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 ▷ 목 차 ◁ ◀
1. 사진이란 무엇인가?
2. 사진의 배경
3. 사진의 발명
4. 사진의 본질
5. 사진의 학문적 위치
6. 사진의 특성
7. 우리나라 사진사의 원조는?
8. 사진의 역사
9. 카메라의 구조 및 종류
10. 렌 즈
11. 필 터
12. 후레쉬
13. 필 름
14. 주제 결정
15. 구 도
16. 라 이 팅
17. 순간 포착
18. 구성의 결정
19. 암 실(Dark room)
20. 현 상
21. 사진과 미술과의 관계와 영향에 관하여‥‥
1. 사진이란 무엇인가?
2. 사진의 배경
3. 사진의 발명
4. 사진의 본질
5. 사진의 학문적 위치
6. 사진의 특성
7. 우리나라 사진사의 원조는?
8. 사진의 역사
9. 카메라의 구조 및 종류
10. 렌 즈
11. 필 터
12. 후레쉬
13. 필 름
14. 주제 결정
15. 구 도
16. 라 이 팅
17. 순간 포착
18. 구성의 결정
19. 암 실(Dark room)
20. 현 상
21. 사진과 미술과의 관계와 영향에 관하여‥‥
본문내용
으나 명도와 채도가 비슷해 흑백사진에서 콘트라스트의 구별이 곤란하거나 특정 파장만을 강하게 투과 내지는 흡수시켜 콘트라스트를 뚜렷히 하기위한 목적(콘트라스트 필터)으로 사용하게 된다.
▶ 교정용 필터(Correction filter)
인간의 육안은 가시광선 내에서 노란색(옐로우)을 가장 밝게 느끼는 반면, 필름 은 단파장광인 청색광과 자외선 파장에 대해 더 민감하다. 뿐만 아니라 원거리의 경우에는 자외선을 포함한 단파장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화상이 육안으로 보 는 것보다 더 밝고 뿌옇게 흐려보이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필름과 육안 광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포함한 단파장광을 제거하고, 노란색을 필름에서도 가장 밝게 느끼게 하기위하여 \'옐로우 필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초록부터 빨강까지 빛을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옐로우를 가장 많이 흡수하게 되어 가시광선 내의 노란색이 가장 밝게 나타날 것이다. 결과적으로 피사체는 육안과 근접한 밝기(Tone)로 재현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이 가장 밝게 받아들이는 파장의 범위와 육안이 밝게 느끼는 파장의 범위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필터를 이용하여 육안에 맞게 교정하는 것을 교정용(Correction) 필터라하고, 옐로우 계열인 Y2 filter(Wratten No.4)가 대표적이 라고 할 수 있다.
▶ 콘트라스트 필터(Contrast filter)
콘트라스트 필터는 가시광선 내에 특정의 파장만을 투과 내지는 흡수시켜, 밝게 또는 어둡게 묘사하는 것이다. 각각 다른 색조의 피사체 일지라도 명도나 채도가 비슷해서 흑백사진으로 묘사할 경우에 모두 비슷한 흑백사진으로 묘사할 경우에 비슷한 톤으로 나타나 콘트라스트가 없는 사진이 될 경우에 콘트라스트 필터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사체의 색조가 각각 블루와 레드로 이루어졌을 때, 이를 흑백 네거티브 필름으로 촬영하였다면, 이 두 색조는 모두 비슷한 톤으로 나타나 콘트라스트가 없는 사진이 될 것이다. 여기서 블루 필터를 끼우고 촬영한다면 파란색의 피사체는 희게 그리고 빨간색의 피사체는 검게 묘사되고 레드 필터를 끼우고 촬영한다면 그 반대로 나타나면서 콘트라스트는 강한 사진이 될 것이다.
이는 피사체의 색에 대해 필터의 농도가 진하면 콘트라스트는 강해지고 엷을수록 그 정도는 약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콘트라스트 필터는 규정된 필터가 있는 것은 아니고, 피사체의 상태 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되어질 수가 있고, 대체로 필터의 농도가 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목적에 따라 농도가 연한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 컬러 흑백 겸용 필터
컬러와 흑백사진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터는 필터 자체가 특정 범위의 색광(파장)을 흡수하거나 투과하여 빛의 색조직을 변화시켜 피사체에 대한 화상의 톤을 변화시키는 목적 보다는 주로 사진의 화질을 저하시키는 자외선이나 단 파장광을 제거, 또는 광량을 감소시키거나 반사광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 사용 된다.
▶ 헤이즈 컷 필터(Haze-cut, 또는 UV filter) : 자외선 방지 필터
원경촬영이나 항공촬영의 경우 때때로 화상이 뿌옇게 흐린 사진을 볼 수가 있게 된다. 또 컬러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푸른기가 도는 사진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헤이즈 현상은 맑은 날씨에 더 현저히 나타난다.
그 원인 은 자외선이나 청색광과 같은 단 파장광이 대기중의 수증기나 그밖에 먼지 등과 부딪치면서 반사 굴절되어 빛이 산란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이 사진상에 화상의 선명도를 해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고감도 필름일수록 더욱 민감하기 때문에 자외선과 단파장광을 제거시킴으로써 헤이즈 현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대표적인 것이 UV(Ultra Violet) 필터이다.
UV 필터는 무색 필터로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가시광선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렌즈 보호용으로 사용되기 도 한다. 만약 보다 확실히 자외선과 단파장광에 의한 헤이즈 현상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면, 흑백사진에서는 자외선 뿐 아니라 단파장광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Y3 필터 나 오렌지 필터(O2)등 과 같이 장파장광(Red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면 충분하지만, 피사체의 재현에 있어서 올바른 톤의 밸런스를 유지시키기가 어렵게 되고 또 컬러의 경우에는 색조재현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코닥 Wratten No. 2C와 같은 엷은 노란색 계열의 필터를 사용하면, 색조 표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자외선에 의한 헤이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 ND(Neutral Density) 필터 : 광량감소 목적의 필터
ND 필터는 일정한 범위의 파장이나 특정의 파장을 흡수 내지는 투과시켜 빛의 색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고, 렌즈를 통해 들어가는 빛을 양을 필터를 통해서 광량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피사체의 색재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회색(중간)농도 필터가 ND 필터이다.
ND 필터의 종류는 필터의 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ND 2 : 광량 2배 감소 (1 stop open)
ND 4 : 광량 4배 감소 (2 stop open)
ND 8 : 광량 8배 감소 (3 stop open)
만약 이들 필터를 겹쳐서 사용한다면, 광량은 그만큼 감소하게 되나 화질에는 그만큼 문제가 될 수 있다. ND 2+ ND 4=ND 8, ND 4+ ND 8=ND 32. 1stop+2stop=33 stop open. 2stop+3stop=5 stop open ND 필터가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경우는 피사체에 대한 광량이 너무 밝거나 필름의 감도가 높아서 셔터 속도나 조리개로 조절이 불가능 할 때, 조리개를 개 방하여 아웃포커스의 효과를 내려할 때, 또는 셔터속도를 느리게 하여 운동감 (Panning, Blur)을 나타내려 할 때, ND 필터는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편광 필터(PL : Polarizing filter) : 반사 제거용 필터
편광 필터는 반사제거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그 원리상 여러 가지 효과를 함께 가지고 있는 필터이기도 하다. 편광 필터의 원리는 여러
▶ 교정용 필터(Correction filter)
인간의 육안은 가시광선 내에서 노란색(옐로우)을 가장 밝게 느끼는 반면, 필름 은 단파장광인 청색광과 자외선 파장에 대해 더 민감하다. 뿐만 아니라 원거리의 경우에는 자외선을 포함한 단파장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화상이 육안으로 보 는 것보다 더 밝고 뿌옇게 흐려보이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필름과 육안 광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포함한 단파장광을 제거하고, 노란색을 필름에서도 가장 밝게 느끼게 하기위하여 \'옐로우 필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초록부터 빨강까지 빛을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옐로우를 가장 많이 흡수하게 되어 가시광선 내의 노란색이 가장 밝게 나타날 것이다. 결과적으로 피사체는 육안과 근접한 밝기(Tone)로 재현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이 가장 밝게 받아들이는 파장의 범위와 육안이 밝게 느끼는 파장의 범위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필터를 이용하여 육안에 맞게 교정하는 것을 교정용(Correction) 필터라하고, 옐로우 계열인 Y2 filter(Wratten No.4)가 대표적이 라고 할 수 있다.
▶ 콘트라스트 필터(Contrast filter)
콘트라스트 필터는 가시광선 내에 특정의 파장만을 투과 내지는 흡수시켜, 밝게 또는 어둡게 묘사하는 것이다. 각각 다른 색조의 피사체 일지라도 명도나 채도가 비슷해서 흑백사진으로 묘사할 경우에 모두 비슷한 흑백사진으로 묘사할 경우에 비슷한 톤으로 나타나 콘트라스트가 없는 사진이 될 경우에 콘트라스트 필터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사체의 색조가 각각 블루와 레드로 이루어졌을 때, 이를 흑백 네거티브 필름으로 촬영하였다면, 이 두 색조는 모두 비슷한 톤으로 나타나 콘트라스트가 없는 사진이 될 것이다. 여기서 블루 필터를 끼우고 촬영한다면 파란색의 피사체는 희게 그리고 빨간색의 피사체는 검게 묘사되고 레드 필터를 끼우고 촬영한다면 그 반대로 나타나면서 콘트라스트는 강한 사진이 될 것이다.
이는 피사체의 색에 대해 필터의 농도가 진하면 콘트라스트는 강해지고 엷을수록 그 정도는 약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콘트라스트 필터는 규정된 필터가 있는 것은 아니고, 피사체의 상태 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되어질 수가 있고, 대체로 필터의 농도가 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목적에 따라 농도가 연한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 컬러 흑백 겸용 필터
컬러와 흑백사진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터는 필터 자체가 특정 범위의 색광(파장)을 흡수하거나 투과하여 빛의 색조직을 변화시켜 피사체에 대한 화상의 톤을 변화시키는 목적 보다는 주로 사진의 화질을 저하시키는 자외선이나 단 파장광을 제거, 또는 광량을 감소시키거나 반사광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 사용 된다.
▶ 헤이즈 컷 필터(Haze-cut, 또는 UV filter) : 자외선 방지 필터
원경촬영이나 항공촬영의 경우 때때로 화상이 뿌옇게 흐린 사진을 볼 수가 있게 된다. 또 컬러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푸른기가 도는 사진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헤이즈 현상은 맑은 날씨에 더 현저히 나타난다.
그 원인 은 자외선이나 청색광과 같은 단 파장광이 대기중의 수증기나 그밖에 먼지 등과 부딪치면서 반사 굴절되어 빛이 산란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이 사진상에 화상의 선명도를 해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고감도 필름일수록 더욱 민감하기 때문에 자외선과 단파장광을 제거시킴으로써 헤이즈 현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대표적인 것이 UV(Ultra Violet) 필터이다.
UV 필터는 무색 필터로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가시광선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렌즈 보호용으로 사용되기 도 한다. 만약 보다 확실히 자외선과 단파장광에 의한 헤이즈 현상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면, 흑백사진에서는 자외선 뿐 아니라 단파장광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Y3 필터 나 오렌지 필터(O2)등 과 같이 장파장광(Red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하면 충분하지만, 피사체의 재현에 있어서 올바른 톤의 밸런스를 유지시키기가 어렵게 되고 또 컬러의 경우에는 색조재현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코닥 Wratten No. 2C와 같은 엷은 노란색 계열의 필터를 사용하면, 색조 표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자외선에 의한 헤이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 ND(Neutral Density) 필터 : 광량감소 목적의 필터
ND 필터는 일정한 범위의 파장이나 특정의 파장을 흡수 내지는 투과시켜 빛의 색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고, 렌즈를 통해 들어가는 빛을 양을 필터를 통해서 광량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피사체의 색재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회색(중간)농도 필터가 ND 필터이다.
ND 필터의 종류는 필터의 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ND 2 : 광량 2배 감소 (1 stop open)
ND 4 : 광량 4배 감소 (2 stop open)
ND 8 : 광량 8배 감소 (3 stop open)
만약 이들 필터를 겹쳐서 사용한다면, 광량은 그만큼 감소하게 되나 화질에는 그만큼 문제가 될 수 있다. ND 2+ ND 4=ND 8, ND 4+ ND 8=ND 32. 1stop+2stop=33 stop open. 2stop+3stop=5 stop open ND 필터가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경우는 피사체에 대한 광량이 너무 밝거나 필름의 감도가 높아서 셔터 속도나 조리개로 조절이 불가능 할 때, 조리개를 개 방하여 아웃포커스의 효과를 내려할 때, 또는 셔터속도를 느리게 하여 운동감 (Panning, Blur)을 나타내려 할 때, ND 필터는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편광 필터(PL : Polarizing filter) : 반사 제거용 필터
편광 필터는 반사제거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그 원리상 여러 가지 효과를 함께 가지고 있는 필터이기도 하다. 편광 필터의 원리는 여러
추천자료
사라센 건축의 특징과 역사
한국 성리학의 특징과 역사적 기능
스키의 기원과 역사와 특징 및 종류, 장비
스키 완벽정리 (스키의 역사와 특징 및 스키의 기술과 스키의 효과)
14 미얀마의 역사와 특징조사 및 한국과의 관계 조사분석
한국의 보신문화의 역사와 특징 및 문제점과 해결방법 조사분석
자이브의 특징과 역사 및 개요와 샷세 총체적 조사분석
세계 자동차 회사들의 CF분석 및 역사와 특징소개, 경영전략분석, 성공사례, 성공전략, 마케...
근대 올림픽 역사와 특징 및 개념과 시작, 이념, 올림픽의 목적, 현황, 상식 조사분석
근대 올림픽의 역사와 특징 및 개념과 시작, 이념, 올림픽의 목적, 현황, 상식 조사분석
환상동화의 특징, 교육적 의의 및 역사, 유형, 평가준거.
프랑스 문화의 이해 (프랑스의 역사와 특징, 프랑스인, 프랑스의 풍속, 프랑스인의 보장제도,...
[건축역사] 조선시대 한옥의 이해 - 한옥의 개념, 특징(지역별 구분, 계층별 구분), 조선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