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중주의의 정의
2. 민중주의 이론의 특징
3. 다른 사상과의 차이점
4. 후진국에서 나타난 민중주의의 예
5. 민중주의의 한계점
6. 결론
2. 민중주의 이론의 특징
3. 다른 사상과의 차이점
4. 후진국에서 나타난 민중주의의 예
5. 민중주의의 한계점
6. 결론
본문내용
과 무력감을 느끼는 ‘낙오자들의 목소리’다. 이것은 민중주의 운동이 지속적인 현상으로 오래 남을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왜냐하면 경쟁적인 사회에서, 현대화의 과정에서 패배자와 낙오자는 항상 나올 것이고, 그 결과로 민중주의 운동 역시 항상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후진국형 민중주의의 예를 보면 지나치게 극단적이고 급진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엄청난 희생의 대가를 치르면서도 결국 민중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게 된 경우가 많았다. 물론 도덕적이고 생산적인 민중이 세계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명제가 그르다는 것은 아니나, 그것을 이루는 방법적인 면에서 조금 더 유연한 사고가 필요하지 않은가 생각해본다.
【참고문헌】
공병호, 『한국,번영의 길』, 해냄
김학준, 『러시아사』,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1
모리스 마이스너(김수영 옮김),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이산, 2004
신용하, 『동학농민혁명운동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2005
안윤모,「민중주의」,『서양의 지적 운동Ⅱ』, 김영한 엮음, 지식산업사, 1998
이주영, 『역사의 이해와 해석』,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프란츠 파농(성찬성 옮김),『혁명의 사회학』, 한마당
하지만 앞서 살펴본 후진국형 민중주의의 예를 보면 지나치게 극단적이고 급진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엄청난 희생의 대가를 치르면서도 결국 민중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게 된 경우가 많았다. 물론 도덕적이고 생산적인 민중이 세계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명제가 그르다는 것은 아니나, 그것을 이루는 방법적인 면에서 조금 더 유연한 사고가 필요하지 않은가 생각해본다.
【참고문헌】
공병호, 『한국,번영의 길』, 해냄
김학준, 『러시아사』,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1
모리스 마이스너(김수영 옮김),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이산, 2004
신용하, 『동학농민혁명운동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2005
안윤모,「민중주의」,『서양의 지적 운동Ⅱ』, 김영한 엮음, 지식산업사, 1998
이주영, 『역사의 이해와 해석』,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프란츠 파농(성찬성 옮김),『혁명의 사회학』, 한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