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본문내용
필수부분과 음질조정부, 음량조절기, 전원 스윗치로 구성
휴대용 보청기 : 포켓형, 귀걸이형, 안경형, 귓속형
나. 보청기의 기능
기본적 기능은 밖에서 오는 소리가 귀에 들어오기 전에 마이크로폰으로 받아서 전기적으로 변환시켜서 이것을 증폭시칸 후 이것을 다시 음파로 전환시켜서 이어폰을 통해서 귓속으로 유도시켜 주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단순히 증폭기의 역할을 하나 보청기도 단순한 증폭작용만으로 청각장애에 좋은 보장구가 되지 못하며, 여러 가지 난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게 특수한 기능이 요구되는 것이다.
다. 보청기 사용 요령
1) 편측성 난청
2) 양측성 균형 난청
3) 양측성 불균형 난청
4) 고도감각신경성 난청
5) 유소아를 위한 요령
6) 인공 내이 이식술
인공 내이 또는 인공 달팽이관
[2] 교육에서의 이해
1. 법적 청각장애
가. 청각장애의 법적 정의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 IDEA : 청각장애를 농과 난청으로 나눔
우리나라 : 장애인의 복지를 목적으로 규정, 특수교육을 목적으로 규정
장애인복지법(1989년 12월 30일 개정)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
장애인복지법시행령(1990년 12월 1일) : 청각장애인의 기준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1991년 6월 3일) : 청각장애인의 장애 등급(2.3,4,6급)
1994년에 개정된 특수교육 진흥법 시행령
언어전 농 :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하기 이전에 농이 된 사람, 95% 차지
언어후 농 :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한 후에 농이 된 사람
나. 청각장애인의 출현율
2. 청각장애의 영향
가. 의사소통
1903년 보청기를 착용
1957년 인공와우를 착용
청각장애인에 대한 최초의 교육 : 16세기 스페인에서 시작
페드로 폰세드 레옹 : 읽기, 쓰기, 말하기 지도를 받은 청각장애인은 문어와 구어 사용
보네 : 일수 문자, 문자, 말을 배운 청각장애인은 지화, 문어, 구어 사용
영국 최초의 농교육자 중 월리엄 홀더 : 1659년 양수 문자를 사용
죤 월리스 : 1660년 자연스러운 몸짓, 쓰기, 지문자, 조음지도
Joseph Waston : 1809년 영국에 농학교 설립, 교육프로그램 구성
불란서 최초의 농교사 빼레일 : 일수 문자를 사용하여 말을 가르침
레빼 : 자연 수화 사용, 규칙성 수화를 개발
독일법의 창시자 하이니케 : 구화법을 강조, 수화, 규칙성 수화, 지문자 사용을 반대
1880년 이태리 밀라노에서 개최된 국제회의 : 손에 의한 의사소통방법은 금해야 함을 결의
20세기 중엽 이후 : 미국의 종합적 의사소통 방법과 소련의 신구화주의
현재의 의사소통 수단 : 구화(말과 독화), 문어, 발음 암시 기호, 수화, 지화, 팬터마임 등
로체스터법 : 독화와 지화의 동시 사용
수지법 : 수화와 지화의 사용
종합적 의사소통
나. 말의 명료도 : 가장 중요한 요인은 청력 손실도
청력 손실 연령
다. 인지기능
라. 학문성취
마. 정신건강
바. 취업
사. 농인사회
아. 교육에 대한 요구
1960년대 스킨디나비아 국가에 의해 도입된 정상화 개념
1970년대 중반 이후 완전하고 평등하게 참여케 하기 위한 주류화 정책
우리나라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을 전면 개정하면서 통합교육을 정의
장애아의 교육(특수교육) 분리 교육기 → 통합교육 시행기 → 통합교육 시행 착오기
→ 통합교육 의도표현기 → 통합교육 실험기
1) 통합교육
장소의 통합, 사회적 통합, 교육과정의 통합
2) 교육과정의 조정 운영
교육과정의 요소 ①내용 ②교수 전략 ③교수 환경 ④학생의 행동
① 교육과정 조정 연구의 결정
- 교육과정 중심 사정
- 교육과정 중심 측정
② 조정을 요하는 교육과정 요소의 판별
- 교육과정 조정 요소 선별 검목표
- 교육과정 조정 지침
③ 교육과정의 조정
- 교육과정 요소의 상호관계
- 교육과정의 조정과 학습 양식
- 교육과정의 조정
- 교수 전략의 조정
- 교수 환경의 조정
- 학생의 행동 수정 전략의 조정
제 2 부 농아인과 교육
3장 농교육의 역사
[1]. 농교육의 전사 : 고대와 중세시대
1. 농교육의 전사
가. 무관심과 방치의 시대
적자생존의 원칙, 유기나 학살의 대상, 절멸시키는 정책
나. 자선 보호적 관점 : 중세사회
다. 교육불가능론
2. 교육 가능성의 탐색과 개인교수의 시작
14세기 르네상스 이후 인문주의 사상이 대두되고, 종교개혁, 장애인의 인식에 새로운 변화
가. 장애인관의 시정과 교육 가능성의 탐색
벤더 : 농교육사(1981)에서 15 16세기의 농교육 역사를 ‘재각성’의 시대로 표현
레오나르도 다빈치 : 농인의 말읽기(독화)에 대해 관심을 표명
독일의 인문주의교육자인 아그리코라(1443-1485)
: 청각장애인도 읽기와 쓰기를 할 수 있다는 예증함
이태리 파드아대학교 의사인 가르다노(1501-1567) :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가능성 주장
‘농아는 말하는 대신 쓸 수 있다’
나. 개인교수의 시작과 그 성과
인류역사상 최초의 농교육 :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에 걸쳐 스페인을 중심으로 시작
청각장애인에 대한 개인교수를 실시한 최초의 교사
: 스페인의 베네딕트 수도사인 퐁스 더 레옹 -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별지도 실시
제자인 프란시코 - 청각장애이지만 상속권 및 병역 의무까지 감당
17세기 초 스페인의 보넬(1579-1663) ‘소리의 단순화와 농아의 언어교수 방법’(1620)
실학주의의 대표자인 코메니우스(1592-1671) : 실학주의는 영국으로 건너가 경험주의 철학으로 발전, 사상적 경향에 영향을 받아 청각장애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그 접근에도 진전
스코틀랜드의 달가르노 ‘의사소통 기법’(1661), 농교육의 성공은 ‘부단한 노력’
17세기에 달가르도가 생각한 농교육에 대한 관점은 오늘날 농교육의 문제에 중요한 시사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중엽에 걸쳐 창각장애아 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교사 출현
: 암망(1669-1742) - 발성을 잘 조절하도록 강조, 조음의 발성 기제에 중점
빼레일(1715-1780) - 남부 프랑스에서 최초의 전문 농교육 교사, 일종의 ‘표음 지문자’ 을 고안, ‘음성학적 지문자 체계’
‘음성학적 지문자 체계’는 오늘날 코
휴대용 보청기 : 포켓형, 귀걸이형, 안경형, 귓속형
나. 보청기의 기능
기본적 기능은 밖에서 오는 소리가 귀에 들어오기 전에 마이크로폰으로 받아서 전기적으로 변환시켜서 이것을 증폭시칸 후 이것을 다시 음파로 전환시켜서 이어폰을 통해서 귓속으로 유도시켜 주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단순히 증폭기의 역할을 하나 보청기도 단순한 증폭작용만으로 청각장애에 좋은 보장구가 되지 못하며, 여러 가지 난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게 특수한 기능이 요구되는 것이다.
다. 보청기 사용 요령
1) 편측성 난청
2) 양측성 균형 난청
3) 양측성 불균형 난청
4) 고도감각신경성 난청
5) 유소아를 위한 요령
6) 인공 내이 이식술
인공 내이 또는 인공 달팽이관
[2] 교육에서의 이해
1. 법적 청각장애
가. 청각장애의 법적 정의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 IDEA : 청각장애를 농과 난청으로 나눔
우리나라 : 장애인의 복지를 목적으로 규정, 특수교육을 목적으로 규정
장애인복지법(1989년 12월 30일 개정)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
장애인복지법시행령(1990년 12월 1일) : 청각장애인의 기준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1991년 6월 3일) : 청각장애인의 장애 등급(2.3,4,6급)
1994년에 개정된 특수교육 진흥법 시행령
언어전 농 :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하기 이전에 농이 된 사람, 95% 차지
언어후 농 : 말을 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학습을 한 후에 농이 된 사람
나. 청각장애인의 출현율
2. 청각장애의 영향
가. 의사소통
1903년 보청기를 착용
1957년 인공와우를 착용
청각장애인에 대한 최초의 교육 : 16세기 스페인에서 시작
페드로 폰세드 레옹 : 읽기, 쓰기, 말하기 지도를 받은 청각장애인은 문어와 구어 사용
보네 : 일수 문자, 문자, 말을 배운 청각장애인은 지화, 문어, 구어 사용
영국 최초의 농교육자 중 월리엄 홀더 : 1659년 양수 문자를 사용
죤 월리스 : 1660년 자연스러운 몸짓, 쓰기, 지문자, 조음지도
Joseph Waston : 1809년 영국에 농학교 설립, 교육프로그램 구성
불란서 최초의 농교사 빼레일 : 일수 문자를 사용하여 말을 가르침
레빼 : 자연 수화 사용, 규칙성 수화를 개발
독일법의 창시자 하이니케 : 구화법을 강조, 수화, 규칙성 수화, 지문자 사용을 반대
1880년 이태리 밀라노에서 개최된 국제회의 : 손에 의한 의사소통방법은 금해야 함을 결의
20세기 중엽 이후 : 미국의 종합적 의사소통 방법과 소련의 신구화주의
현재의 의사소통 수단 : 구화(말과 독화), 문어, 발음 암시 기호, 수화, 지화, 팬터마임 등
로체스터법 : 독화와 지화의 동시 사용
수지법 : 수화와 지화의 사용
종합적 의사소통
나. 말의 명료도 : 가장 중요한 요인은 청력 손실도
청력 손실 연령
다. 인지기능
라. 학문성취
마. 정신건강
바. 취업
사. 농인사회
아. 교육에 대한 요구
1960년대 스킨디나비아 국가에 의해 도입된 정상화 개념
1970년대 중반 이후 완전하고 평등하게 참여케 하기 위한 주류화 정책
우리나라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을 전면 개정하면서 통합교육을 정의
장애아의 교육(특수교육) 분리 교육기 → 통합교육 시행기 → 통합교육 시행 착오기
→ 통합교육 의도표현기 → 통합교육 실험기
1) 통합교육
장소의 통합, 사회적 통합, 교육과정의 통합
2) 교육과정의 조정 운영
교육과정의 요소 ①내용 ②교수 전략 ③교수 환경 ④학생의 행동
① 교육과정 조정 연구의 결정
- 교육과정 중심 사정
- 교육과정 중심 측정
② 조정을 요하는 교육과정 요소의 판별
- 교육과정 조정 요소 선별 검목표
- 교육과정 조정 지침
③ 교육과정의 조정
- 교육과정 요소의 상호관계
- 교육과정의 조정과 학습 양식
- 교육과정의 조정
- 교수 전략의 조정
- 교수 환경의 조정
- 학생의 행동 수정 전략의 조정
제 2 부 농아인과 교육
3장 농교육의 역사
[1]. 농교육의 전사 : 고대와 중세시대
1. 농교육의 전사
가. 무관심과 방치의 시대
적자생존의 원칙, 유기나 학살의 대상, 절멸시키는 정책
나. 자선 보호적 관점 : 중세사회
다. 교육불가능론
2. 교육 가능성의 탐색과 개인교수의 시작
14세기 르네상스 이후 인문주의 사상이 대두되고, 종교개혁, 장애인의 인식에 새로운 변화
가. 장애인관의 시정과 교육 가능성의 탐색
벤더 : 농교육사(1981)에서 15 16세기의 농교육 역사를 ‘재각성’의 시대로 표현
레오나르도 다빈치 : 농인의 말읽기(독화)에 대해 관심을 표명
독일의 인문주의교육자인 아그리코라(1443-1485)
: 청각장애인도 읽기와 쓰기를 할 수 있다는 예증함
이태리 파드아대학교 의사인 가르다노(1501-1567) :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가능성 주장
‘농아는 말하는 대신 쓸 수 있다’
나. 개인교수의 시작과 그 성과
인류역사상 최초의 농교육 :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에 걸쳐 스페인을 중심으로 시작
청각장애인에 대한 개인교수를 실시한 최초의 교사
: 스페인의 베네딕트 수도사인 퐁스 더 레옹 -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별지도 실시
제자인 프란시코 - 청각장애이지만 상속권 및 병역 의무까지 감당
17세기 초 스페인의 보넬(1579-1663) ‘소리의 단순화와 농아의 언어교수 방법’(1620)
실학주의의 대표자인 코메니우스(1592-1671) : 실학주의는 영국으로 건너가 경험주의 철학으로 발전, 사상적 경향에 영향을 받아 청각장애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그 접근에도 진전
스코틀랜드의 달가르노 ‘의사소통 기법’(1661), 농교육의 성공은 ‘부단한 노력’
17세기에 달가르도가 생각한 농교육에 대한 관점은 오늘날 농교육의 문제에 중요한 시사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중엽에 걸쳐 창각장애아 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교사 출현
: 암망(1669-1742) - 발성을 잘 조절하도록 강조, 조음의 발성 기제에 중점
빼레일(1715-1780) - 남부 프랑스에서 최초의 전문 농교육 교사, 일종의 ‘표음 지문자’ 을 고안, ‘음성학적 지문자 체계’
‘음성학적 지문자 체계’는 오늘날 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