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근골격계 해부생리
1.뼈의 구조와 기능
2.관절의 구조와 기능
3.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4.운동에 관여하는 구조
5.조절 과정
근골격계 간호사정 & 진단적 검사
1.주관적 자료
2.객관적 자료
1.뼈의 구조와 기능
2.관절의 구조와 기능
3.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4.운동에 관여하는 구조
5.조절 과정
근골격계 간호사정 & 진단적 검사
1.주관적 자료
2.객관적 자료
본문내용
수축의 형태:골격근의 크기와 모양은 길고 얇은것에서부터 넓고 편평한 것 또는 부피가 큰 형태까지 다양하다. 근육 내 섬유의 배열 상태는 근육수축력을 결정한다. 골격근은 자 극될 때만 수축하며 수축에는 여러 형태가 있다.
강직성(tonic):자세 유지에 필요한지속적이고 부분적인 수축
등장성(isotonic):근육 길이는 짧아지지만 근육긴장은 그대로인 수축
등척성(isometric):근육 길이는 그대로이고 근육긴장은 커지는 수축
연축(twitch):단일 자극에 대한 반사적 반응
강직증(tetanic):빠르게 반복되는 일련의 자극에 의한 연축보다 지속되는 수축
계단 현상(treppe):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강도의 자극에 의한 연축보다 강한 수축
세동(fibrillation):근섬유가 각기 독립적으로 수축을 일으키며 떨림·
경련(convulsion):다양한 근육군에 의해 일어나는 비정상적이고 조화되지 않은 강직성 수축
2)골격근의 구조
근육은 골격근, 평활근, 심근으로 분류하며, 섬유로 부르는 긴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섬유는 근섬유(myofiber)라고 하는 수축성 단백질(contractile protein)을 포함하며 세포의 길이를 길게 하는 작용을 한다. 골격근섬유는 다핵세포로 되어 있고, 횡문(striation)을 가지며, 밝고 어두운 띠가 세포의 장축과 직각을 이룬다. 어두운 띠는 myosin, 밝은 띠는 actin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Z선이라 부르는 밀접 된 섬유선(fibrous line)은 각각 I띠 (band)중앙을 가로지르며 근초(sarcomere)라 부르는 단위가 반복 연결되어 근섬유를 분할한다. 띠는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에 골격근을 횡문근(striated muscle)이라고도 한다. 평활근과 심근은 골격근과는 달리 단핵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평활근은 횡문이 없고 차츰 가늘어져서 끝이 얇으며, 심근은 가지가 있는 섬유(branched fiber)로 구성되어 있다.
근섬유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근속(fascicle)이라는 작은 다발이 결합조직에 의해 연결된 것이다. 근속은 큰 다발을 이루어 근육을 형성하고, 이 근육은 강력한 결합조직으로 된 근상막(epimysium)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근상막은 근속과 섬유에 연결된다. 근상막은 또한 건이나 다른 결합조직과 연결되어 뼈에 부착된 근육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각각의 근섬유에서부터 건까지 결체조직의 망을 형성한다.
3)골격근의 혈액순환
근섬유에 혈액공급이 적절해야 효율적인 근육수축이 일어나므로 골격근에는 혈관 분포가 많다. 근육수축동안 화학적 변화로 인해 생긴 대사산물은 간으로 운반되어 제거된다. 대사산물이 적절히 제거되지 않으면 근육피로와 통증이 초래된다. 반대로 근육수축을 위해 근섬유에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산소 공급이 부적절하면 근육운동이 줄어든다.
4)골격근의 신경 지배
적절한 근육수축은 효율적인 신경 지배를 받으며, 소뇌는 1차적인 근육운동에 관여한다. 각 근육세포에는 신경세포 축삭이 있다. 골격근에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세포를 체세포 운동뉴런(somatic motor neurons)이라하고 이 뉴런이 지배하는 근육세포를 운동신경단위(motor unit)라 한다. 하나의 체세포 운동뉴런의 축삭은 여러 개의 가지로 나누어져 여러 근육세포를 지배한다. 근육세포를 적게 지배하는 신경일수록 운동 반응은 더욱 섬세하다. 축삭말단의 소포에 있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 방출되면 근육 수축이 일어난다. 아세틸콜린이 근섬유막에 닿으면 수축을 자극한다. 이 반응은 운동종판 또는 신경 근육 접합부에서 일어난다. 대뇌척수 수준(cerebrospinal level)이나 국소운동뉴런 수준의 신경통로가 손상되면 근육 기능부전이 일어난다.
4.운동에 관여하는 구조
1) 건 (Tendon)
건은 결합조직으로서 뼈의 골막에 근육을 부착시킨다. 근육이 수축하면서 건을 잡아당기고건은 부착된 뼈를 잡아당겨서 움직이게 된다. 건은 섬유성 초(fibrous sheath)의 연장으로 각 근육을 싸고 골막에 연속되어있다. 건초(tendon sheath)는 특히 손목과 발목의 건을 둘러싼 관 모양의 결체조직 구조이다. 이 건초에는 건의 운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활액과 활액막이 있다.
2) 인대 (Ligament)
인대는 섬유성 결합조직으로서 뼈를 서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슬관절은 관절낭 내에서 전 후 십자인대에 의해 경골과 대퇴골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관절낭 바깥에서는 중간과 외측의 측부인대에 의해 고정된다. 인대는 안정을 취할 때 뻗칠 수 있는 신장 능력이 있다.
3) 근막(Fascia)
근막은 피부의 바로 아래에 있는 느슨한 결체조직의 표재근막과 근육신경 및 혈관의 초를 형성하는 치밀한 심부근막으로 구성된다.
4) 활액낭(Bursa)
활액낭은 서로 스치며 움직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액체가 가득찬 낭(sac)이다. 활액낭은 피부와 뼈, 근육과 뼈, 건과 뼈, 인대와 뼈 그리고 근육 사이에 있으며 움직일 때 생기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완충작용을 한다. 결체조직을 광범위하게 보면, 뼈, 연골, 혈액, 림프등과 같이 기질(matrix)내의 세포로 만들어진 모든 조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질병에서 언급할 때는 보다 제한된 의미로 사용하며 건 인대 근막과 피부의 심층을 포함해 신체를 연결하고 덮는 조직을 의미한다. 이러한 종류의 결체조직은 근육과 골격 구조를 서로 연결하는 데 필수적이다.
5.조절 과정
1)성장과 대사
사춘기 이후 뼈는 성숙과 성장이 절정에 도달한다. 뼈는 역동적인 조직이지만 35세까지는 형성(formation), 흡수(resorption), 파괴(destruction)의 과정이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진다. 나이가 들어서는 뼈의 형성이 줄어들고 흡수가 가속화되면서 골량이 감소하고 손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뼈의 성장과 대사는 다음과 같은 수많은 전해질과 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칼슘 인· calcitonin 비타민 D 부갑상샘호르몬· 성장호르몬 glucocorticoid insulin
estrogen, androgen thyroxin(갑상샘호르몬)
(1)칼
강직성(tonic):자세 유지에 필요한지속적이고 부분적인 수축
등장성(isotonic):근육 길이는 짧아지지만 근육긴장은 그대로인 수축
등척성(isometric):근육 길이는 그대로이고 근육긴장은 커지는 수축
연축(twitch):단일 자극에 대한 반사적 반응
강직증(tetanic):빠르게 반복되는 일련의 자극에 의한 연축보다 지속되는 수축
계단 현상(treppe):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강도의 자극에 의한 연축보다 강한 수축
세동(fibrillation):근섬유가 각기 독립적으로 수축을 일으키며 떨림·
경련(convulsion):다양한 근육군에 의해 일어나는 비정상적이고 조화되지 않은 강직성 수축
2)골격근의 구조
근육은 골격근, 평활근, 심근으로 분류하며, 섬유로 부르는 긴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섬유는 근섬유(myofiber)라고 하는 수축성 단백질(contractile protein)을 포함하며 세포의 길이를 길게 하는 작용을 한다. 골격근섬유는 다핵세포로 되어 있고, 횡문(striation)을 가지며, 밝고 어두운 띠가 세포의 장축과 직각을 이룬다. 어두운 띠는 myosin, 밝은 띠는 actin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Z선이라 부르는 밀접 된 섬유선(fibrous line)은 각각 I띠 (band)중앙을 가로지르며 근초(sarcomere)라 부르는 단위가 반복 연결되어 근섬유를 분할한다. 띠는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에 골격근을 횡문근(striated muscle)이라고도 한다. 평활근과 심근은 골격근과는 달리 단핵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평활근은 횡문이 없고 차츰 가늘어져서 끝이 얇으며, 심근은 가지가 있는 섬유(branched fiber)로 구성되어 있다.
근섬유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근속(fascicle)이라는 작은 다발이 결합조직에 의해 연결된 것이다. 근속은 큰 다발을 이루어 근육을 형성하고, 이 근육은 강력한 결합조직으로 된 근상막(epimysium)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근상막은 근속과 섬유에 연결된다. 근상막은 또한 건이나 다른 결합조직과 연결되어 뼈에 부착된 근육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각각의 근섬유에서부터 건까지 결체조직의 망을 형성한다.
3)골격근의 혈액순환
근섬유에 혈액공급이 적절해야 효율적인 근육수축이 일어나므로 골격근에는 혈관 분포가 많다. 근육수축동안 화학적 변화로 인해 생긴 대사산물은 간으로 운반되어 제거된다. 대사산물이 적절히 제거되지 않으면 근육피로와 통증이 초래된다. 반대로 근육수축을 위해 근섬유에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산소 공급이 부적절하면 근육운동이 줄어든다.
4)골격근의 신경 지배
적절한 근육수축은 효율적인 신경 지배를 받으며, 소뇌는 1차적인 근육운동에 관여한다. 각 근육세포에는 신경세포 축삭이 있다. 골격근에 자극을 전달하는 신경세포를 체세포 운동뉴런(somatic motor neurons)이라하고 이 뉴런이 지배하는 근육세포를 운동신경단위(motor unit)라 한다. 하나의 체세포 운동뉴런의 축삭은 여러 개의 가지로 나누어져 여러 근육세포를 지배한다. 근육세포를 적게 지배하는 신경일수록 운동 반응은 더욱 섬세하다. 축삭말단의 소포에 있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 방출되면 근육 수축이 일어난다. 아세틸콜린이 근섬유막에 닿으면 수축을 자극한다. 이 반응은 운동종판 또는 신경 근육 접합부에서 일어난다. 대뇌척수 수준(cerebrospinal level)이나 국소운동뉴런 수준의 신경통로가 손상되면 근육 기능부전이 일어난다.
4.운동에 관여하는 구조
1) 건 (Tendon)
건은 결합조직으로서 뼈의 골막에 근육을 부착시킨다. 근육이 수축하면서 건을 잡아당기고건은 부착된 뼈를 잡아당겨서 움직이게 된다. 건은 섬유성 초(fibrous sheath)의 연장으로 각 근육을 싸고 골막에 연속되어있다. 건초(tendon sheath)는 특히 손목과 발목의 건을 둘러싼 관 모양의 결체조직 구조이다. 이 건초에는 건의 운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활액과 활액막이 있다.
2) 인대 (Ligament)
인대는 섬유성 결합조직으로서 뼈를 서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슬관절은 관절낭 내에서 전 후 십자인대에 의해 경골과 대퇴골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관절낭 바깥에서는 중간과 외측의 측부인대에 의해 고정된다. 인대는 안정을 취할 때 뻗칠 수 있는 신장 능력이 있다.
3) 근막(Fascia)
근막은 피부의 바로 아래에 있는 느슨한 결체조직의 표재근막과 근육신경 및 혈관의 초를 형성하는 치밀한 심부근막으로 구성된다.
4) 활액낭(Bursa)
활액낭은 서로 스치며 움직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액체가 가득찬 낭(sac)이다. 활액낭은 피부와 뼈, 근육과 뼈, 건과 뼈, 인대와 뼈 그리고 근육 사이에 있으며 움직일 때 생기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완충작용을 한다. 결체조직을 광범위하게 보면, 뼈, 연골, 혈액, 림프등과 같이 기질(matrix)내의 세포로 만들어진 모든 조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질병에서 언급할 때는 보다 제한된 의미로 사용하며 건 인대 근막과 피부의 심층을 포함해 신체를 연결하고 덮는 조직을 의미한다. 이러한 종류의 결체조직은 근육과 골격 구조를 서로 연결하는 데 필수적이다.
5.조절 과정
1)성장과 대사
사춘기 이후 뼈는 성숙과 성장이 절정에 도달한다. 뼈는 역동적인 조직이지만 35세까지는 형성(formation), 흡수(resorption), 파괴(destruction)의 과정이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진다. 나이가 들어서는 뼈의 형성이 줄어들고 흡수가 가속화되면서 골량이 감소하고 손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뼈의 성장과 대사는 다음과 같은 수많은 전해질과 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칼슘 인· calcitonin 비타민 D 부갑상샘호르몬· 성장호르몬 glucocorticoid insulin
estrogen, androgen thyroxin(갑상샘호르몬)
(1)칼
추천자료
임부 간호- 레오폴드 복부촉진법,태아 건강 사정-초음파 촬영
[성인간호학] 외과적수술과 회장루술을 시행한 김씨에게 수행해야 할 간호 사정 - 장루 사정 ...
[간호이론 D형] 핸더슨의 이론을 적용하여 작성하시오. 1.주요 개념 정리 & 2.만성질환자...
[성인간호2] 신장·요로계 기능사정
뇌졸중 환자간호(뇌졸중의 위험요인, 뇌졸중의 종류, 뇌졸중 위치에 따른 증상, 뇌졸중의 임...
[간호이론] 로이의 4개 적응유형 적용 - 1)주어진 이론에 대해 정리 2)대상자(만성질환자)를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성인간호학) 귀의 건강사정
[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간호학] 혈액계 건강사정(노화에 따른 혈액계 변화)
[간호학] 호흡기계 사정
[간호학] 혈관계 구조와 기능 및 건강사정
[간호학] 호흡기계 사정 (성인&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