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중국 복식의 역사적 큰 흐름과 그 문화적 배경
Ⅱ. 시대별 중국 복식
1. 은대의 복식 문화
2. 주대의 복식 문화
3. 진․한대의 복식 문화
4. 위진 남북조시대의 복식 문화
5. 수․당․오대의 복식 문화
6. 송 대의 복식 문화
7. 요․금․원대의 복식 문화
8. 명대의 복식 문화
9. 청대의 복식 문화
10. 중국의 복식 혁명- 신해혁명과 복식의 변화
Ⅲ. 한․호 갈등과 동화의 복식
Ⅳ. 복식 문양의 상징성
Ⅴ. 중국 복식의 색깔에 대한 금기
Ⅵ. 전족
1. 전족의 기원
2. 전족의 과정
3. 전족이 생기게 된 원인
Ⅶ. 중국 소수 민족의 복식
1. 서북 지역의 회족
2. 서남 지역의 묘족
3. 중남․화남 지역의 장족
4. 동북․내몽골 지역의 몽골족
5. 동북․내몽골 지역의 달알이족(따알족)
참고자료
Ⅱ. 시대별 중국 복식
1. 은대의 복식 문화
2. 주대의 복식 문화
3. 진․한대의 복식 문화
4. 위진 남북조시대의 복식 문화
5. 수․당․오대의 복식 문화
6. 송 대의 복식 문화
7. 요․금․원대의 복식 문화
8. 명대의 복식 문화
9. 청대의 복식 문화
10. 중국의 복식 혁명- 신해혁명과 복식의 변화
Ⅲ. 한․호 갈등과 동화의 복식
Ⅳ. 복식 문양의 상징성
Ⅴ. 중국 복식의 색깔에 대한 금기
Ⅵ. 전족
1. 전족의 기원
2. 전족의 과정
3. 전족이 생기게 된 원인
Ⅶ. 중국 소수 민족의 복식
1. 서북 지역의 회족
2. 서남 지역의 묘족
3. 중남․화남 지역의 장족
4. 동북․내몽골 지역의 몽골족
5. 동북․내몽골 지역의 달알이족(따알족)
참고자료
본문내용
골족은 자연환경과 유목생활의 특징이 잘 살아 있는 각종 복식을 만들어 독특한 민족적 풍모와 정서를 유지하고 있다.
1) 몽골포
몽골족은 지역에 따라 재질이나 양식, 착용방법 등에 차이가 있지만, 남녀노소 모두 북방민족의 공통적인 장포 형태인 몽골포를 착용한다.
목축지역에서는 주로 양피로 만든 몽골포를 착용하나, 삼림지역에서 서식하는 담비, 너구리, 은다람쥐 등과 심지어는 호랑이 등의 맹수가죽으로 몽골포를 만들기도 한다. 동부 농업지역에서는 내지에서 유입된 주단이나 면포를 사용하여 봄과 가을에는 겹으로, 겨울에는 솜을 넣은 장포를 착용한다. 이곳은 또한 만족의 영향으로 몽골포가 길고 트임이 있다.
남자의 몽골포는 남색이나 갈색이며 여자는 녹, 자, 남, 홍색을 선호한다. 겨울철에는 수달피 등 들짐승 털로 선을 두르기도 한다. 몽골포에는 직물로 만든 요대가 필수적이나 부녀가 결혼하여 요대를 매지 않은 경우에 “포사귀”라 한다.
중부지방 목축지구의 겨울철 양피포는 마분(馬糞)으로 훈연하여 비단같이 부드럽게 하여 만든다. 미혼녀의 피포는 어깨둘레와 옷 주위에 연식을 하며, 여름철 장포는 면포나 주단으로 만든다.
2) 감견 배심, 배자, 바갑, 배탑이라고 불리며, 오늘날 회, 바이, 만족 등이 즐겨 착용하는 소매없는 상의이다.
과 마괘
내몽골 중부의 올더스 지방은 만족의 영향으로 남녀가 모두 몽골포 위에 감견을 착용하는데 남자는 그 위에 마괘를 더 착용한다. 특히 미혼녀들은 장포에 채화요대를 매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혼 후에는 요대 대신 장감견을 착용한다. 감견은 소매가 없는 옷으로 남자는 대개 단색 단감견을 여자는 장감견을 입는다. 장감견은 특히 “오길(烏吉)”이라고 하여 결혼 예복으로 착용되는데 대금(對襟)형식이 일반적이고, 뉴구 즉 금속단추와 헝겊 고리로 여민다.
3) 채화요대
요대는 장식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것으로 몽골포 착용에 있어서 필수품이다. 몽골족은 일반적으로 남자를 “포사태혼”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요대를 맨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기혼부녀를 “포사귀혼”이라 칭하는 것은 “요대가 필요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요대는 몽골어로 “포사”라고 하는데 길이는 대개 3-4미터이며, 폭은 전폭을 사용한다. 요대는 홍, 황, 남, 녹색 등의 주단이나 면포로 만들어 장포색과 선명한 대조를 이루도록 한다.
포요대는 호원의 한랭한 기후에서 보온성을 위한 것인데 기마 시에 척추를 수직으로 안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특히 남자는 요대를 맨 후 포를 위로 끌어 올려 활동에 편리하며 용감하게 보이도록 하고 여자는 장포를 밑으로 잡아당겨 허리를 보다 날씬하게 보이도록 착용한다.
4) 몽골화
몽골족 신발에는 혜(鞋)와 화(靴)가 있다. 혜는 단화를 말하는 것으로 올랍이라고 하며 소, 말 , 돼지가죽으로 만든다. 그 모양은 특히 발부리가 위로 올라간 배 모양이며 가죽을 훈연하여 황색피로 만들어 솜이나 올랍초를 넣어 보온한다.
유목문화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몽골화는 구두목이 매우 긴 장통화로 포화(布靴)와 피화(皮靴)가 있다. 포화는 일반적으로 후포(厚布)로 만들며 유연하고 가볍다. 피화는 짐승가죽으로 만들며 튼튼하고 방수와 방한성이 우수하다. 특히 발부리가 위로 구부러진 첨상권 형태는 기마 시에 말안장의 발걸이를 지탱해 주며, 초원에서 보행 시에 마찰도 적고 방한성도 우수하다. 장화 속에는 보통 솜버선이나 모직버선을 신는다.
5. (동북. 내몽골 지역)의 達斡爾族
1) 수피의
달알이족(따알족)에게 수렵활동과 겨울철 방한에 필수적인 짐승 가죽의 옷이 발달한 것은 중국 내지에서 포백의 입수가 어렵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청대에 이르러 조정에 헌납되는 진공피 대신으로 면포가 다량 유입되어 여자들은 포백의를 착용할 수 있었다. “득륵”이라는 피의장포는 겨울철의 치밀한 모질의 구피로 만들며, 이외에 양, 여우, 살쾡이의 가죽으로 장포를 만들기도 한다. 피포는 대금(對襟)과 대금(大襟)양식이 있는데 길이는 무릎에 이르고 남자의 포는 기마에 편리하도록 양면이나 전후에 트임을 준다.
2) 포백의
최근에는 포백의 입수가 가능하여 남자는 외출 시에 남색의 면장포를 즐겨 입는다. 면포는 우임대금(大襟)이며 흑색 포백의 요대를 착용하고 좌우에 트임이 있으며 연식을 한다. 겨울철에는 이 위에 짐승가죽의 감견을 걸친다. 예절을 중시하는 달알이족(따알족)은 특히 손님 접대 시는 면포의에 감견 착용이 필수적이다. 여자도 여름에는 남, 분홍색의 면포나 주단으로 만든 만족의 기포(치파오)와 비슷한 단포를 착용한다. 그리고 남녀 모두 평상시에 장포 속에 포한삼과 포고를 입는다. 특히 중년 이상의 남녀는 겨울에 면포 위에 짐승가죽으로 만든 마괘를 걸친다.
3) 요대
요대는 남자의 장포 착용 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허리에 두세 번 두르고 양단을 뒷면에서 매어 늘어트린다. 외출 시에는 요대의 좌측에는 고담배 주머니와 하포, 화렴(부싯돌)을 달고 우측에는 요도를 휴대하는 관습이 있다.
4) 모자 및 두식
남자는 여름철에 백포로 포두를 하거나 모자를 쓴다. 모자는 모정이 사각형인 회색전모가 있으며, 여름철에는 챙이 넒은 양초모와 과피모가 있다. 겨울철의 구두피모는 구두(狗頭)로 만들어 보온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수렵 시에 위장의 역할도 뛰어나다. 여자는 결혼해서 50세 까지는 머리를 올리고 조화, 구슬, 빗, 비녀, 머리꽂이 등을 꽂으며, 이후에는 정수리 중앙에 계를 올리고 비녀로 고정한다.
5) 신발과 장갑
남자는 겨울철에 가죽버선과 가죽장화를 신으며 여름철에는 면포버선과 면포혜를 신는다. 겨울철의 장화 속에 올랍초를 넣어 보온한다. 여자도 겨울철에 가죽신발을 신고 여름에는 백포말과 채색으로 자수한 포혜를 신는다. 장갑은 “파륵”이라 하는데 구피(狗皮)로 만든다.
< 참고문헌 >
「아시아 전통복식」 홍나영 외 2명(2004) 교문사
「중국문화의 이해」 이수웅, 김경일 저 (1995) 대한 교과서
「중국문화의 이해」중국어문학연구회 저 (2000) 학고방
「중국복식사」 이정옥 외 4명 (2000) 형설출판사
「중국 소수민족 복식」 박춘순, 조우현 저 (2002) 민속원
「중국의 성문화」유달림 저, 강영매
1) 몽골포
몽골족은 지역에 따라 재질이나 양식, 착용방법 등에 차이가 있지만, 남녀노소 모두 북방민족의 공통적인 장포 형태인 몽골포를 착용한다.
목축지역에서는 주로 양피로 만든 몽골포를 착용하나, 삼림지역에서 서식하는 담비, 너구리, 은다람쥐 등과 심지어는 호랑이 등의 맹수가죽으로 몽골포를 만들기도 한다. 동부 농업지역에서는 내지에서 유입된 주단이나 면포를 사용하여 봄과 가을에는 겹으로, 겨울에는 솜을 넣은 장포를 착용한다. 이곳은 또한 만족의 영향으로 몽골포가 길고 트임이 있다.
남자의 몽골포는 남색이나 갈색이며 여자는 녹, 자, 남, 홍색을 선호한다. 겨울철에는 수달피 등 들짐승 털로 선을 두르기도 한다. 몽골포에는 직물로 만든 요대가 필수적이나 부녀가 결혼하여 요대를 매지 않은 경우에 “포사귀”라 한다.
중부지방 목축지구의 겨울철 양피포는 마분(馬糞)으로 훈연하여 비단같이 부드럽게 하여 만든다. 미혼녀의 피포는 어깨둘레와 옷 주위에 연식을 하며, 여름철 장포는 면포나 주단으로 만든다.
2) 감견 배심, 배자, 바갑, 배탑이라고 불리며, 오늘날 회, 바이, 만족 등이 즐겨 착용하는 소매없는 상의이다.
과 마괘
내몽골 중부의 올더스 지방은 만족의 영향으로 남녀가 모두 몽골포 위에 감견을 착용하는데 남자는 그 위에 마괘를 더 착용한다. 특히 미혼녀들은 장포에 채화요대를 매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혼 후에는 요대 대신 장감견을 착용한다. 감견은 소매가 없는 옷으로 남자는 대개 단색 단감견을 여자는 장감견을 입는다. 장감견은 특히 “오길(烏吉)”이라고 하여 결혼 예복으로 착용되는데 대금(對襟)형식이 일반적이고, 뉴구 즉 금속단추와 헝겊 고리로 여민다.
3) 채화요대
요대는 장식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것으로 몽골포 착용에 있어서 필수품이다. 몽골족은 일반적으로 남자를 “포사태혼”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요대를 맨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기혼부녀를 “포사귀혼”이라 칭하는 것은 “요대가 필요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요대는 몽골어로 “포사”라고 하는데 길이는 대개 3-4미터이며, 폭은 전폭을 사용한다. 요대는 홍, 황, 남, 녹색 등의 주단이나 면포로 만들어 장포색과 선명한 대조를 이루도록 한다.
포요대는 호원의 한랭한 기후에서 보온성을 위한 것인데 기마 시에 척추를 수직으로 안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특히 남자는 요대를 맨 후 포를 위로 끌어 올려 활동에 편리하며 용감하게 보이도록 하고 여자는 장포를 밑으로 잡아당겨 허리를 보다 날씬하게 보이도록 착용한다.
4) 몽골화
몽골족 신발에는 혜(鞋)와 화(靴)가 있다. 혜는 단화를 말하는 것으로 올랍이라고 하며 소, 말 , 돼지가죽으로 만든다. 그 모양은 특히 발부리가 위로 올라간 배 모양이며 가죽을 훈연하여 황색피로 만들어 솜이나 올랍초를 넣어 보온한다.
유목문화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몽골화는 구두목이 매우 긴 장통화로 포화(布靴)와 피화(皮靴)가 있다. 포화는 일반적으로 후포(厚布)로 만들며 유연하고 가볍다. 피화는 짐승가죽으로 만들며 튼튼하고 방수와 방한성이 우수하다. 특히 발부리가 위로 구부러진 첨상권 형태는 기마 시에 말안장의 발걸이를 지탱해 주며, 초원에서 보행 시에 마찰도 적고 방한성도 우수하다. 장화 속에는 보통 솜버선이나 모직버선을 신는다.
5. (동북. 내몽골 지역)의 達斡爾族
1) 수피의
달알이족(따알족)에게 수렵활동과 겨울철 방한에 필수적인 짐승 가죽의 옷이 발달한 것은 중국 내지에서 포백의 입수가 어렵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청대에 이르러 조정에 헌납되는 진공피 대신으로 면포가 다량 유입되어 여자들은 포백의를 착용할 수 있었다. “득륵”이라는 피의장포는 겨울철의 치밀한 모질의 구피로 만들며, 이외에 양, 여우, 살쾡이의 가죽으로 장포를 만들기도 한다. 피포는 대금(對襟)과 대금(大襟)양식이 있는데 길이는 무릎에 이르고 남자의 포는 기마에 편리하도록 양면이나 전후에 트임을 준다.
2) 포백의
최근에는 포백의 입수가 가능하여 남자는 외출 시에 남색의 면장포를 즐겨 입는다. 면포는 우임대금(大襟)이며 흑색 포백의 요대를 착용하고 좌우에 트임이 있으며 연식을 한다. 겨울철에는 이 위에 짐승가죽의 감견을 걸친다. 예절을 중시하는 달알이족(따알족)은 특히 손님 접대 시는 면포의에 감견 착용이 필수적이다. 여자도 여름에는 남, 분홍색의 면포나 주단으로 만든 만족의 기포(치파오)와 비슷한 단포를 착용한다. 그리고 남녀 모두 평상시에 장포 속에 포한삼과 포고를 입는다. 특히 중년 이상의 남녀는 겨울에 면포 위에 짐승가죽으로 만든 마괘를 걸친다.
3) 요대
요대는 남자의 장포 착용 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허리에 두세 번 두르고 양단을 뒷면에서 매어 늘어트린다. 외출 시에는 요대의 좌측에는 고담배 주머니와 하포, 화렴(부싯돌)을 달고 우측에는 요도를 휴대하는 관습이 있다.
4) 모자 및 두식
남자는 여름철에 백포로 포두를 하거나 모자를 쓴다. 모자는 모정이 사각형인 회색전모가 있으며, 여름철에는 챙이 넒은 양초모와 과피모가 있다. 겨울철의 구두피모는 구두(狗頭)로 만들어 보온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수렵 시에 위장의 역할도 뛰어나다. 여자는 결혼해서 50세 까지는 머리를 올리고 조화, 구슬, 빗, 비녀, 머리꽂이 등을 꽂으며, 이후에는 정수리 중앙에 계를 올리고 비녀로 고정한다.
5) 신발과 장갑
남자는 겨울철에 가죽버선과 가죽장화를 신으며 여름철에는 면포버선과 면포혜를 신는다. 겨울철의 장화 속에 올랍초를 넣어 보온한다. 여자도 겨울철에 가죽신발을 신고 여름에는 백포말과 채색으로 자수한 포혜를 신는다. 장갑은 “파륵”이라 하는데 구피(狗皮)로 만든다.
< 참고문헌 >
「아시아 전통복식」 홍나영 외 2명(2004) 교문사
「중국문화의 이해」 이수웅, 김경일 저 (1995) 대한 교과서
「중국문화의 이해」중국어문학연구회 저 (2000) 학고방
「중국복식사」 이정옥 외 4명 (2000) 형설출판사
「중국 소수민족 복식」 박춘순, 조우현 저 (2002) 민속원
「중국의 성문화」유달림 저, 강영매
추천자료
[중국문화] 중국의 서태후의 인물 분석과 중국사에 미친 영향 및 중국문화
[중국][중국문화][중국의 문화][중국의 역사][중국의 역사 연표][분기별 중국의 역사][중국 ...
맥도날드의 타문화이해와 맥도날드화
마틴 개논(Martin. J. Gannon)의 ‘세계문화이해’
중국의국제협상문화,중국의문화적특성,중국인의가치관,중국의경영가치관
2015년 2학기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중국문화산책_중국문화를 설명할 때 남방 문화와 북방 문화를 나누어 설명하기도 합니다. 남...
[중국음식문화 연구] 중국 음식문화의 특징,역사,형성배경분석및 중국 음식문화 식사예절과 ...
중국 문화와 매너중국 지리와 자연환경중국 사교문화중국 음식문화중국 차 문화중국식사문화
중국의 음식문화중국의 주식중국 대표요리 중국 요리문화중국 지역별 요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