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에 빈출되는 사자성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무원에 빈출되는 사자성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갑 子간지 자) 갑자을축이 바른 차례인데 그 차례가 바뀜과 같이 일이 제대로 안되고 순서가 바뀜
▶음덕양보(陰:응달 음 德:덕 덕 陽:볕 양 報:갚을 보)남 모르게 덕을 쌓은 사람은 반드시 뒤에 복을 받는다는 뜻.
▶음지전양지변(陰응달 음 地땅 지 轉구를 전 陽볕 양 地땅 지 變변할 변)음지도 양지로 될때 있음
▶음풍농월(吟읊을 음 風바람 풍 弄희롱할 농 月달 월)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노래함. 풍류를 즐긴다는 뜻
▶음풍영월(吟:읊을 음 風:바람 풍 ?:읊을 영 月:달 월)맑은 바람을 읊조리고 밝은 달을 보며,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즐겁게 함.〓 음풍농월(吟風弄月)
▶의려지망(倚:의지할 의 閭:이문 려 之:갈 지 望:바랄 망)어머니가 문에 기대어 자식이 돌아오기를 마음 조이며 기다리는 것.
▶이관규천(以써 이 管피리 관 窺엿볼 규 天하늘 천) 대롱을 통해 하늘을 봄. 우물안 개구리
▶이실직고(以써 이 實열매 실 直곧을 직 告알릴 고) 참으로써 바로 고함.
▶이심전심(以써 이 心마음 심 傳전할 전 心마음 심) 말을 하지 않더라도 서로 마음이 통하여 앎<유사어, 심심상인(心心相印) 교외별전(敎外別傳), 염화미소(拈華微笑) 염화시중(拈華示衆)>
▶이여반장(易쉬울 이 如같을 여 反되돌릴 반 掌손바닥 장) 쉽기가 손바닥 뒤집는 것과 같음
▶이열치열(以:써 이 熱:더울 열 治:다스릴 치 熱:더울 열)열로써 열을 다스림. 곧, 뜨거운 것은 뜨거운 것으로 다스림.
▶이율배반(二두 이 律법 율 背등 배 反되돌릴 반) 꼭 같은 근거를 가지고 정당하다고 주장되는 서로 모순되는 두 명제, 또는 그 관계.
▶이인동심(二두 이 人사람 인 同같을 동 心마음 심) 절친한 친구 사이
▶이하부정관(李:오얏 이 下 不 整:가지런할 정 冠:갓 관)오얏 나무 밑에서 갓을 고쳐 쓰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남에게 의심받을 만한 짓은 아예 하지 말라는 말.
▶이현령비현령(耳귀 이 懸매달 현 鈴방울 령 鼻코 비 懸매달 현 鈴방울 령)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즉 이렇게도 저렇게도 될 수 있음
▶익자삼우(益더할 익 者놈 자 三석 삼 友벗 우) 사귀어 보탬이 되는 세 벗으로 정직한 사람, 신의 있는 사람, 학식 있는 사람 등을 말함
▶인과응보(因인할 인 果실과 과 應응할 응 報갚을 보) 좋은 일에는 좋은 결과가, 나쁜 일에는 나쁜 결과가 따름
▶인생무상(人사람 인 生날 생 無없을 무 常항상 상) 인생이 덧없음을 이르는 말
▶인인성사(因인할 인 人사람 인 成이룰 성 事일 사) 남의 힘으로 일을 이룸
▶인자무적(仁어질 인 者놈 자 無없을 무 敵원수 적)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음
▶인지상정(人사람 인 之갈 지 常항상 상 情정 정) 사람이 누구나 가지는 보통의 인정
▶일거양득(一한 일 擧들 거 兩두 양 得얻을 득)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의 이득을 봄. -> 一石二鳥(일석이조)
▶일기당천(一한 일 騎:말탈 기 堂:집 당 千:일천 천)한 사람이 천 사람을 당한다는 뜻으로, 무예가 아주 뛰어남의 비유.
▶일도양단(一한 일 刀:칼 도 兩:두 양 斷:끊을 단)한 칼로 두 동강이를 낸다는 뜻으로 ‘머뭇거리지 않고 과감히 처리함’을 이르는 말.
▶일진일퇴(一한 일 進나아갈 진 一한 일 退물러날 퇴)일의형세가 좋아졌다. 나빠졌다. 함
▶일망무제(一한 일 望:바랄 망 無:없을 무 際:사이 제)아득하게 끝없이 멀어서, 눈을 가리는 것이 없음.
▶일망타진(一한 일 網:그물 망 打:칠 타 盡:다될 진)한 번 그물을 쳐서 많은 물고기를 깡그리 잡는다는 뜻.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
▶일목요연(一한 일 目눈 목 瞭밝을 료 然그러할 연) 첫눈에도 똑똑하게 알 수 있음
▶일보불양(一한 일 步걸음 보 不아니 불 讓사양할 양) 남에게 한 걸음도 양보하지 않음
▶일사천리(一한 일 瀉쏟을 사 千천 천 里거리 리) 조금도 거침없이 빨리 진행됨
▶일사불란(一한 일 絲실 사 不아니 불 亂어지러울 란)질서나 체계가 정연하여 조금도 헝클어지거나 어지러움이 없음.
▶일시동인(一한 일 視볼 시 同같을 동 仁어질 인) 모두를 평등하게 보아 똑같이 사랑함
▶일시동인(一한 일 視볼 시 同같을 동 仁어질 인) 모두를 평등하게 보아 똑같이 사랑함
▶일어탁수(一 魚:고기 어 濁:흐릴 탁 水:물 수)한 사람의 잘못이 여러 사람에게 미침.〓수어혼수(數:셀 수 魚:고기 어 混:섞을 혼 水:물 수)
▶일언지하(一한 일 言말씀 언 之갈 지 下아래 하) 말 한마디로 끊음. 한마디로 딱 잘라 말함
▶일엽지추(一한 일 葉잎 엽 知알 지 秋가을 추) 사물의 일단을 앎으로써 대세를 미루어 안다는 말
▶일엽편주(一한 일 葉잎 엽 片조각 편 舟배 주) 한 조각 작은 배
▶일일삼추(一한 일 日해 일 三석 삼 秋:가을 추)하루가 삼 년 같다는 뜻으로, 몹시 지루하거나 애태우며 기다림의 비유.
▶일장춘몽(一한 일 場:마당 장 春:봄 춘 夢:꿈 몽)인생의 영화는 한바탕 봄 꿈과 같이 헛됨.(국어상 구운몽)
▶일진일퇴(一한 일 進나아갈 진 一한 일 退물러날 퇴) 한 번 나아갔다. 한 번 물러섰다 하거나 좋아졌다 나빠졌다 함(96수능출제)
▶일촉즉발(一 觸:닿을 촉 卽:곧 즉 發:쏠 발)한 번 스치기만 하여도 곧 폭발한다는 뜻으로, 조그만 일로도 계기가 되어 크게 벌어질 수 있는 아주 위급하고 아슬아슬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말.
▶일취월장(日날 일 就:이룰 취 月 將:장차 장) 날로 달로 자라거나 발전함. 〓 일장월취(日 將:장차 장 月 就:이룰 취)〓 일신우일신(日 新:새 신 又:또 우 日 新:새 신)
▶일파만파(一한 일 波:물결 파 萬:일만 만 波:물결 파)한 사건이 그 사건에서 그치지 않고 잇달아 많은 사건으로 번지는 것을 비유.
▶일편단심(一한 일 片조각 편 丹붉을 단 心마음 심) 오로지 한 곬으로 향한, 한 조각의 붉은 마음.
▶일필휘지(一한 일 筆:붓 필 揮:휘두를 휘 之:갈 지)글씨나 그림을 한숨에 죽 쓰거나 그림.
▶일확천금(一한 일 攫붙잡을 확 千천 천 金쇠 금) 힘 안 들이고 한꺼번에 많은 재물을 얻음
▶임갈굴정(臨:임할 임 渴:목마를 갈 掘:팔 굴 井:우물 정)목이 말라서야 우물을 팜. 곧 미리 준비하여 두지 않고 있다가 일이 급해서야 허둥지둥 서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6.10.2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