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방사선이란?
제2절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
제3절 방사선장해
제4절 방사선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제2절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
제3절 방사선장해
제4절 방사선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본문내용
2) 임신 중의 피폭에 의한 태아의 방사선 장해
피 폭 시 기
장 해 효 과
수태, 임신 2~3주 이내
○ 착상실패로 인한 배아 또는 태아사망
○ 피폭선량이 이하에서는 발생 않음
임신 4주~출산기(주요 장기
및 기관 생성, 성장기)
○ 장기의 기형발생(결정적 영향)
: 발단선량
○ 출생 후 암 발생위험 증가(확률적 증가)
임신 8~15주
○ 일본 원폭피해 생존자 자료(결정적 영향)
: 지능지수 부진, 30 IQ point
○ 0.1Sv 이하일 경우 IQ 분포의 변화 없음
○ 지능장해 확률계수 :
임신 16~25주
○ 지능지수 부진, < 30 IQ point
○ 지능장해 확률계수 :
3.4 방사선피폭에 따른 염색체와 DNA영향
(1) 염색체
- 염색체 구성: DNA, 프로틴
- 세포핵 안에 존재
- 염색체의 한 쌍을 게놈(genome)이라고 부름
- 염색체 변이는 선천성 질환 유발
(2) DNA(Deoxyribonucleic acid)
- 생체정보 고분자
- 2중 나선구조이며 염색체 안에 존재
- DNA 구성 5탄당, 인산, 염기(구아닌, 싸이토신, 타이민, 아데닌 등)
- 방사선영향에서 DNA damage에 주목되는 이유
1) 생명체의 핵심
2) 거대분자이므로 대표적 표적(분자량 107 이상)
- 방사선 영향(fragment, deletion, dicentric, centric ring, translocation 등 다양)
- 방사선피폭에 따른 DNA 손상 후 단계
(별 첨) 참 고
제4절 방사선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4.1 방사선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 흡수선량
- 인체에 대한 선량과 장해와의 상관관계는 복잡하고 불확실한 점이 남아 있으나 선량이 결국 장해발생을 지배
(2) 선량률(선량의 시간분포)
- 인체피폭의 경우 손상받은 조직의 세포가 대사작용에 의하여 회복능력이 있으므로 단시간에 받을 경우 치명적인 선량준위도 장기간에 걸쳐 나누어 받게 되면 중대한 장해를 발현 않음
(3) 선량의 분포
- 동일한 흡수선량을 특정 장기가 균등분배한 상태의 피폭보다 그 장기의 일부가 집중 피폭 받는 경우가 장해발생 가능성이 큼
(4) 피폭의 범위
- 인체의 전신이 피폭받는 경우가 부분적으로 피폭받는 경우보다 장해발생 확률이 높음
(5) 피폭조직의 방사선 감수성
- 신체조직의 방사선 감수성은 세포나 조직의 종류에 따라 다름
- 세포분열 빈도가 높은 조직일수록 감수성이 큼
(6) 방사선의 선질
- 방사선의 종류 및 에너지 즉, 방사선의 선질이 다른 경우 장해발생 위험이 다름
(7) 방사성핵종의 장기 내 침착부위
- 동일한 장기에 침착하는 핵종이라도 구체적인 침착부위가 다름
- 라듐(Ra)과 플루토늄(Pu)은 다같이 뼈를 친화성 조직으로 하고 있으나 라듐은 뼈의 무기질 부위에, 플루토늄은 내부의 다공성 조직에 침착하므로 골수 피폭은 플루토늄의 영향 큼
(8) 인체 내에서의 반감기
- 방사성핵종의 물리적 반감기와 동핵종의 인체 내에서의 생물학적 반감기의 길고 짧음에 따라 피폭 영향에 차이가 있음
(9) 핵종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 섭취 또는 호흡하는 방사성핵종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따라 그것이 인체 내 침착하는 특성 및 부위가 달라질 경우도 있음
- 입자상의 핵종을 호흡할 경우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호흡기관에 침착하는 부위 가 다름
4.2 조직 장기의 방사선 감수성 순위
1. 림프조직 2. 골수
3. 생식선 4. 소장 및 대장 상피
5. 피부상피 6. 모세혈관
7. 수정체 8. 모낭
9. 신장 간장 10. 폐
11. 타액선 12. 피지선
13. 모든 피부층 14. 췌장
15. 갑상선 16. 근육
17. 연골 18. 골
19. 신경세포 및 신경섬유
피 폭 시 기
장 해 효 과
수태, 임신 2~3주 이내
○ 착상실패로 인한 배아 또는 태아사망
○ 피폭선량이 이하에서는 발생 않음
임신 4주~출산기(주요 장기
및 기관 생성, 성장기)
○ 장기의 기형발생(결정적 영향)
: 발단선량
○ 출생 후 암 발생위험 증가(확률적 증가)
임신 8~15주
○ 일본 원폭피해 생존자 자료(결정적 영향)
: 지능지수 부진, 30 IQ point
○ 0.1Sv 이하일 경우 IQ 분포의 변화 없음
○ 지능장해 확률계수 :
임신 16~25주
○ 지능지수 부진, < 30 IQ point
○ 지능장해 확률계수 :
3.4 방사선피폭에 따른 염색체와 DNA영향
(1) 염색체
- 염색체 구성: DNA, 프로틴
- 세포핵 안에 존재
- 염색체의 한 쌍을 게놈(genome)이라고 부름
- 염색체 변이는 선천성 질환 유발
(2) DNA(Deoxyribonucleic acid)
- 생체정보 고분자
- 2중 나선구조이며 염색체 안에 존재
- DNA 구성 5탄당, 인산, 염기(구아닌, 싸이토신, 타이민, 아데닌 등)
- 방사선영향에서 DNA damage에 주목되는 이유
1) 생명체의 핵심
2) 거대분자이므로 대표적 표적(분자량 107 이상)
- 방사선 영향(fragment, deletion, dicentric, centric ring, translocation 등 다양)
- 방사선피폭에 따른 DNA 손상 후 단계
(별 첨) 참 고
제4절 방사선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4.1 방사선장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 흡수선량
- 인체에 대한 선량과 장해와의 상관관계는 복잡하고 불확실한 점이 남아 있으나 선량이 결국 장해발생을 지배
(2) 선량률(선량의 시간분포)
- 인체피폭의 경우 손상받은 조직의 세포가 대사작용에 의하여 회복능력이 있으므로 단시간에 받을 경우 치명적인 선량준위도 장기간에 걸쳐 나누어 받게 되면 중대한 장해를 발현 않음
(3) 선량의 분포
- 동일한 흡수선량을 특정 장기가 균등분배한 상태의 피폭보다 그 장기의 일부가 집중 피폭 받는 경우가 장해발생 가능성이 큼
(4) 피폭의 범위
- 인체의 전신이 피폭받는 경우가 부분적으로 피폭받는 경우보다 장해발생 확률이 높음
(5) 피폭조직의 방사선 감수성
- 신체조직의 방사선 감수성은 세포나 조직의 종류에 따라 다름
- 세포분열 빈도가 높은 조직일수록 감수성이 큼
(6) 방사선의 선질
- 방사선의 종류 및 에너지 즉, 방사선의 선질이 다른 경우 장해발생 위험이 다름
(7) 방사성핵종의 장기 내 침착부위
- 동일한 장기에 침착하는 핵종이라도 구체적인 침착부위가 다름
- 라듐(Ra)과 플루토늄(Pu)은 다같이 뼈를 친화성 조직으로 하고 있으나 라듐은 뼈의 무기질 부위에, 플루토늄은 내부의 다공성 조직에 침착하므로 골수 피폭은 플루토늄의 영향 큼
(8) 인체 내에서의 반감기
- 방사성핵종의 물리적 반감기와 동핵종의 인체 내에서의 생물학적 반감기의 길고 짧음에 따라 피폭 영향에 차이가 있음
(9) 핵종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 섭취 또는 호흡하는 방사성핵종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따라 그것이 인체 내 침착하는 특성 및 부위가 달라질 경우도 있음
- 입자상의 핵종을 호흡할 경우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호흡기관에 침착하는 부위 가 다름
4.2 조직 장기의 방사선 감수성 순위
1. 림프조직 2. 골수
3. 생식선 4. 소장 및 대장 상피
5. 피부상피 6. 모세혈관
7. 수정체 8. 모낭
9. 신장 간장 10. 폐
11. 타액선 12. 피지선
13. 모든 피부층 14. 췌장
15. 갑상선 16. 근육
17. 연골 18. 골
19. 신경세포 및 신경섬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