곧 없어졌고, 위화도 회군후 이 성계 등 신흥 무인세력에 의하여 무과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실질적인 무과제도의 실 시는 조선왕조에 들어와서부터이다.
* 무과의 종류는 문과와 같이 子, 卯, 午, 酉년에 정기적으로 보는 식년시와 부정기시험인 증광시, 별시, 알성시, 정시, 관무재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식년시는 초시, 복시, 전시의 3단 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28인을 선발하며, 이들은 국왕이 친히 자리한 전시에서 갑과 3인, 을 과 5인, 병과 20인으로 각각 그 등급이 정하여졌다. 그러나 이러한 식년시와는 달리 부정기 시는 그 선발하는 인원의 제한이 주어지지 않아 조선후기에 이르면 萬科(무과 선발 인원을 천인, 만인에 이르기까지 많이 뽑는다는 뜻)가 시행되기도 하여 큰 폐단을 낳기도 하였다.
* 무과의 응시자격은 법제상으로는 천인이 아닌 양인이면 가능하였으나 주로 양반 자제들 이 어려운 문과를 버리고 무과를 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이들이 쉽게 무과에 급제한 뒤 또한 관직조차 쉽게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등 국가 대전란을 겪 으면서부터 천인들조차도 무과에 응시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만과가 성행하게 되었다.
* 시험과목은 武藝와 武講의 두 가지가 있다. 무예는 목전, 철전, 편전, 기사, 기창, 격구, 유 엽전, 관혁, 조총, 편추, 기추 등 여러 가지 시험이 있으며, 무강은 육도, 삼략, 손자, 오자, 울료자, 사마법, 이위공문대 등 무경칠서를 시험하여 장수로서 지녀야 할 군사전략에 대한 능력과 의리를 시험하였다.
* 문치중심의 조선왕조에서 사실상 무과나 무반은 문과나 문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열악한 위치에 있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조선왕조의 무과는 뛰어난 무관을 선발하 기 위한 것이었다기 보다는 오히려 국왕에 대한 충성스러운 무반관료를 선발하기 위한 것이 보다 실질적인 목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kji.hihome.com/국사교육/1정치-ㄷ조선/030조선군사과거제도.hwp
◈ 조선시대 무과제도
=====================
* 무과는 문과와 더불어 조선시기 양반이 주로 보던 과거로써 무관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 제도이다. 그 연원은 고려 예종 4년(1109)에 국학을 설치하면서 무학재(제7재)를 두어 일시 적으로 무학과 무업이 실시된 적은 있으나 문신들의 반대로 곧 없어졌고, 위화도 회군후 이 성계 등 신흥 무인세력에 의하여 무과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실질적인 무과제도의 실 시는 조선왕조에 들어와서부터이다.
* 무과의 종류는 문과와 같이 子, 卯, 午, 酉년에 정기적으로 보는 식년시와 부정기시험인 증광시, 별시, 알성시, 정시, 관무재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식년시는 초시, 복시, 전시의 3단 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28인을 선발하며, 이들은 국왕이 친히 자리한 전시에서 갑과 3인, 을 과 5인, 병과 20인으로 각각 그 등급이 정하여졌다. 그러나 이러한 식년시와는 달리 부정기 시는 그 선발하는 인원의 제한이 주어지지 않아 조선후기에 이르면 萬科(무과 선발 인원을 천인, 만인에 이르기까지 많이 뽑는다는 뜻)가 시행되기도 하여 큰 폐단을 낳기도 하였다.
* 무과의 응시자격은 법제상으로는 천인이 아닌 양인이면 가능하였으나 주로 양반 자제들 이 어려운 문과를 버리고 무과를 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이들이 쉽게 무과에 급제한 뒤 또한 관직조차 쉽게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등 국가 대전란을 겪 으면서부터 천인들조차도 무과에 응시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만과가 성행하게 되었다.
* 시험과목은 武藝와 武講의 두 가지가 있다. 무예는 목전, 철전, 편전, 기사, 기창, 격구, 유 엽전, 관혁, 조총, 편추, 기추 등 여러 가지 시험이 있으며, 무강은 육도, 삼략, 손자, 오자, 울료자, 사마법, 이위공문대 등 무경칠서를 시험하여 장수로서 지녀야 할 군사전략에 대한 능력과 의리를 시험하였다.
* 문치중심의 조선왕조에서 사실상 무과나 무반은 문과나 문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열악한 위치에 있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조선왕조의 무과는 뛰어난 무관을 선발하 기 위한 것이었다기 보다는 오히려 국왕에 대한 충성스러운 무반관료를 선발하기 위한 것이 보다 실질적인 목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kji.hihome.com/국사교육/1정치-ㄷ조선/030조선군사과거제도.hwp
추천자료
- 고려와 조선의 사회, 문화 및 정치에 관한 시대적 해석
- 한국 중세기(고려시대)의 교육
- 한국 인사행정의 발전과정
- 성균관 유생
- 고려시대의 교육제도
- [실학]실학사상과 개혁론에 관하여
- 한국 교육의 역사
- 한국지방자치의 발달과 전개) 전근대적 지방제도 시대 및 근대적 지방자치 시대
-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탐구
- 일제시대 및 미군정(정부수립이전)하 산재보상제도
- 조선의 교육제도와 관료,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 시니어 층의 마케팅 전략 {고령화 사회, 노인 복지 정책의 과거와 현재, 연령·세대·시대적배...
- [국가민방위제도 國家民防衛制度] 민방위제도의 의의와 역사적 배경(우리나라 민방위역사), ...
- [독후감] 조선은 왜 무너졌는가 : 제도로 보는 조선 흥망의 역사 (정병석 저) (독서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