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절 간섭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 기구

4. 설치 및 실험방법

5. 실험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간의 진동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조절나사를 움직여야 한다.
5. 실험 결과
6. 고찰
이번 실험은 회절 간섭계(PDI)를 이용하여 생기는 간섭무늬 모양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은 우선 처음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실험이었기에 2학년때 쓰던 광학키트의 백색광을 사용하지 않아 광축을 정확히 맞춰야만 했다. 처음으로 하다 보니 광축을 맞추는 데만 오랜 시간을 보냈다. 겨우 맞춘 후에 실험을 하였으나 정확하게 실험을 이해 못해서 렌즈를 이용하여 상을 확대 시켜서 봐야 했으나 그냥 보다보니 PDI를 지난 상이 어떤지 자세히 알 수 없었다.
평행광을 맞추고 PDI를 지난 레이저를 봤을 때 생기는 모양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지 못해서 많이 헤맸었다. 무늬의 여러 형태는 PDI에 있는 조절나사를 움직임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를 볼 수 있었다.
결과에서 보듯이 상이 그렇게 나오는 이유는 렌즈를 통과한 빛이 수차를 만들고 개구를 통과한 빛이 간섭을 일으켜 상을 만드는 것이었다. 렌즈가 완벽한 구라면 동심원 형태가 일정하게 나타나야 하는데 렌즈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동심원이 찌르러져 나왔다. 또한 렌즈가 결함이 없이 만들어졌다면 개구를 통과한 빛은 그냥 수차만 일으키지만 렌즈의 결함이 있을 경우는 수차와 더불어 결과에서 보듯이 그런 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즉 짧은 구면파가 들어가면 긴 구면파가 나온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실험을 할 때 test lens 의 앞이나, 뒤에 조리개 다시 말해 빔의 사이즈를 조절해 줄 수 있는 개구를 설치하였다면 구면수차의 변화를 쉽게 관찰 할 수 있었을 것이다.

키워드

회절,   PDI,   간섭계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1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