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 율곡 이이의 인간적 면모
2. 이이의 정치
3. 이이의 사상
1. 율곡 이이의 인간적 면모
2. 이이의 정치
3. 이이의 사상
본문내용
」에서 교육방법으로서 지행병진(知行竝進)을 강조한다. 지와 행이 비록 선후로 나누어지지만 실은 일시에 병진하는 것이다. 혹은 지로 말미암아 행에 도달하고 혹은 행으로 말미암아 지에 도달한다.
4. 참고 문헌 / 참고 자료
1. 김문용, 이홍용 역, 「한국 철학 사상사」, 예문서원, 1994
2. 이종호, 「율곡 : 인간과 사상」, 지식산업사, 1994
3. 조남국, 「율곡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제윤리」, 교육 과학사, 1997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사업추진위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5. 두산동아편집부 「신사임당」, 두산동아, 2001
6. 율곡사랑 홈페이지 http://yulgok.co.kr
7. 율곡학회 홈페이지 http://www.yulgok.or.kr
4. 참고 문헌 / 참고 자료
1. 김문용, 이홍용 역, 「한국 철학 사상사」, 예문서원, 1994
2. 이종호, 「율곡 : 인간과 사상」, 지식산업사, 1994
3. 조남국, 「율곡의 삶과 철학 그리고 경제윤리」, 교육 과학사, 1997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사업추진위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5. 두산동아편집부 「신사임당」, 두산동아, 2001
6. 율곡사랑 홈페이지 http://yulgok.co.kr
7. 율곡학회 홈페이지 http://www.yulgok.or.kr
추천자료
임진왜란과 동북아시아 정세
고산 윤선도 - 고산의 전기적 이해, 윤선도의 사상, 윤선도의 시가, 고산의 문학사적 위치
성[誠] . 경[敬] 사상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기말 예상문제 05
[인문과학] 우리나라의 전통 육아사상
유교사상과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사부학당, 조...
교육철학 및 교육사(서양교육사, 동양교육사)
임진왜란과 민중의 저항
공학윤리 - 율곡이이의 생애와 윤리 사상
월탄 박종화의 임진왜란을 읽고
교육사 공통)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