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하위문화란 무엇인가?
Ⅱ. 연구주제와 방향
Ⅲ. 팬덤 논의의 흐름
Ⅳ. 팬덤 현상의 분석과 의미
ⅴ. 결언
<참고문헌>
Ⅱ. 연구주제와 방향
Ⅲ. 팬덤 논의의 흐름
Ⅳ. 팬덤 현상의 분석과 의미
ⅴ. 결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집단의 회원이라는 정체성을 형성하고 서로간의 동질감을 공유하는 역할을 하면서 소속감을 느끼게 된다(양재영, 1994).
ⅴ. 결언
우리는 지금까지 평가 절하되었던 10대 팬덤 문화의 의미와 팬덤 문화가 창출하는 생산성에 관하여 생각해 보았고 그 가능성까지도 알아보았다. 물론 이러한 10대의 팬덤 문화에 부정적인 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안에 내제 되어있는 잠재력과 다른 어떤 문화와도 비교되지 않는 역동성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10대 팬덤 현상에 관하여 지속적 관심과 따뜻한 시선으로 그들이 생산해내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되 방관이 아닌 책임감 있는 수용과 용납으로 보담으려는 우리 모두의 생명력 있는 문화를 꿈꾸며 이 보고서를 갈음한다.
<참고문헌>
김창남. 2000.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박동숙. 2000. 「팬(fan)은 누구인가?-대중문화의 주체적 수용자」, 『매스미 디어와 수용자』, 커뮤니케이션 북스
박은경. 2003. 『god 스타덤과 팬덤』, 한울
이동연 편. 1988. 『하위문화는 저항하는가』,문화과학사
2001. 「팬덤의 기호와 문화정치」, 『문화비평/진보평론』, 8호
존 피스크. 1996. 「팬덤의 문화경제학」,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 개의 탐구』, 한나래
현지영. 1998. 「팬클럽 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자기정체성 형성: 서태지와 아 이들 팬클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논문
1999.
양재영. 1994. 「청소년집단의 대중문화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연예인 팬클럽 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사논문
ⅴ. 결언
우리는 지금까지 평가 절하되었던 10대 팬덤 문화의 의미와 팬덤 문화가 창출하는 생산성에 관하여 생각해 보았고 그 가능성까지도 알아보았다. 물론 이러한 10대의 팬덤 문화에 부정적인 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안에 내제 되어있는 잠재력과 다른 어떤 문화와도 비교되지 않는 역동성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10대 팬덤 현상에 관하여 지속적 관심과 따뜻한 시선으로 그들이 생산해내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되 방관이 아닌 책임감 있는 수용과 용납으로 보담으려는 우리 모두의 생명력 있는 문화를 꿈꾸며 이 보고서를 갈음한다.
<참고문헌>
김창남. 2000.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박동숙. 2000. 「팬(fan)은 누구인가?-대중문화의 주체적 수용자」, 『매스미 디어와 수용자』, 커뮤니케이션 북스
박은경. 2003. 『god 스타덤과 팬덤』, 한울
이동연 편. 1988. 『하위문화는 저항하는가』,문화과학사
2001. 「팬덤의 기호와 문화정치」, 『문화비평/진보평론』, 8호
존 피스크. 1996. 「팬덤의 문화경제학」,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 개의 탐구』, 한나래
현지영. 1998. 「팬클럽 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자기정체성 형성: 서태지와 아 이들 팬클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논문
1999.
양재영. 1994. 「청소년집단의 대중문화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연예인 팬클럽 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사논문
추천자료
중국의 대중문화 - 경극
독일의 대중문화
[매스미디어론] 신세대와 대중문화
한일간 대중문화의 수용과 일본내 한류열풍을 통해 본 한일관계의 변화
한국의 대중문화 현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
현대유행패션과 대중문화
유신체제의 대중문화 탄압, 긴급조치9호 리포트
현대 음악의 이해 - 대중문화 속에서 찾은 현대음악
국어교육의 대중문화 수용을 위한 시론
[대중문화와 기독교] 광고 매체 - 예술인가 쓰레기인가
한국 대중문화 속 롤리타(Lolita) 코드와 걸그룹의 소녀 성애적 이미지를 통해 본 성차적 위...
대중문화의 정의대중문화 관련 이론대중문화의 소비자외국의 대중문화대중문화의 영향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