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조(赤潮)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적조(赤潮)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적조(赤潮)의 정의
2. 적조의 명칭
3. 적조의 역사
4. 적조의 분포
5. 적조를 일으키는 생물
6. 적조에 의한 수산피해
7.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 요소
8. 적조발생 방지대책
9. 적조구제방법 - 황토살포
10. 느낀 점
< 출처 >

본문내용

나 저질은 개선되어야 한다. 저질개선 방법과 그 효과는 다음 표와 같다.
사업
대상어장
실시방법
기대효과
준설
심하게 오염된 저질
준설선으로 저질제거
오염원 근본적 제거
석회살포
저질이 흑색이고 유화수소가 많이 발생하는 곳
6-9월중에 생석회나 소석회를 1m2당 100-200g 가량 살포
유기물 분해촉진 H2S 생성억제
점토살포
저층산소를 소비하는
유기물질이 많이 퇴적된 곳
5-8월중에 점토를 1m2당 1-2kg살포
영양염류 용출억제
경운폭기
유화물, 질소성분이 많은 곳
30m 이천의 어장바닥을
갈아주거나, 폭기시킨다
산소공급
환원상태 방지
③ 어장의 과학적 이용관리(밀식방지) - 적정양식
- 어류양식
어류 양식장에서는 사료를 주기 때문에 사료 찌꺼기나 배설물이 어장을 오염시켜 부영양화 현상을 촉진시키므로 적조를 일으키고 대량 폐사를 일으키므로 적정 방양밀도를 준수해야 한다.
- 패류양식
수하식 또는 밀식어장에서는 유기배설물이 많고 해수의 교통이 방해되므로 적조가 상습 발생한다. 그러므로 적정 수하시설물량와 살포량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9. 적조구제방법 - 황토살포
황토의 콜로이드입자가 해수중의 현탁물질(영양물질, 미소플랑크톤등)을 응집, 흡착하는 성질이 있는 것에 착안하여 적조생물을 구제하는 물질로 이용하게 되었다. 즉 구제원리는 적조발생시 적조생물을 황토에 응집, 침전시키는 것이다.
황해는 해마다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 덕분에 진흙의 자정작용을 받아 적조현상을 막을 수 있다.
☞황토의 살포요령
ㆍ입자 - 가급적 1mm이하로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해수와 혼합하여 살포한다.
ㆍ살포방향 - 적조생물이 어장으로 이동, 접근해오는 경우 오는 쪽으로 살포하고 이미 어장내까지 적조생물이 유입되었을 경우 가두리 주위를 돌면서 살포한다.
ㆍ살포량 - 적조생물에 따라 다르며 Cochlodinum의 경우 살포량은 1㎡당 100∼400g 정도이며 살포면적은 가두리면적의 3배로 하며 살포시기는 발생상황에 따라 조정한다.
10. 느낀 점
사실 나는 수산종합관이 가고 싶었다. 사진을 통해 본 모습이 아쿠아리움을 연상시켜서 꼭 한번 가보고 싶었는데 주말엔 알바를 해서, 월요일은 수업이 없는 관계로 월요일에 가려고 했는데 딱 가려고 하니 휴관일 이었다. 쓰린 마음을 참고 적조를 했다. 하지만 적조를 한 것도 그리 나쁘진 않은 것 같다. 적조를 찾고 편집하면서 적조에 대해 조금이나마 자세히 알게 되었고, 나중에 수업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예전에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간 적이 있는데 그 때 배를 타고 갔었다. 제주도로 가는 남해바다는 바다 중간이 울긋불긋해 있었다. 그 때 선생님께서 저게 바로 적조라고 가르쳐주셨는데 너무 심각했다. 생각했던 것 이상이랄까. 지금은 내가 대학생이 되었으니 더 심해졌을까, 아니면 더 나아졌을까, 더 나아졌길 바라면서 이 글을 마친다.
< 출처 >
두산 세계대백과
http://bric.postech.ac.kr/issue/redtide.html
http://plaza4.snut.ac.kr/~blueload/sub6-05.htm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8.21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