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수아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호수아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그렇다면 이스라엘과 열방과의 관계는 어떠해야 할 것인가? 여호수아는 열방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있다.
\"보라 내가 요단에서부터 해 지는 편 대해가지의 남아 있는 나라들과 이미 멸한 모든 나라를 내가 너희를 위하여 제비 뽑아 너희 지파에게 기업이 되게 하였느니라\"(수 23:4)
여호수아는 아직 남아 있는 나라와 이미 멸한 나라로 구분하고 있다. 여호수아는 열방과 연관해서 이스라엘의 책임을 두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 아직 남아 있는 나라들을 정복해야 한다. \"너희가 그 땅을 차지할 것이라\"(23:5) 둘째,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열방들로부터 멀리해야 한다. \"남아 있는 이 나라들 중에 가지 말라\"(23:7)
그러나 열방을 정복하고 열방을 멀리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열국은 풍요와 다산의 유혹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5) 형벌의 위협
하나님께서 가나안 땅을 선물로 주신 것은 언약의 규정을 잘 지키며 거룩한 공동체를 세우려고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책임을 감당하지 못하고 열방의 신들을 섬길 때에는 이스라엘은 형벌을 받게 될 것이다. 그래서 여호수아는 고별 설교의 후반부로 가면서 형별의 위협을 거듭 반복한다(24:13-16)
이스라엘의 불순종은 땅의 손실로 나타날 것이다. 이 같은 땅 손실의 비극은 \"아름다운 땅\"이라는 어구의 3중 반복에 의해서 강화된다. 여호수아는 땅의 약속과 순종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면서 고별 설교를 마치고 있다.
7.4 세겜에서의 계약 갱신(수 24:1-28)
(1) 이스라엘의 신앙의 열쇠
세겜의 언약 갱신은 여호수아서의 결미인 동시에 여호수아, 더 나아가서는 \"오경과 여호수아 전체\"의 결론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언약 갱신 사건은 이스라엘 역사를 통틀어 이스라엘의 신앙을 이해하는 열쇠이다.
(2) 언약 갱신의 구조
세겜의 언약 갱신을 담고 있는 24:1-28은 크게 네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1) 배경 : 1절
2) 역사적 서론 : 2-13절
3) 규정 : 14-24절
4) 법적 의식과 해산 : 25-28절
이는 고대 근동 아시아의 조약 문서의 형식과 동일한 것은 아니나, 유사한 사고의 패턴과 흐름을 볼 수 있다.
(3) 배경
제1단락(24:1)은 배경의 역할을 한다.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모든 지파를 세겜에 모은 후에 이스라엘 장로들과 두령들과 재판장들과 유사들을 불러서 하나님께 충성을 다짐하며 언약을 갱신하는 의식을 치르게 된다.
(4) 역사적 서론
제2단락(24:1-3)은 종주이신 여호와가 봉신인 이스라엘 백성에게 과거에 얼마나 큰 은혜를 베푸셨는지를 기술하는 \"역사적 서론\"에 해당한다. 따라서 족장 시대부터 가나안 정복까지 하나님께서 보이신 위대한 구원의 은혜를 3단계로 되새겨 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시대 구분
베푸신 은혜
1단계
족장 시대(2-4절)
(1) 아브라함을 취함
(2) 아브라함을 인도함
(3) 아브라함의 씨를 번성케 함
2단계
애굽 시대(5-7절)
(1) 모세와 아론을 보냄
(2) 재앙을 내리고 너희를 인도해 냄
(3) 광야에서 여러날 거하게 함
3단계
가나안 정복(8-13절)
(1) 요단 동편 아모리 땅을 정복시킴
(2) 요단 서편 땅을 정복시킴
(3) 너희들이 수고하지 아니한 땅을 줌
고대 근동 아시아의 종주권 조약에서 \"역사적 서론\"은 제국의 황제가 봉신에게 베풀었던 과거의 자신의 은총을 강조함으로써 봉신에게서 감사의 마음을 불러일으키고, 미래에 충성의 복종을 유도하고 격려하려는 목적으로 기록한 \"종주와 봉산 사이의 관계사\"이다.
(5) 언약의 규정
제3단락(24:14-24)은 여호수아와 백성간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이 대화는 크게 네 개의 소단락으로 나뉜다. (1) 여호수아의 도전, (2) 백성의 응답, (3) 여호수아-백성간의 1차 대화, (4) 여호수아-백성간의 2-3차 대화로 나눌 수 있다.
주체
주요 내용
후렴구
도전
(14-15절)
여호수아
오직 여호와를 경외하며…여호와만 섬기라
여호와를 섬리리라
(15절)
응답
(16-18절)
백성
여호와를 버리는…
일을 결단코 하지 아니하오리니…
그러므로 우리도 여호와를 섬기리라
여호와를 섬리리라
(18절)
1차 대화
(19-21절)
여호수아
너희가 여호와를 능히 섬기지 못하리라
여호와를 섬리리라
(21절)
백성
아니니이다 우리가 정녕 여호와를
섬기겠나이다
2-3차 대화
(22-24절)
여호수아
너희가…스스로 증인이 되었느니라
여호와를 섬리리라
(24절)
백성
우리가 증인이 되었나이다
여호수아
이방신을 제하고 마음을 여호와께 향하라
백성
여호와를 우리가 섬기고 청종하리이다
제3단락을 구성하는 네 개의 소단락은 모두 \"여호와를 섬기리라\"는 후렴구로 끝이 난다. 한번은 여호수아가, 나머지 세 번은 백성들이 충성의 다짐으로 사용하였다. 여호수아는 앞서의 역사적 서론을 근거로 백성들에게 도전을 하며 결단을 촉구하였다. 이에 백성들은 세번씩이나 반복해서 여호와만을 섬기겠다고 충성을 맹세한다.
이렇게 보면 이 단락은 고대 근동 아시아의 종주권 조약과 비교해 보면 \"규정들\"에 견줄수 있다. 종주권 조약에서 규정들의 가장 중요한 의무 조항은 종주에 대한 \"충성\"이다. 결국 제3단락은 하나님의 은혜를 받은 자들이 마땅히 해야 할 일, 즉 언약의 주를 섬기기로 이스라엘이 헌신하며 언약을 갱신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6) 법적 의식과 해산(24:25-28)
마지막 단락은 여호수아가 이 같은 충성의 맹세를 근거로 언약을 세우고 율례와 법도를 수여하고 거룩한 나무 밑에다 이를 기념하는 큰 돌을 세워서 언약 갱신을 증거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세겜 의식은 여호와와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첫 언약 체결 의식이 아니라 시내산 언약의 갱신 의식이었다. 이렇게 여호수아서 결론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언약을 갱신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는 것은 안식을 누리기 위해서는 매 세대가 언약에 충실해야 함을 강조한다.
7.5 총결론(수 24:29-33)
(1) 여호와의 종 여호수아(24:29-31)
나레이터는 여호수아의 죽음을 기술하면서 \"여화와의 종 눈의 아들 여호수아\"가 죽었다고 적고 있다. 여호와의 종! 여호수아가 여호와의 종으로 불린 것은 여호수아서에서는 여기가 처음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10.1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