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인생 8장~15장 요약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과 인생 8장~15장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8장 서 종 택 [ 줄 칼 ]

9장 정 종 명 [ 이 명 ]

10장 김 용 우 [ 비둘기 사냥 ]

11장 구 인 환 [ 산정의 신화 ]

12장 한 용 한 [이 다음에 우리는 누구의 가슴에 따뜻한 별빛으로 남을 수 있으랴]

13장 림 종 상 [ 쇠 찌르레기 ]

14장 이 원 길 [ 배움의 길 ]

15장 이 재 홍 [ 숨 비 소 리 ]

본문내용

락으로 하루하루를 지낸다. 그러던 중 마른가지위에서 그를 유유히 바라보는 비둘기 한 마리를 만단다. 그는 그놈에게 총을 들이대지만 그놈은 도리어 더 당당히 앞가슴을 그에게 들이댄다. 그는 이제야 자신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인식하게 된다. 즉 비둘기를 ‘타자’로 바라보는 나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비둘기들이 살고 있던 천연의 늪지대가 환락의 인간의 도시로 변해버린 것이다. 그러나 다시 야만의 복수가 펼쳐진다. 사람들은 비둘기가 만든 감옥에 갇힌 꼴이 되었고 도시는 원래의 주인이었던 비둘기에게 돌아가게 된 것이다.
4. 심화학습
1). 이 소설에 나타난 인물묘사와 사건묘사 중 탁월하게 표현된 대목을 3가지를 고르시오.
(1) 골목에서 큰 실로 나온 그는 길가에 세워둔 자신의 지프에 올라 시동을 건다. 헤드라이트를 켜자 길바닥에 쓰레기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는 게 보인다. 바람에 날리는 커다란 신문지 사이로 이쪽을 보고 있는 파란 눈이 보인다.
(2) 어디서 몰려오는지 먹장구름처럼 몰려온 비둘기 떼들은 이제 주택과 관공서 등에 떼지어 날아들어 공포의 배설물로 덮어놓았고, 유리 창문을 쪼거나 몸으로 부딪히며 덤벼들었다. 사람들은 이제 비둘기가 만든 감옥에 갇힌 꼴이 되었고 도시는 원래의 주인이었던 비둘기에게 돌아간 셈이었다.
(3) 놈은 도도하게 앞가슴을 벌린 채 저만큼 아무렇게나 버려진 총신 위에 앉아 있다. 그가 자신을 발견한 것을 확인했다는 것일까. 크게 입을 벌려 예의 그 날카로운 소리를 지른다. 그는 속수무책으로 전율할 수밖에 없었다.
2). 소설의 표현기법 가운데 관념적 소설과 사건적 소설의 장단점을 비교하시오.
(1) 관념적소설 : 철학적이고 추상적이기 때문에 작가의 사상 혹은 의견이 자세히 기술된다. 관념적 소설은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그 흐름에 맞춰가는 것이 아니므로 생각의 흐름대로 기술하다 보면 중구난방으로 글을 작성하게 돼 자칫 모호한 글이 될 우려가 있다.
(2) 사건적 소설 : 특정된 사건이 구체적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글의 주제가 명확히 드러난다 하지만 여러 사건이 등장하고 사건을 연결시키다 보면 불필요하게 여러 이야기만 난무하게 될 우려가 있다.
3). 김용우와 에드거 앨런 포우의 추리작품 성격을 비교 논술하시오.
이들의 소설은 ‘보여주기’와 ‘말하기’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인물이나 사건을 묘사하고 있다. ‘보여주기’를 통해 독자들이 직접 긴장감을 형성해 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말하기’를 통해 작가 자신의 판단이나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효과는 소설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더욱 명확하게 한다.
4). 보여주기(미메시스)와 말하기(디에게시스)의 효율성을 사례를 들어 논술하시오.
(1) 보여주기 : 당시의 상황을 묘사함으로써 작가의 의도대로가 아닌 독자들이 스스로 긴장감을 형성해 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2) 말하기 : 주인공의 속마음이나 심리상태를 구체적으로 알릴 수 있다.
제 11 장 구 인 환 [ 산정의 신화 ]
1. 주 제
이상에 대한 끝없는 열망.
주인공은 어릴 적 추억을 같이했던 가시내의 눈빛을 잊지 못하고 그 이상을 끝없이 찾아 헤맨다. 이렇듯 우리는 더 나은 이상향을 꿈꾸며 살아가는 인간들의 욕망에서 우리가 살아가고자 하는 힘이 나온다. 그 욕망은 끊임없을 것이며 그 욕망의 꿈이 계속되는 한 인간의 삶은 승화되어 연소된다는 것이다.
2. 인 물
경호 : 주인공으로서 추억의 소녀의 순수한 눈빛을 찾아 헤맨다. 마지막에 미애의 눈빛에서도 어릴적 가시내의 비슷한 눈빛을 보지만 이상과 딱 맞는 눈빛에 대한 욕망은 계속된다.
미애 : 경호를 짝사랑하지만 경호가 찾는 순수한 눈빛의 소유자가 아니다. 그러던 중 미애의 수순한 눈빛을 경호가 발견하게 된다.
가시내 : 경호의 추억속의 가시내로서 경호가 찾아 헤매는 순수한 눈빛의 소유자이다.
3. 사 건
주인공 경호는 어린시절 추억을 같이한 가시내의 눈빛을 잊지못하고 그 눈빛을 찾기 위해 매일 역에 나가 기다린다. 경호를 좋아하는 미애는 술집에서 일하는 아이로 그런 순수한 눈빛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경호의 순수한 눈빛에 대한 염원은 산정에 오르는 꿈까지 꾸게된다. 산비탈을 힘겹게 오르고 험한 길이 나오지만 멈출 수는 없다. 산정이 푸른 하늘에 솟아 손짓하는 것만 같다. 그러나 도중에 숨이 가빠지고 갈증이 나 더 이상 갈수 없어 그 자리에 주저앉는다. 그는 끝내 산정에는 오르지 못한 것이다. 만약 그가 산정에 올라 그때 그 가시내의 눈빛을 보게 된다면 그의 꿈은 현실이 되는것이며 그가 꿈꾸던 낙원은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기에 그 눈빛은 실체가 되지 못하고 자꾸 욕망의 끝으로 달아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 경호는 미애의 눈빛에서 그 맑고 섬광과 같이 빛나는 가시내의 그것 같기도 한 눈빛을 보게된다. 그리고 미애의 손을 잡고 돌산의 정산으로 이끈다. 경호는 정말 그 눈빛을 본 것이 아니다. 그 눈빛은 경호의 손에 영원히 잡히지 않을 것이며 또한 경호도 그 눈빛을 찾기 위해 불타는 욕망을 버리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더 나은 세계를 바라는 인간의 욕망이기 때문이다.
4. 심화학습
1). 이 소설의 전체적 특징을 3가지로 압축하시오.
(1) 뚜렷한 스토리 라인이 없이 전개된다.
(2) 간결체의 사용으로 독자의 호흡을 짧게 하여 긴장감을 주기도 하지만 연속적인 사고의 흐름을 깨기도 한다.
(3) 빛이라는 이미지가 소설 전체를 지배하면서 그 빛을 향한 욕망에 따라 경호와 미애와 그 가시내의 눈빛과의 삼각구도를 이룬다. 이 욕망의 삼각구조는 욕망의 주체, 중개자, 욕망의 대상이 각각 가까워지고 멀어지면서 끊임없이 지속된다.
2). 경호와 미애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1) 경호 : 어릴 적 산마루에서 추억을 같이 했던 가시내의 눈빛을 잊지 못하고 그 눈빛을 찾기 위해 매일 역에 나가 기차에서 들어오는 사람들의 얼굴을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는, 자신이 갈망하는 눈빛을 향한 욕망에 불타오르는 인물이다.
(2) 미애 : 다방에서 일하는 소위 천한 직업을 가진 여자이지만 경호에게 지고지순한 사랑을 보여주는 인물로써, 허상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9.1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