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전관리이론
2. 시설물의 중대결함
3.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손상형태
4. 균열평가의 기준항목 6가지
2. 시설물의 중대결함
3.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손상형태
4. 균열평가의 기준항목 6가지
본문내용
의 선정, 주입재료의 선정 근거를 마련한다. 균열 관통의 유무는 육안관측, 물과 공기의 통과 여부, 코어 보링, 초음파 시험으로 확인한다. 균열의 진행성은 구조물 변상의 원인 추궁, 균열의 성질 판정과 방법을 결정하고, 보수재료 선정 및 보수시기 선정 근거를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균열밀도는 단위면적당의 균열(PSC구조물: 0.2mm이상, RC구조물: 0.3mm이상)의 총연장/ 구조물의 위치나 높이 등에 대해 균열발생량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파악한다.
안전진단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법에 나와 있는 근거를 토대로 시설물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 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시설물과 관련된 사건, 사고를 예방함으로써 인적, 물적 피해가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전진단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법에 나와 있는 근거를 토대로 시설물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 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시설물과 관련된 사건, 사고를 예방함으로써 인적, 물적 피해가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