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원인
b.증상
c.검사.진단
d.합병증
e.치료
f.리허빌리테이션(rehabilitation)
g. 식사원칙
b.증상
c.검사.진단
d.합병증
e.치료
f.리허빌리테이션(rehabilitation)
g. 식사원칙
본문내용
심실파열일 때에는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다.만성기에 심실류를 형성하고 그 때문에 심박출량이 떨어졌을 때는 이 부분은 외과적으로 절제한다.
f.리허빌리테이션(rehabilitation)
심근경색의 경과가 순조로울 때는 제1주는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제2주는 실내보행, 제3주는 실외보행, 제4주는 병원내 보행을 실시한다.이처럼운동범위를 서서히 넓혀서 약 1개월이 지나면 퇴원시킨다.오랫동안 누워있는 것보다는 되도목 일찍부터 병상에서 일어나 보행을 하는 것이 측부혈행의 발달에 좋으며 경색부의 회복에도 좋다.퇴원 후의 리허빌리테이션으로는 다시 1개월간 자택요양을 하고, 제3개월째는 몇 주 일의 근무, 그리고 3개월 경과 후에는 평상 근무를 하도록 한다.그러나 심근경색은 치유된다 심근 일부의 수축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생활내용은 이환 전의 80%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즉 힘드는 일이나 심한 운동 등은 삼가는 것이 좋다.
g. 식사원칙
급성기에는 당질을 중심으로 한 저열량, 고단백질, 저지방 식사를 한다.
적정체중 유지를 위해 열량을 줄이고, 심장세포 회복을 위해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하며, 동물성 지방(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억제한다.
주의) 단순 당질(설탕, 사탕)은 체지방으로 전환이 쉬우므로 제한한다.
나트륨을 제한한다.
고혈압 합병증이 있는 경우 소금을 하루 3~5g으로 제한한다.
(소금 1g= 간장 5g= 고추장, 된장 15g= 케찹 30g)
비타민은 충분히 섭취하고, 특히 비타민 E(토코페롤)의 섭취를 늘린다.
식사량은 소량씩, 자주 공급하고 알콜 음료, 커피, 담배 등 기호식품을 금지한다.
f.리허빌리테이션(rehabilitation)
심근경색의 경과가 순조로울 때는 제1주는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제2주는 실내보행, 제3주는 실외보행, 제4주는 병원내 보행을 실시한다.이처럼운동범위를 서서히 넓혀서 약 1개월이 지나면 퇴원시킨다.오랫동안 누워있는 것보다는 되도목 일찍부터 병상에서 일어나 보행을 하는 것이 측부혈행의 발달에 좋으며 경색부의 회복에도 좋다.퇴원 후의 리허빌리테이션으로는 다시 1개월간 자택요양을 하고, 제3개월째는 몇 주 일의 근무, 그리고 3개월 경과 후에는 평상 근무를 하도록 한다.그러나 심근경색은 치유된다 심근 일부의 수축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생활내용은 이환 전의 80%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즉 힘드는 일이나 심한 운동 등은 삼가는 것이 좋다.
g. 식사원칙
급성기에는 당질을 중심으로 한 저열량, 고단백질, 저지방 식사를 한다.
적정체중 유지를 위해 열량을 줄이고, 심장세포 회복을 위해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하며, 동물성 지방(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억제한다.
주의) 단순 당질(설탕, 사탕)은 체지방으로 전환이 쉬우므로 제한한다.
나트륨을 제한한다.
고혈압 합병증이 있는 경우 소금을 하루 3~5g으로 제한한다.
(소금 1g= 간장 5g= 고추장, 된장 15g= 케찹 30g)
비타민은 충분히 섭취하고, 특히 비타민 E(토코페롤)의 섭취를 늘린다.
식사량은 소량씩, 자주 공급하고 알콜 음료, 커피, 담배 등 기호식품을 금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