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상수 관로
▶ 도수와 송수
▶ 상수도 관
1) 종류 및 특징
2) 관의 접합(이음)
3) 손실수두 및 기타 설계등에 관한 수리
4) 기타 부대 설비
▶ 배수 및 급수
▶ 부식에 따른 개•보수, 상수시설 개량 및 확충
Ⅱ. 하수관로
참고문헌
▶ 도수와 송수
▶ 상수도 관
1) 종류 및 특징
2) 관의 접합(이음)
3) 손실수두 및 기타 설계등에 관한 수리
4) 기타 부대 설비
▶ 배수 및 급수
▶ 부식에 따른 개•보수, 상수시설 개량 및 확충
Ⅱ. 하수관로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 관의 비용이 과대해질 경우 에 적합
4) 하수 유입 방지책이 필요
1) 자유수면이 없는 흐름
-압력에 의한 흐름
2) 동수구배선 이하, 배관대면 경사 이하의 굴곡은 관계 없다.
3) 내압 강도가 큰 재질의 관을 사용
4) 오염방지의 측면에서는 관수로식이 유리 하다
<표1. 개수로식과 관수로식의 비교>
<그림 3. 관로의 부대시설 품명>
▣ 상수도 관
: 취수지점에서 정수장까지 원수를 도수하는 관을 도수관, 정수지에서 배수지까지 정수된 물을 송수하는 관을 송수관, 배수지에서 급수지에 보내는 관을 배수관, 급수지에서 각 가정에 보내는 관을 급수관이라 한다.
- 도수,송수관 : 주철관, 강관, PS콘크리트관 사용
- 배수관 : 주철관
- 급수관 : 아연도금한 강관, PVC 사용
⇒ 도수 및 송수관용인 콘크리트관이나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은 배수관용으로 부적당 하며 또환 관은 내,외압에 견딜수 있는 강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무근 콘크리트관, 도관, 목관 죽관은 사용해서는 안된다.
(1) 관종의 선정 조건
① 내외압에 의해 안전할 것
② 관경에 대하여 강도가 적당할 것
③ 매설조건과 환경에 적합한 시공성을 가질것
④ 수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아야할 것
(2) 관경의 결정
① 최저 동수구배를 기준으로 하고 계획유량이 충분히 흐를 수 있는 크기여야 하며 관의 마찰손실 등을 감안해야 한다.
② 자연유하식의 경우 시점과 종점이 자유수면을 가질 때 시점의 저수위(L.W.L)와 종점의 고수위(H.W.L)에서 최소 동수구배가 되면 펌프송수의 경우 펌프 흡입정의 저수위에 펌 프의 전양정을 전한 것을 최소 동수구배로 한다.
③ 주철관, 덕타일 주철관,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는 통수년수의 경과에 따라 통수능력이 감퇴되므로 설계시 이를 고려하여 15~20년 후의 마찰계수를 선택하여야 한다.
④ 도수,송수관의 평균 유속의 최대한도는 <표2>와 같고 도수관의 평균 유속이 최소 한도 는 모래 입자의 침전ㅇ르 방지하기 위하여 0.3m/s로 한다. 그러나 송수관로에 있어서는 정수를 취급하므로 토사의 퇴적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평균 유속의 최소한도를 정할 필요도 없다.
관내면 상태
평균유속의 최대한도
콘크리트
3.0m/s
실드 도장
5.0m/s
강철, 주철, 경질염화비닐
3.0m/s
관경(mm)
유속(m/s)
75~150
0.7~0.1
200~300
0.8~0.2
350~600
0.9~1.4
<표 2>도수,송수의 평균유속 최대 한도 <표3>수도용 주철관이 경제적 속도
(3)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수도관
관 종
규 격
관 경(mm)
주철관(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
KS D 4311
80~1200
주철관(수도용 원심력 금형 주철관)
KS D 4312
80~300
주철관(수도용 덕타일 주철 이형관)
KS D 4308
80~1200
수도용 아연도 강관
KS D 3537
10~500
수도용 도복장 강관
KS D 3565
80~3000
수도용 도복장 강관 이형관
KS D 3578
80~1500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3595
8~300
분말 용착식 폴리에틸렌 피복강관
KS D 3607
배관용 탄소강관 등을 원관으로 사용(6~500)
수도용 에폭시 수지분체내외면코팅 강관
KS D 3608
코어(Core)식 PS콘크리트관
KS F 4405
500~2000
PS 실린더 콘크리트 관
KS F 4406
500~2000
관 종
규 격
관 경(mm)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07
6~500
이음매 없는 동 및 동합금관
KS D 5301
8~150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KS F 4403
75~1800
측적압 철근 콘크리트관
KS F 4407
150~3000
수도용 경질 경화비닐관
KS M 3401
13~300
수도용 경질 염화비닐 이음관
KS M 3402
13~300
새마을 간이 상수도용 경질 염화비닐관
KS M 3403
13~100
수도용 폴리에틸렌관
KS M 3408
10~50
<표3> 국내생산 관종
(4) 상수도 관의 종류에 따른 장 단점
종 류
장 점
단 점
주철관
1. 강도가 비교적 크고 내구성이 있다
2. 시공이 간편하고 확실성이 있다
3. mechanical 이음은 신축성이 있고 시공이 쉽다
4. 녹에 의한 부식에 저항력이 크다
1. 중량이 크므로 운반 포설이 곤란하다
2. 관 내면에 스케일이 발생한다
3. 접합부가 이탈하기 쉽다
4. 고무접합 재료의 노화로 누수되기 쉽 다
강관
1. 강도가 높고 외상의 염려가 적다
2. 경질로서 침하, 지형변호, 수축 등 에 안전성이 크다
3. 주량이 비교적 가벼워 현장취급이 용이하고 현장가공이 쉽다
4. 이형관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어 배관이 용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
1. 처짐이 크고 부식되기 쉽다
2. 전식(電蝕)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3. 나사 이음부의 녹물현상 및 스케일이 많이 발생한다
4. 물이 나고 협소한 장소에서는 현장가 공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종류
장 점
단 점
경질염화
비닐관
(PVC)
1. 내식성과 내전식성이 좋다
2. 중량이 적고 시공성이 좋다
3. 가열접합 또는 냉간접합이 쉽다
4. 가력이 저렴하다
1. 강도가 작아 충격에 약하다
2. 유기용제, 열, 자외선에 약하다
3. 온도에 의한 팽창이 금속관의 6~7배 이므로 신축접합을 요한다
콘크리트관
1. 부식에 강하다
2.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
1. 중량이 무거워 취급 및 시공이 곤란
2. 접합부의 누수 발생이 쉽다.
3.양질의 지반이여야 하며 급경사지에는 무리다 (현재 상도관관으로 이용이 거 의 없다)
석면
시멘트관
1. 내식성, 내전식성이 크다
2. 열의 불량도체이다
3. 가볍고 신축성이 있다
1. 외압에 의한 강도가 약하므로 작업운 반에 주의를 요한다
2. 수질, 토질에 따라 부서지기 쉽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도용관으로 생산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관
1. 중력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다
2. 휨성이 좋다
3. 용착접합을 하므로 접합부의 누수가 거의 없다
1. 팽창계수가 크므로 고온일때 신축의 배력 필요
2. 인강강도가 작다
동관
1. 중량이 가벼워 운반이 편리하다
2. 시멘트에 침식이 안되면 콘크리트속 에 포설이 적합하다
3. 관내 스케일 발생이 없다
1. 관두께가
4) 하수 유입 방지책이 필요
1) 자유수면이 없는 흐름
-압력에 의한 흐름
2) 동수구배선 이하, 배관대면 경사 이하의 굴곡은 관계 없다.
3) 내압 강도가 큰 재질의 관을 사용
4) 오염방지의 측면에서는 관수로식이 유리 하다
<표1. 개수로식과 관수로식의 비교>
<그림 3. 관로의 부대시설 품명>
▣ 상수도 관
: 취수지점에서 정수장까지 원수를 도수하는 관을 도수관, 정수지에서 배수지까지 정수된 물을 송수하는 관을 송수관, 배수지에서 급수지에 보내는 관을 배수관, 급수지에서 각 가정에 보내는 관을 급수관이라 한다.
- 도수,송수관 : 주철관, 강관, PS콘크리트관 사용
- 배수관 : 주철관
- 급수관 : 아연도금한 강관, PVC 사용
⇒ 도수 및 송수관용인 콘크리트관이나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은 배수관용으로 부적당 하며 또환 관은 내,외압에 견딜수 있는 강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무근 콘크리트관, 도관, 목관 죽관은 사용해서는 안된다.
(1) 관종의 선정 조건
① 내외압에 의해 안전할 것
② 관경에 대하여 강도가 적당할 것
③ 매설조건과 환경에 적합한 시공성을 가질것
④ 수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아야할 것
(2) 관경의 결정
① 최저 동수구배를 기준으로 하고 계획유량이 충분히 흐를 수 있는 크기여야 하며 관의 마찰손실 등을 감안해야 한다.
② 자연유하식의 경우 시점과 종점이 자유수면을 가질 때 시점의 저수위(L.W.L)와 종점의 고수위(H.W.L)에서 최소 동수구배가 되면 펌프송수의 경우 펌프 흡입정의 저수위에 펌 프의 전양정을 전한 것을 최소 동수구배로 한다.
③ 주철관, 덕타일 주철관,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는 통수년수의 경과에 따라 통수능력이 감퇴되므로 설계시 이를 고려하여 15~20년 후의 마찰계수를 선택하여야 한다.
④ 도수,송수관의 평균 유속의 최대한도는 <표2>와 같고 도수관의 평균 유속이 최소 한도 는 모래 입자의 침전ㅇ르 방지하기 위하여 0.3m/s로 한다. 그러나 송수관로에 있어서는 정수를 취급하므로 토사의 퇴적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평균 유속의 최소한도를 정할 필요도 없다.
관내면 상태
평균유속의 최대한도
콘크리트
3.0m/s
실드 도장
5.0m/s
강철, 주철, 경질염화비닐
3.0m/s
관경(mm)
유속(m/s)
75~150
0.7~0.1
200~300
0.8~0.2
350~600
0.9~1.4
<표 2>도수,송수의 평균유속 최대 한도 <표3>수도용 주철관이 경제적 속도
(3)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수도관
관 종
규 격
관 경(mm)
주철관(수도용 원심력 덕타일 주철관)
KS D 4311
80~1200
주철관(수도용 원심력 금형 주철관)
KS D 4312
80~300
주철관(수도용 덕타일 주철 이형관)
KS D 4308
80~1200
수도용 아연도 강관
KS D 3537
10~500
수도용 도복장 강관
KS D 3565
80~3000
수도용 도복장 강관 이형관
KS D 3578
80~1500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3595
8~300
분말 용착식 폴리에틸렌 피복강관
KS D 3607
배관용 탄소강관 등을 원관으로 사용(6~500)
수도용 에폭시 수지분체내외면코팅 강관
KS D 3608
코어(Core)식 PS콘크리트관
KS F 4405
500~2000
PS 실린더 콘크리트 관
KS F 4406
500~2000
관 종
규 격
관 경(mm)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07
6~500
이음매 없는 동 및 동합금관
KS D 5301
8~150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KS F 4403
75~1800
측적압 철근 콘크리트관
KS F 4407
150~3000
수도용 경질 경화비닐관
KS M 3401
13~300
수도용 경질 염화비닐 이음관
KS M 3402
13~300
새마을 간이 상수도용 경질 염화비닐관
KS M 3403
13~100
수도용 폴리에틸렌관
KS M 3408
10~50
<표3> 국내생산 관종
(4) 상수도 관의 종류에 따른 장 단점
종 류
장 점
단 점
주철관
1. 강도가 비교적 크고 내구성이 있다
2. 시공이 간편하고 확실성이 있다
3. mechanical 이음은 신축성이 있고 시공이 쉽다
4. 녹에 의한 부식에 저항력이 크다
1. 중량이 크므로 운반 포설이 곤란하다
2. 관 내면에 스케일이 발생한다
3. 접합부가 이탈하기 쉽다
4. 고무접합 재료의 노화로 누수되기 쉽 다
강관
1. 강도가 높고 외상의 염려가 적다
2. 경질로서 침하, 지형변호, 수축 등 에 안전성이 크다
3. 주량이 비교적 가벼워 현장취급이 용이하고 현장가공이 쉽다
4. 이형관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어 배관이 용이, 비교적 가격이 저렴
1. 처짐이 크고 부식되기 쉽다
2. 전식(電蝕)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3. 나사 이음부의 녹물현상 및 스케일이 많이 발생한다
4. 물이 나고 협소한 장소에서는 현장가 공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종류
장 점
단 점
경질염화
비닐관
(PVC)
1. 내식성과 내전식성이 좋다
2. 중량이 적고 시공성이 좋다
3. 가열접합 또는 냉간접합이 쉽다
4. 가력이 저렴하다
1. 강도가 작아 충격에 약하다
2. 유기용제, 열, 자외선에 약하다
3. 온도에 의한 팽창이 금속관의 6~7배 이므로 신축접합을 요한다
콘크리트관
1. 부식에 강하다
2.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
1. 중량이 무거워 취급 및 시공이 곤란
2. 접합부의 누수 발생이 쉽다.
3.양질의 지반이여야 하며 급경사지에는 무리다 (현재 상도관관으로 이용이 거 의 없다)
석면
시멘트관
1. 내식성, 내전식성이 크다
2. 열의 불량도체이다
3. 가볍고 신축성이 있다
1. 외압에 의한 강도가 약하므로 작업운 반에 주의를 요한다
2. 수질, 토질에 따라 부서지기 쉽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도용관으로 생산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관
1. 중력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다
2. 휨성이 좋다
3. 용착접합을 하므로 접합부의 누수가 거의 없다
1. 팽창계수가 크므로 고온일때 신축의 배력 필요
2. 인강강도가 작다
동관
1. 중량이 가벼워 운반이 편리하다
2. 시멘트에 침식이 안되면 콘크리트속 에 포설이 적합하다
3. 관내 스케일 발생이 없다
1. 관두께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