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칼 막스의 자본론에 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칼 막스의 자본론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들어가는 말

제 1장 상품
제 1절 : 상품의 두요소 : 사용가치와 과정
제 2절 : 상품에 내재하는 사용가치의 모습
제 3절 : (사용)가치형태

제 2장 자본
제1절 : 자본에 대한 재고찰 : 몇 가지 전제들
제2절 : 자본에 대한 의미 : 자본경쟁
제3절 : 소비체계와 현대 자본주의의 자본경쟁
제4절 : 상징자본의 의미

제 3장: 노동

제 4장: 결말

본문내용

가치에 따른 경제적 의미를 묻는 물음, 이것들이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일반적인 추론과정은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지금의 경제사회가 어떠한 형태와 흐름으로 흘러가는 지에 대한 고찰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경제로부터 본질을 왜곡하거나 탈주하는 경제 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범주나 본질에 대한 탐구를 재 범위화 하는 과정에서 이루어 진 것이다. 경제적 본질의 범주와 사용가치에 대해 종합하는 일반적 능력은 과거의 유뮬들을 끌어안는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물론 그것의 선택은 우리에게 있는 것이며, 그것의 선택은 존재구속의 발현이다. (그러므로 그것이 틀려도 되고, 오답이라 할지라도 후회는 없다) 그러나 가치의 고하는 우리 모두의 몫으로서 그것에 대한 평가는 경제 행위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써 단지 만족을 하면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어떤 행위도 그것의 본질과 사용가치에 동떨어진 행위를 경제행위라 여기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노동의 잉여에 대한 일반적 가치형태는 “조직과 그것이 존재함에 따른 신념”에 있음을 인지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경제주체에서 존재구속성이 가장 잘 실현될 수 있는 계급으로 노동자계급을 선택한 것이며, 소비사회에서 노동의 위험은 노동자들의 잉여가치를 얼마나 열정적으로 상품화되느냐에 따라 그것의 위험수위는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마음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내 예술은 오로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숙고에서 나온 것이다. 왜 나는 다른 사람과 같지 않는가? 왜 내 요람에는 일찍이 저주가 내렸는가? 왜 나는 이 세상에 아무런 주체적 선택도 없이 던져 졌는가? 따라서 나의 예술은 이런 나의 삶에 의미를 주기 위한 것이다. (에드바르크 뭉크)
소비사회에서 상품의 영역을 책임질 수 있는 노동자계급은 서로간의 영역과 새로운 미지의 세계에 발을 담궈야 하는 것이다. 그것만이 노동자들에게 새로운 열정을 부여하는 행위인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마음은 다음과 같다.
너희들의 원죄는 존재구속에 의해 이미 구원되었다. 구원되어 있는 인간의 능력으로 자신들의 행위에 대해 결코 거리낌이 없어라. 설사 너희들에게 신이 다가와 그대들을 낙원으로 인도할지라도 우리는 우리의 의지로써 그를 거부한다.
다음으로 존재구속과 잉여에 대한 일반적 정리는 그것들의 형태와 흐름, 역사성의 산물로써 함께 동반할 수 잇는 관계가 맺어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는 헤지펀드(hedge fend) 국제증권 및 외환시장에 투자해 단기이익을 올리는 민간 투자기금으로, 100명 미만의 투자가들로부터 개별적으로 자금을 모아 파트너십(partnership)을 결성한 후에 카리브해의 버뮤다제도와 같은 조세회피(租稅回避) 지역에 위장거점을 설치하고 자금을 운영하는 투자신탁이다. 헤지펀드는 파생금융상품을 교묘하게 조합해서 도박성이 큰 신종상품을 개발하는데, 이것이 국제금융시장을 교란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 지적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전세계 헤지펀드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조지 소로스의 퀀텀그룹이 특히 유명하다. 1996년 말 현재 운용규모는 한국의 국민총생산(GNP)의 8배에 이르는 3조 7000억 달러에 이르는 자금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더욱이 이들 헤지펀드는 파생금융상품을 집중적으로 거래하기 때문에 이들이 일제히 준동할 경우에는 국제금융계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하루 1조 5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방 7개국(G7)을 포함한 OECD의 모든 중앙은행들이 동원할 수 있는 자금 규모가 5000억 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사정을 감안하면 헤지펀드가 국제금융 시장에 미치는 위력이 얼마나 큰 가를 짐작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1996년 9월 금융기관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남아메리카와 동유럽 등 투자위험성이 비교적 높은 신흥시장에 집중 투자하는 헤지펀드가 최초로 생겼다. (이에 대한 참고는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734579에서 참고하였음.)
에 대해 알고 있다. 그것은 상징게임을 통해 상징화된 화폐를 획득하는 경기로써 매우 더럽고 지저분한 게임이다. 우리는 그것들로 인하여 노동의 생산성이 확보되거나, 노동의 잉여가 생산축적되는 것은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그것은 마치 굶주는 아미트(Ammit)처럼 언제나 자유를 확보하면서도 인간의 경제적 균형을 파괴하는 것으로써 헤지펀드는 존재구속과 잉여에 대한 일반적 관계를 잘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노동의 잉여는 존재구속의 산물인 것이며, 자본획득의 가장 혐오스러운 행위(헤지펀드와 같은)는 결코 노동과 함께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잉여되는 것이 존재한다 할지라도 그것이 상징화된 잉여의 가치를 가질 수 없는(존재구속의 올바른 행위) 것은 결코 잉여화된 존재구속의 행위가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미국의 배심원 제도와 섹트(sect)적 성격에서 미국인들이 종교적인 존재구속에 따라 미국 제도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고찰해보았다. 그것은 그들의 단지 그들의 종교적인 의미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필요로 하고(신 개척정신) 그들이 낳을 수 있는 잉여물에 대한 가치관이 제대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미국 전체가 그것에 동의를 하고 그들의 잉여물을 잘 간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던 것이다. 그로 인해 미국의 각 개인들은 전체의 잉여물에 대한 고른 분배에 따라 그들의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들은 그것에 대한 신념화된 행위와 체제를 보고 이것이 잉여될 수 있는 노동에 대하여 희망과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제 4장 : 결말
우리는 이제 우리가 시도했던 모든 가치적 담론들의 향연에 마침표를 찍어야 할 때이다. 우리는 소비자들이 더 이상 기회비용이나 거래이득 따위에 현혹되지 않을 것이라 믿는다. 왜냐하면 우리는 자본의 본질이 무엇인지, 소비의 문제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상품-화폐의 교환에서 직접적으로 올릴 수 있는 교환이익을 살펴보았기 때문이다.
“ 그대들이 우리의 경제학에 초대를 받는다면, 구름에게만 있었던 가시들을 그대들의 뜨거운 혈관에 접합해 크고 큰 대해를 만들어 갈 것이다. ”

키워드

칼막스,   막스,   맑스,   ,   자본론,   잉여,   자본,   계급
  • 가격3,000
  • 페이지수104페이지
  • 등록일2006.08.2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