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감시와 처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후감] 감시와 처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근대와 은폐된 권력

Ⅱ. 본 론
1. 절대주의와 신체형
2. 형벌 방식의 개혁
3. 통제의 일반적 모델의 감옥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람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퍼진 ‘주인의식’, 혹은 ‘자기권리에의 인식’에서 이루어지는 면이 있다. 법을 어긴다는 것은 곧 나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다. 이 사회는 모든 구성원의 계약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인식의 확장은 사회 구성원들 스스로를 감시하게 만든다.
Ⅲ. 결 론
서구의 공화제와 군주제는 ‘법’이라는 본질적 실체성을 수립하는 함으로써 자신들이 가진 권력의 정당성을 찾았다. 질 들뢰즈, (권영숙 조형근 옮김) - 『들뢰즈의 푸코』 p59 (새길 출판사)
절대 군주제에서 그들은 신체의 억압을 통한 ‘과시’의 방식으로 자신을 드러났지만 근대 세계에서의 사법적 모델은 정신을 억압하는 방식으로 가시권에서 사라져버렸다. 이 후 권력의 작용은 자신의 모습을 감춘 체 합법성의 모델에 따라 계속 기능하게 된다. 우리가 확인한 것은 이 같은 변화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에 관한 것이었다. 『감시와 처벌』에서 푸코는 짧은 시간 사이에 급격히 변화된 형벌의 모습을 강하게 대비시킴으로써 그 변화가 가지는 의미를 성공적으로 전달한 듯 하다.
마지막으로 푸코의 저작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들에 대한 소개를 끝으로 발표를 정리하고자 한다. 우선 푸코가 주목한 것은 변화 속에 내재된 지식-권력의 은폐된 관계를 드러내는 것에 있었기 때문에, 주변적인 사적 사실과 그에 대한 과장이 있다. 파놉티콘에 대해서 푸코는 그것이 사회 전체를 감시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고 주장한다. 미국의 18~19세기 영국의 감옥 개혁의 맥락에서 벤담의 파놉티콘을 연구한 역사학자 제넷 셈플(Janet Semple)의 경우 파놉티콘이 실제 실현된 미국 사회에서 그것이 이론에서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는 주장을 한다. 간수의 모습은 죄수들에게 낱낱이 드러났고, 중앙탑의 존재만으로 죄수에 대한 통제는 거의 불가능했다고 한다. 이는 파놉티콘에 대한 푸코의 주장이 현실적으로 얼마만큼 설득력이 있는지가 제고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파놉티콘 - 정보사회 정보감옥』, p37~42
푸코가 언급한 프랑스 사회의 규범화(規範化)가 실제 사회에서 얼마만큼 효과를 거두었는지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봐야 할 부분이다. 기존에 존재하던 관습으로 인한 저항들로 인해 수많은 규범 사항들을 효과가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가 형벌제도에 대한 계몽주의적 개혁의 긍적적 측면을 지나치게 평가 절하하고 있다는 것도 지적을 할 필요가 있다. 이들로 인해 인권이 향상된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광래 -『미셸 푸코』(민음사 1997)
이러한 측면에서 『감시와 처벌』은 실제로 일어났던 사실에 대한 기록과 해석이라기보다 현재 사회에 대한 철학적 비판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파놉티콘 - 정보사회 정보감옥』, p 42
# 참고 문헌
Michel Foucault, 오생근 옮김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1994)
이광래, 『미셸 푸코』(민음사 1997)
홍성욱, 『파놉티콘 - 정보사회 정보감옥』(책세상, 2002)
Eric John Ernst Hobsbawm, 정도영 차영수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0.27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