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봉은사 앞에서
2. 진여문을 지나며
3. 삼층석탑과 대웅전을 보며
4. 미륵대불을 느끼며
5. 봉은사 답사를 마치며
# 참고문헌
2. 진여문을 지나며
3. 삼층석탑과 대웅전을 보며
4. 미륵대불을 느끼며
5. 봉은사 답사를 마치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 종은 천녕 상두산의 장흥사 종으로 주조되었다고 종에 새겨 있어 장흥사 동종이라 불리는 범종이다. 조선 태조 1년(1392) 에 만들어졌는데 언제 어떤 이유에서 옮겨졌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현재는 서울 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봉은사에 옮겨져 있어 봉은사 동종이라고도 부른다. 이 종 윗부분과 아랫쪽에는 구슬을 꿰어 띠를 두른 듯한 문양인 연주문대를 돌리고 그 사이사이에는 연꽃무늬로 장식하였다. 종의 몸통 부분에는 두 손을 모아 합장을 하고 서 있는 형상을 한 보살상이 연꽃으로 장식한 의자 위에 서서 구름을 타고 가는 모습이 양각되어있다. 그러나 종의 윗부분에 몸을 구부린 형태의 용 모양을 하고 있는 용뉴가 완전히 없어졌고 종을 매다는 부분에 소리가 깊고 오래도록 울리게 하고자 설치하였던 음통 부분도 일부 둥근 부분의 자국만이 남아 있을 뿐 대부분이 훼손되었다. 조금은 훼손 된 게 아쉬웠다.
5. 봉은사 답사를 마치며
판전이 조금 높은 곳에 있어서 아래를 내려다보니 봉은사가 아름다웠다. 세삼 규모가 제법 있는 절이라는 것을 느꼈다. 또 부처님 오신날을 기념하기 위한 연등은 정말 예쁘다. 사진에도 담았지만 빨간 연등이 하늘을 덮고 있는 모습이란 정말
5. 봉은사 답사를 마치며
판전이 조금 높은 곳에 있어서 아래를 내려다보니 봉은사가 아름다웠다. 세삼 규모가 제법 있는 절이라는 것을 느꼈다. 또 부처님 오신날을 기념하기 위한 연등은 정말 예쁘다. 사진에도 담았지만 빨간 연등이 하늘을 덮고 있는 모습이란 정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