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유품종이 2년 정도 오래가며, 통일 품종은 피하는 것이 좋다. 갈대는 5년이상 오래가나 많이 깔아야 하므로 무겁고, 이끼가 많이 끼이므로 물매가 세야 하고(된물매), 여름철 미생물 활동이 활발한 평야 부에는 적합하지 않다.
지붕 모양은 맞배(박공)지붕, 모임(우진각)지붕, 팔작(합각)지붕이 있다.
지붕 물매는 기후와 강우량, 지붕 재료와 시공법, 흐름면 길이, 살림집 외관에 따라 다르다. 싼물매(0~3/10), 보통물매(3/10~6/10), 된물매(6/10~10/10)로 나뉘나 3.5/10~5.5/10이 괜찮다.
기와는 형식으로 1)암키와와 수키와를 함께 쓰는 조선기와, 2)왜기와 또는 잿기미로 불리며 남쪽 지방에서 많이 쓰는 백제기와, 3)암카와와 수키와가 하나로 된 오지기와 (일명 양기와)로 나뉜다.
7. 벽체꾸미기
기둥과 기둥 또는 벽선에 가로질러 가로재인 인방을 대고, 세로재인 벽선를 넣고, 심벽을 하고 진흙을 친다.
인방은 기둥과 기둥 또는 벽선에 가로질러 뼈대나 문틀이 되는 가로재로서 상인방(상방), 중인방(중방), 하인방(하방)을 아울러 말한다. 문 밑에 있는 인방을 문지방이라 하고 창 밑에 있는 인방을 창지방이라 한다.
가지방은 문지방 위에 덧대어 기둥과 벽선 사이에 이중으
로 건너지른 창지방이다. 합중방은 하인방이나 문지방 위 인방을 겹쳐 놓아 문턱을 높이거나 인방을 보강하는 것이다.
벽선은 벽을 막고 창문이 달리거나 옆을 막아주는 세로재다. 흔히 문설주라 한다.
상하인방에 세로로 욋가지를 엮어 매는 가는 나무를 중기이라 한다. 상하인방에 구멍을 파서 끼우나 나무를 잘라대고
지붕 모양은 맞배(박공)지붕, 모임(우진각)지붕, 팔작(합각)지붕이 있다.
지붕 물매는 기후와 강우량, 지붕 재료와 시공법, 흐름면 길이, 살림집 외관에 따라 다르다. 싼물매(0~3/10), 보통물매(3/10~6/10), 된물매(6/10~10/10)로 나뉘나 3.5/10~5.5/10이 괜찮다.
기와는 형식으로 1)암키와와 수키와를 함께 쓰는 조선기와, 2)왜기와 또는 잿기미로 불리며 남쪽 지방에서 많이 쓰는 백제기와, 3)암카와와 수키와가 하나로 된 오지기와 (일명 양기와)로 나뉜다.
7. 벽체꾸미기
기둥과 기둥 또는 벽선에 가로질러 가로재인 인방을 대고, 세로재인 벽선를 넣고, 심벽을 하고 진흙을 친다.
인방은 기둥과 기둥 또는 벽선에 가로질러 뼈대나 문틀이 되는 가로재로서 상인방(상방), 중인방(중방), 하인방(하방)을 아울러 말한다. 문 밑에 있는 인방을 문지방이라 하고 창 밑에 있는 인방을 창지방이라 한다.
가지방은 문지방 위에 덧대어 기둥과 벽선 사이에 이중으
로 건너지른 창지방이다. 합중방은 하인방이나 문지방 위 인방을 겹쳐 놓아 문턱을 높이거나 인방을 보강하는 것이다.
벽선은 벽을 막고 창문이 달리거나 옆을 막아주는 세로재다. 흔히 문설주라 한다.
상하인방에 세로로 욋가지를 엮어 매는 가는 나무를 중기이라 한다. 상하인방에 구멍을 파서 끼우나 나무를 잘라대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