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의 분석에 대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양의 분석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토양시료의 채취방법 및 보관

제 2장 토양시료의 조제

제 3장 입경구분의 전처리

제 4장 Pipette법에 의한 입경구분

제 5장 수분측정

제 6장 가밀도(가비중, 용적밀도)와 진밀도(진비중) 측정

제 7장 공극율 측정

제8장 pH 측정

제 9장 토양유기물 분석

제 10장 염기치환용량(CEC Brown법)

제 11장 치환성 Ca, Mg, K, Na의 분석

제 12장 염기치환용량 ; 1N - 초산암모니움법

제 13장 토양중 아연함량 분석

제 14장 토양중 구리함량 분석

본문내용

온도는 pH표준액의 온도와 동일한 것이 좋다.
(2)만약 올바른 수치가 나오지 않으면 표준전극의 미세구멍이 부분적으로 막힘을 나타낸다. 이것은 토양입자로 인하여 미세구멍이 막혔거나 초자막 주위에 염화칼륨 결정이 과다하게 발생하였거나 포화 염화칼륨의 흐름을 억제하는 전극의 공기구멍의 부적당한 조정에 의하여 야기된다. 이들 문제는 주기적으로 공기구멍을 열어 주거나 증류수로 염화칼륨 결정을 세척하거나 포화 염화칼륨을 몇 차례 교환하거나 미세구멍이 있는 초자구가 약간 젖는 것같이 보일 때까지 고운 금강사로 전극하단을 주의하여 가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3)전극을 넣을 때 토양현탁을 만들어 곧바로 넣어서 측정한다.
(4)너무 오래 토양을 방치하면 미생물의 작용으로 탄산가스가 발생하여 pH가 낮아질 수 도 있다.
(5)pH(H2O)의 경우 토양용액의 pH와 근사한 치로 토양반응과 작물생육과의 관계를 아는 것은 좋은 자료가 되나 토양염류의 농도가 높아지면 수치는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제 9장 토양유기물 분석
토양의 유기탄소는 농 황산에 의한 강산성 조건에서 강력한 산화제인 중크롬산칼리움(K2Cr2O7)로 산화시키고 산화를 위해 소모된 산화제의 양으로부터 탄소함량을 알아내고 그 탄소함량에 1.724 즉, 토양부식중 탄소함량의 비를 곱해서 부식의 양으로하는 방법
(분석방법의 요지)
K2Cr2O7의 산화능
K2Cr2O7 + 8H2SO4 = 2H2SO4 + 2Cr2(SO4)3 + 8H2O + 6O
탄소의 산화
3C + 6O = 3CO2
탄소산화에 소모된 산화제의 양을 아는 방법으로 소위 역적정법을 쓰고 있는데 시료의 탄소함량에 따라 K2Cr2O7을 가해서 반응시킨 다음 잔량의 K2Cr2O7을 환원제인 황산제1철암모니움(Fe(NH4)2(SO4)2로 적정하여 산화에 소모된 K2Cr2O7 양을알게되는 이 적정은 일종의 산화환원 적정이다. 이 적정에서 쓰여지는 지시약은 diphenylamine이 흔이 쓰인다.
K2Cr2O7의 Fe(NH4)2(SO4)2에 의한 적정
K2Cr2O7 + Fe(NH4)2(SO4)2 = 2K2SO4 + 2Cr2(SO4)3 + 4Fe2O3 + 8(NH4)2SO4 + O2
1. 시약
(1) 0.4N 중크롬산칼리황산혼합액 ; (K2Cr2O7) 40g을 증류수 1L에 녹이고 여기에 발열하지 않도록 서서히 H2SO4(비중 1.84) 1L를 가하여 냉각한다. 이때 conc. H2SO4을 급격히 가하면 액온이 높아져 보존중에 중크롬산용액에 암적색의 침상 결정이 생기는 원인이 되며 결정이 생긴 용액은 역가가 떨여져 사용할 수 없다.
(2) 0.2N 황산제 1철암모니움용액 : AR급(Fe(NH4)2(SO4)2ㆍ6H2O 78.44g을 500mlwjd도의 증류수에 녹이고 20ml의 conc. H2SO4을 너고 서서히 증류수를 부어 1L로 채운다. 이용액을 보존하면 역가가 떨어지므로 수시로 0.1 KMnO4용액으로 표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3) 지시약
diphenylamine : 증류수 20ml에 conc. H2SO4 100ml를 가한 뒤 diphenylamine 0.5g을 녹인다.
2. 조작
- 토양시료0.1-0.5g(200mesh 통과시료)을 250ml 삼각flask에 취하고 10ml의 0.4N 중크롬산칼리황산혼합액을 가한 다음 소형 여두를 덮고 200℃ 정도의 뜨거운 전열판에서 가열한다.
- 용액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flask바닥에 기포가 발생하기 시작할 때부터 정확히 5분간 끊인 다음 전열판으로부터 내린다. 유수중에서 냉각시키고 여두에 묻어있는 중크롬산칼리황산환합액을 적은 양의 증류수로 씻어 내린 다음 증류수 약 150ml를 가한다.
- 약 5ml의 85% H3PO4과 5-6 방울의 지시약을 가하고 0.2N 황산제1철암모니움 용액으로 적정한다. 적정의 종말점은 diphenylamine을 지시약으로 사용할때는 액색이 주황색으로부터 남청색을 거처 담록색으로될 때 적정의 종말점으로 한다.
- 토양의 유기물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적정하지 않아도 액색이 남청색 또는 녹색이 될 수 있다. 이런때는 토양시료의 양을 줄이거나 중크롬산칼리황산혼합액을 증가시켜 재분석을 해야 한다.
- 위 조작과 병행해서 빈 삼각 flask에 중크롬산칼리황산혼합액을 동일한 분석과정으로 조작하여 Blank test를 실시한다.
3. 계산
C % = (B-T)×f×0.2×12/4,000×100/토양무게(g) 단, B는 Blank 적정치, T는 시료적정치, f는 적정액의 농도보정계수, 4,000은 탄소의 규정농도(1L=1,000ml, c는 4가, 12는 탄소의 원자량) 토양의 유기물함량(%) = C(%)×1.724
- 토양유기물함량을 g/kg으로 표시할 경우 %값에 10을 곱한다.
제 10장 염기치환용량(CEC Brown법)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는 일명 염기치환용량(base exchange capacity)라 한다. CEC는 토양이 갖는 음전하(negative charge)의 총량이라 한다. 양이온(Al3+, Ca2+, Mg2+, NH4+, K+, Na+, H+ 등)을 교환할 수 있는 최대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토양의 지력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토양중 양이온 치환용량은 H+이온과 타 양이온을 합하므로서 알 수 있다. H+이온은 NH4OAc(pH 7.0)을 토양에 가하면 토양교질에 흡착되어 있는 H+ 이온이 NH4+과 치환되어 용약 중 pH를 하강시키는데 이 차이로서 H+의 당량을 계산할 수 있고, 타 양이온은 HOAc(pH 3.21)로서 토양교질에 흡착된 양이온과 H+ 이온이 치환되어 용액중의 pH를 상승시키는데 이 차이로서 토양의 타 양이온 총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Brown이 제한한 것으로 정확도는 다소 낮으나 산성토양을 많이 분석할 경우 오히려 유리하다.
1. 1N 초산암모니움침출법
(1) 시약
1N NH4OAc(pH 7.0) : CH3COOHNH4 77.08g를 증류수에 녹여 1L로 채우고 CH3COOH나 NH4OH로 pH 7.0으로 조절한다.
(2) 조작 : 100ml 삼각플라스크에 풍건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9.12
  • 저작시기200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