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기구 및 시약
(2) 원리
(3) 실험방법
(4) 결과
(5) 고찰
(6) 참고문헌
(2) 원리
(3) 실험방법
(4) 결과
(5) 고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섞고 이 혼합물의 녹는점을 측정한다.
조교로부터(1)신남산(20몰%)과 벤조산(80몰%) (2)신남산(40몰%)과 벤조산(60몰%) (3) 신남산(60몰%)과 벤조산(40몰%) 및 (4) 신남산(80몰%)과 벤조산(20몰%)등 네 개의 혼합물 시료를 받는다. 약수저로 시계접시에서 이들 물질을 곱게 갈고 이것들의 녹는점을 측정한다. 녹기 시작하는 온도와 고체가 모두 사라지는 온도를 기록한다. 시료의 조정에 대해서 고체가 모두 사라지는 온도를 도시하고 온도-조성표를 작성한다. 순수한 신남산의 녹는점은 133℃이고 벤조산은 122℃이다. 신남산과 벤조산의 미지혼합물을 받아서 약수저로 시계접시에서 곱게 간 다음에 녹는점을 측정한다. 작성한 온도-조성표로부터 미지시료에 들어잇는 신남산의 몰%를 결정한다. 두 가지가 가능한데 어떻게 구별하겠는가? 자신이 생각하는 방법대로 해보고 결과를 보고한다.
화합물 녹는점(°)
벤조산 120-121
벤조아미드 125-126
o-벤조일벤조산 126-127
벤조인 132-133
신남산 132-133
살리실산 155-157
p-히드록실디페닐 164-165
p-브로모아세트아닐리드 165-167
요소 132-133
아세틸살리실산 135-136
안트라닐산 143-144
벤질산 150-151
아디프산 151-153
4) 결과
시료
녹은
온도
Acetanilide
:
naphthalene 4 : 1
Acetanilide
:
naphthalene 1 : 1
Acetanilide
:
naphthalene 1 : 4
미지시료
Acetanilide
처음녹았을때
72°
68°
72°
78°
104°
완전히
녹았을때
100°
70°
78°
102°
109°
처음녹았을때
76°
72°
72°
62°
112°
완전히
녹았을때
102°
80°
73°
116°
116°
처음녹았을때
76°
80°
70°
81°
102°
완전히
녹았을때
101°
84°
78°
114°
108°
처음녹았을
때 평균
74.67°
73.33°
71.33°
73.67°
106°
완전히 녹았을때의
평균
101°
78°
76.33°
110.67°
111°
5) 고찰
표준 Acetanilide의 온도는 113 ~ 114℃의 온도 범위를 가지고 있다. 우리실험한 값으로는 111℃가 나왔다. 만족할 만한 수준의 실험결과 값이 아니다. 실험할 때 오차를 줄이려고 식용유의 온도도 많이 낮추고 가열하면서 온도계의 온도를 보는 것도 조원의 2명이 같이 보는 것으로 했다. 그리고 녹을 때의 그 순간도 녹는속도가 빠를때는 정확히 온도를 재기는 힘들었다.
Acetanilide 와 naphthalene 의 4 : 1의 경우는 Acetanilide는 113~114℃의 녹는 범위를 가지고 있고, naphthalene은 79~80℃의 녹는 범위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Acetanilide 와 naphthalene 은 4 : 1의 혼합비율을 가지고 있다. 온도는 101°가 나왔는 데 Acetanilide의 온도 113~114°와 naphthalene의 79~80℃는 약 34°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상온도는 약 104~105°정도를 예상해 볼수 있었지만 그 것보다 약간 낮은 수치가 나왔다. 약간 이라고는 하지만 3-4°차이는 많이 나는 것 같다.
1 : 1의 경우는 예상 온도값은 97-98°정도를 생각할수 있었지만 엄청난 차이로 78°가 나왔다. 생각에 비해서 너무 많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1 : 4는 예상 온도값은 88°정도의 값으로 예상했다. 실험치는 76.33°의 값으로 이것 역시 예상치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미지시료를 판별해볼 때 측정값은 110~111°정도의 값이 나왔다. 자료를 보고 찾아 봤을 때 Benzamide로 값이 나왔다. 정확치는 않지만 Benzamide는 113°정도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Benzamide로 생각할 수 있겠다.
생각보다 실험값이 자료에 나와있는 자료들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온도측정이 낮게 나왔는데, 이유는 실험할 때의 많은 변수로 작용하는 각자 사람들의 시야의 차이인 것 같다. 그리고 모세관에 남은 시료를 봤을 때 너무 작기에 시료가 완전히 녹았는지 아니면 녹기 시작했는지의 판단을 내리기도 사실상 어려웠다. 실험은 열심히 했지만 값의 차이가 많이 나와 아쉬웠다.
6) 참고문헌
실험유기화학 자유아카데미 윤용진 저 1987발행 p31~33
기초유기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안정수저 1986발행 p53~63
유기화학실험 학문사 김홍락저 1995발행 p17~21
조교로부터(1)신남산(20몰%)과 벤조산(80몰%) (2)신남산(40몰%)과 벤조산(60몰%) (3) 신남산(60몰%)과 벤조산(40몰%) 및 (4) 신남산(80몰%)과 벤조산(20몰%)등 네 개의 혼합물 시료를 받는다. 약수저로 시계접시에서 이들 물질을 곱게 갈고 이것들의 녹는점을 측정한다. 녹기 시작하는 온도와 고체가 모두 사라지는 온도를 기록한다. 시료의 조정에 대해서 고체가 모두 사라지는 온도를 도시하고 온도-조성표를 작성한다. 순수한 신남산의 녹는점은 133℃이고 벤조산은 122℃이다. 신남산과 벤조산의 미지혼합물을 받아서 약수저로 시계접시에서 곱게 간 다음에 녹는점을 측정한다. 작성한 온도-조성표로부터 미지시료에 들어잇는 신남산의 몰%를 결정한다. 두 가지가 가능한데 어떻게 구별하겠는가? 자신이 생각하는 방법대로 해보고 결과를 보고한다.
화합물 녹는점(°)
벤조산 120-121
벤조아미드 125-126
o-벤조일벤조산 126-127
벤조인 132-133
신남산 132-133
살리실산 155-157
p-히드록실디페닐 164-165
p-브로모아세트아닐리드 165-167
요소 132-133
아세틸살리실산 135-136
안트라닐산 143-144
벤질산 150-151
아디프산 151-153
4) 결과
시료
녹은
온도
Acetanilide
:
naphthalene 4 : 1
Acetanilide
:
naphthalene 1 : 1
Acetanilide
:
naphthalene 1 : 4
미지시료
Acetanilide
처음녹았을때
72°
68°
72°
78°
104°
완전히
녹았을때
100°
70°
78°
102°
109°
처음녹았을때
76°
72°
72°
62°
112°
완전히
녹았을때
102°
80°
73°
116°
116°
처음녹았을때
76°
80°
70°
81°
102°
완전히
녹았을때
101°
84°
78°
114°
108°
처음녹았을
때 평균
74.67°
73.33°
71.33°
73.67°
106°
완전히 녹았을때의
평균
101°
78°
76.33°
110.67°
111°
5) 고찰
표준 Acetanilide의 온도는 113 ~ 114℃의 온도 범위를 가지고 있다. 우리실험한 값으로는 111℃가 나왔다. 만족할 만한 수준의 실험결과 값이 아니다. 실험할 때 오차를 줄이려고 식용유의 온도도 많이 낮추고 가열하면서 온도계의 온도를 보는 것도 조원의 2명이 같이 보는 것으로 했다. 그리고 녹을 때의 그 순간도 녹는속도가 빠를때는 정확히 온도를 재기는 힘들었다.
Acetanilide 와 naphthalene 의 4 : 1의 경우는 Acetanilide는 113~114℃의 녹는 범위를 가지고 있고, naphthalene은 79~80℃의 녹는 범위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Acetanilide 와 naphthalene 은 4 : 1의 혼합비율을 가지고 있다. 온도는 101°가 나왔는 데 Acetanilide의 온도 113~114°와 naphthalene의 79~80℃는 약 34°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상온도는 약 104~105°정도를 예상해 볼수 있었지만 그 것보다 약간 낮은 수치가 나왔다. 약간 이라고는 하지만 3-4°차이는 많이 나는 것 같다.
1 : 1의 경우는 예상 온도값은 97-98°정도를 생각할수 있었지만 엄청난 차이로 78°가 나왔다. 생각에 비해서 너무 많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1 : 4는 예상 온도값은 88°정도의 값으로 예상했다. 실험치는 76.33°의 값으로 이것 역시 예상치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미지시료를 판별해볼 때 측정값은 110~111°정도의 값이 나왔다. 자료를 보고 찾아 봤을 때 Benzamide로 값이 나왔다. 정확치는 않지만 Benzamide는 113°정도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Benzamide로 생각할 수 있겠다.
생각보다 실험값이 자료에 나와있는 자료들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온도측정이 낮게 나왔는데, 이유는 실험할 때의 많은 변수로 작용하는 각자 사람들의 시야의 차이인 것 같다. 그리고 모세관에 남은 시료를 봤을 때 너무 작기에 시료가 완전히 녹았는지 아니면 녹기 시작했는지의 판단을 내리기도 사실상 어려웠다. 실험은 열심히 했지만 값의 차이가 많이 나와 아쉬웠다.
6) 참고문헌
실험유기화학 자유아카데미 윤용진 저 1987발행 p31~33
기초유기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안정수저 1986발행 p53~63
유기화학실험 학문사 김홍락저 1995발행 p17~21
추천자료
실험3.RLC회로-임피던스측정 예비
물리화학실험_3주_분몰랄 부피 측정
[EQ]EQ(감성지수, 감성지능)의 정의와 등장, EQ(감성지수, 감성지능)의 구성요소와 영향, EQ(...
유아사회교육의 정의, 목표, 접근방법 고찰과 주제 3개의 활동계획 < 30점 만점 >
[방통대과제] 유아사회교육의 정의, 목표, 접근방법 고찰과 주제 3개의 활동계획 < 30점 만점 >
실험 3 ph측정
자료 수집 방법 과정 중 측정의 오류에 대해 3가지 이상 설명하고 토론하시오
초등3)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128~129쪽(1/11차시), 실험관찰 52쪽> 4. 날씨와 ...
물리실험예비보고서3-9회전장치에 의한 관성 모멘트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후크의 법칙 - 힘의 측정 _ 실험 제목, 목적, 이론, 방법, 결과 및 토의
[전기기기 및 실험] 교류 단상 및 3상회로의 전력과 역률 측정
[실험] (예비) 5_직렬 및 병렬 회로의 응용 (전압 배율기와 전류 분류기의 원리, 측정 범위 ...
[실험] (결과) 1_R, L, C 소자의 이해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물리적 의미를 이해, 저항,...
전자회로실험II - 실험 9. DC 모터 속도 제어 및 측정 제 3~4주 예비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