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종양제의 개요
2. 항종양제의 작용
3. 항종양제의 적용
4. 항종양제의 부작용
5. 약물 상호작용
6. 항종양제의 종류
7. 간호 적용과 환자 교육
8. 보충
9. 출처
2. 항종양제의 작용
3. 항종양제의 적용
4. 항종양제의 부작용
5. 약물 상호작용
6. 항종양제의 종류
7. 간호 적용과 환자 교육
8. 보충
9. 출처
본문내용
구
☞ 부작용 - 골수억제, 고열, 오한, 구토
3. ☞ 작용 - 유방암, 위암, 대장암, 췌장암에 사용
- 1일 3~12mg/kg 정맥투여
☞ 금기: 영양불량, 감염, 골수기능저하, 과민증있는 경우
☞ 부작용 - 식욕부진, 원형탈모증, 골수 기능 저하
4. ☞ 작용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골수성 백혈병
- 1일 1.5~2.5mg/kg 경구투여
☞ 금기 - 약물 과민반응 환자
☞ 부작용 - 과뇨산혈증, 간독성, 골수 기능 저하
5. ☞ 작용 - 유방암, 림프육종, 심한 건선에 사용
- 10~50mg/주 정맥, 근육 경구투여 또는 1일 6.5mg 경구투여
☞ 금기 - 혈액질환(장애), 심각한 신장 또는 간 손상
- 이 약에 과민반응 있는 사람은 사용을 금함
☞ 부작용 - 오심, 구토, 두통, 발진, 소양증, 위염, 골수기능저하, 백혈구 감소증, 신장독성 심한 부작용으로 설사, 궤양성 구내염, 골수 저하, 간독성, 피부 발진
6. ☞ 작용 -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과 만성 골수성 백혈병에 사용
- 1일 2~3mg/kg 경구투여
☞ 금기 - 과민반응자와 임신중인자에게는 사용을 금함
☞ 부작용 - 오심, 구토, 위염, 과뇨산혈증, 간독성, 골수기능저하
남성, 여성 호르몬(HORMONES)
- 유암·유선증의 치료에, 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보다 강한 항난포호르몬 작용
- 부신피질호르몬으로서 프레드니솔론 등이 급성백혈병·림프성백혈병·림프육종등 쓰임
1. ☞ 작용 - 수술이 불가능한 전립선암에 사용
- 50~200mg 1일 3회 경구투여, 정 맥 투여
☞ 금기 - 현저한 간장애, 혈전성 정맥염, 혈전 색전증질환, 뇌졸중의 경우
☞ 부작용 - 소양증, 발진, 혈전성 정맥염, 색전 유발
2. ☞ 작용 - 진행성 암종, 전이성 전립선암에 사용
- 1일 15mg/kg 경구투여, 3~4회로 나누어 투약
☞ 금기 - 혈전색전증질환, 약물과민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을 금함
☞ 부작용 - 뇌졸중, 심근경색증, 혈전성 정맥염, 폐색전, 심부전 등
3. ☞ 작용 - 진행성 전립선암의 완화 치료제로 사용
- 1일 1mg SQ
☞ 금기 - 투여초기에 뼈 통증
- 뇨폐색과 신경학적인 문제증상이 증가하면 주의하여 금함
☞ 부작용 - 오심, 구토, 더운섬광(hot flahes), 테스토스테론 혈중 농도의 일시적중가, 발기 부전, 주사부위자극, 부종, 두통등
4. ☞ 작용 - 전립선암의 일시적 완화요법으로 사용한다.
- 매 28일마다 3,6mg SQ, 상복부벽에 투약
5. ☞ 작용 - 신장암과 자궁내막암, 호르몬 불균형에서 비롯된 월경장애 치료에 사용
- 400~1000mg/주 근육주사
☞ 금기 - 임신중, 혈전성 정맥염, 색전, 발전, 간기능 부전 유방이나 생식기의 암이나 비정상적 질 출혈, 유산 또는 약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 부작용 - 수양증, 유방압통, 뇌나 폐에 색전, 혈전성 정 맥염, 발작, 간염 등
6. ☞ 작용 - 프로게스테론성 항암약물로 자궁내막암과 유방암의 진행 을 완하시키는데 사용
- 유방암에 40mg 1일 4회 경구투여
- 자궁내막암에 1일 40~320mg 경구투여
☞ 금기 - 이 약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는 사용을 금함
☞ 부작용 -알려진 심각한 부작용은 없음
7. ☞ 작용 - 수술이 불가능하고 진행중인 전립선암이나 폐경이 후 유방암 치료에 처방
- 매 2~4주마다 40mg 깊숙이 근육투여
☞ 금기 - 남성 유방암, 에스트로겐 의존성 종양, 혈전성 정 맥염, 과민반응 있을 시에 사용을 금함
☞ 부작용 - 성욕감퇴, 발기부전, 남성의 유방이상비대, 수 분 정체 및 부종, 드물게 담즙정체성 황달 등
8. ☞ 작용 - 폐경여성의 유방암에 사용
- 10~20mg 1일 2회 경구투여
☞ 부작용 - 과칼슘혈증, 안과적 변화 유발
9. ☞ 작용 - 난소기능이 중지된 폐경 여성의 유방암이나 폐경전기 여성의 유방암치료에 사용
- 250mg 1일 4회 경구투여
☞ 금기 - 임산부, 수유부, 약물에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은 사용을 금지
- 남자에게 투여도 금함
☞ 부작용 - 식욕결핍, 오심, 구토, 부종, 지각 이상, 저혈압
핵분열 저해제(MITOTIC INHIMITORS)
1. ☞ 작용 - 고환종양과 소세포성 폐암 시 암세포가 분할, 퍼지는 것을 방지
- 1일 50~100mg/㎡ 정맥투여
☞ 금기 - etoposide나 podophyllum에 대한 과민반응
- 수유하는 여성이나 어린이에 대한 안정성은 밝혀진 것이 없음 - 임신 시 사용하는 경우 태아에게 잠재적 부작용을 초래
☞ 부작용 - 오한, 빈맥, 통증을 동반하는 호흡곤란, 혈압감소, 탈모, 발 진, 소양증, 피부탈색, 소화장애 등
2. ☞ 작용 - 소아의 급성 림프성 백혈병 환자에게 다른 약물과 복합요법으 로 사용
- 연조직의 아주 심한 부직을 가져옴
- 천천히 정맥투여
3. ☞ 작용 - 호지킨병, Kaposi\'s육종, 고환암에 사용
- 3.7mg/m2/주 정맥투여
☞ 금기 - 백혈구감소증, 박테리아 감염, 과민반응, 임신중
☞ 부작용 : 권태, 두통, 혼몽, 지각 이상, 쇠약 증세
4. ☞ 작용 - 호지킨병, Wilm\'s 육종, 급성 백혈병, 림프육종에 사용
- 1.4mg/m2/주 정맥투여
☞ 금기 - 임신, 백혈구 감소증, 근육질환 환자
- 약물 과민반응
☞ 부작용 - 체중감소, 운동실조증, 구강궤양
항암제를 투여시...
- 정상세포도 무차별로 죽음-
1.모공세포 : 모공이열려서 면역력약화로.오염물질무사통과
2.생식세포 ; 암을 극적으로 고쳤다해도 평생자식을 둘수 없음
3.골수세포 : 뼈가
☞ 부작용 - 골수억제, 고열, 오한, 구토
3.
- 1일 3~12mg/kg 정맥투여
☞ 금기: 영양불량, 감염, 골수기능저하, 과민증있는 경우
☞ 부작용 - 식욕부진, 원형탈모증, 골수 기능 저하
4.
- 1일 1.5~2.5mg/kg 경구투여
☞ 금기 - 약물 과민반응 환자
☞ 부작용 - 과뇨산혈증, 간독성, 골수 기능 저하
5.
- 10~50mg/주 정맥, 근육 경구투여 또는 1일 6.5mg 경구투여
☞ 금기 - 혈액질환(장애), 심각한 신장 또는 간 손상
- 이 약에 과민반응 있는 사람은 사용을 금함
☞ 부작용 - 오심, 구토, 두통, 발진, 소양증, 위염, 골수기능저하, 백혈구 감소증, 신장독성 심한 부작용으로 설사, 궤양성 구내염, 골수 저하, 간독성, 피부 발진
6.
- 1일 2~3mg/kg 경구투여
☞ 금기 - 과민반응자와 임신중인자에게는 사용을 금함
☞ 부작용 - 오심, 구토, 위염, 과뇨산혈증, 간독성, 골수기능저하
남성, 여성 호르몬(HORMONES)
- 유암·유선증의 치료에, 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보다 강한 항난포호르몬 작용
- 부신피질호르몬으로서 프레드니솔론 등이 급성백혈병·림프성백혈병·림프육종등 쓰임
1.
- 50~200mg 1일 3회 경구투여, 정 맥 투여
☞ 금기 - 현저한 간장애, 혈전성 정맥염, 혈전 색전증질환, 뇌졸중의 경우
☞ 부작용 - 소양증, 발진, 혈전성 정맥염, 색전 유발
2.
- 1일 15mg/kg 경구투여, 3~4회로 나누어 투약
☞ 금기 - 혈전색전증질환, 약물과민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을 금함
☞ 부작용 - 뇌졸중, 심근경색증, 혈전성 정맥염, 폐색전, 심부전 등
3.
- 1일 1mg SQ
☞ 금기 - 투여초기에 뼈 통증
- 뇨폐색과 신경학적인 문제증상이 증가하면 주의하여 금함
☞ 부작용 - 오심, 구토, 더운섬광(hot flahes), 테스토스테론 혈중 농도의 일시적중가, 발기 부전, 주사부위자극, 부종, 두통등
4.
- 매 28일마다 3,6mg SQ, 상복부벽에 투약
5.
- 400~1000mg/주 근육주사
☞ 금기 - 임신중, 혈전성 정맥염, 색전, 발전, 간기능 부전 유방이나 생식기의 암이나 비정상적 질 출혈, 유산 또는 약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 부작용 - 수양증, 유방압통, 뇌나 폐에 색전, 혈전성 정 맥염, 발작, 간염 등
6.
- 유방암에 40mg 1일 4회 경구투여
- 자궁내막암에 1일 40~320mg 경구투여
☞ 금기 - 이 약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는 사용을 금함
☞ 부작용 -알려진 심각한 부작용은 없음
7.
- 매 2~4주마다 40mg 깊숙이 근육투여
☞ 금기 - 남성 유방암, 에스트로겐 의존성 종양, 혈전성 정 맥염, 과민반응 있을 시에 사용을 금함
☞ 부작용 - 성욕감퇴, 발기부전, 남성의 유방이상비대, 수 분 정체 및 부종, 드물게 담즙정체성 황달 등
8.
- 10~20mg 1일 2회 경구투여
☞ 부작용 - 과칼슘혈증, 안과적 변화 유발
9.
- 250mg 1일 4회 경구투여
☞ 금기 - 임산부, 수유부, 약물에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은 사용을 금지
- 남자에게 투여도 금함
☞ 부작용 - 식욕결핍, 오심, 구토, 부종, 지각 이상, 저혈압
핵분열 저해제(MITOTIC INHIMITORS)
1.
- 1일 50~100mg/㎡ 정맥투여
☞ 금기 - etoposide나 podophyllum에 대한 과민반응
- 수유하는 여성이나 어린이에 대한 안정성은 밝혀진 것이 없음 - 임신 시 사용하는 경우 태아에게 잠재적 부작용을 초래
☞ 부작용 - 오한, 빈맥, 통증을 동반하는 호흡곤란, 혈압감소, 탈모, 발 진, 소양증, 피부탈색, 소화장애 등
2.
- 연조직의 아주 심한 부직을 가져옴
- 천천히 정맥투여
3.
- 3.7mg/m2/주 정맥투여
☞ 금기 - 백혈구감소증, 박테리아 감염, 과민반응, 임신중
☞ 부작용 : 권태, 두통, 혼몽, 지각 이상, 쇠약 증세
4.
- 1.4mg/m2/주 정맥투여
☞ 금기 - 임신, 백혈구 감소증, 근육질환 환자
- 약물 과민반응
☞ 부작용 - 체중감소, 운동실조증, 구강궤양
항암제를 투여시...
- 정상세포도 무차별로 죽음-
1.모공세포 : 모공이열려서 면역력약화로.오염물질무사통과
2.생식세포 ; 암을 극적으로 고쳤다해도 평생자식을 둘수 없음
3.골수세포 : 뼈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