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형및 조합형코드, 유니코드 조사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완성형및 조합형코드, 유니코드 조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는 말

2. 완성형 코드
(1)Coding rule
(2)장점
(3)단점

3. 확장 완성형 코드

4. 조합형 코드
(1)Coding rule

5. 완성형과 조합형의 비교 분석

6. 유니코드
(1)Coding rule
(2)장점
(3)단점

7.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제2] 한글 문자 표시를 위한 한글 Code로서 완성형, 조합형 Code 및 Unicode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해 본다.
들어가는 말
한글은 보는 관점에 따라,
1. 음절문자로 보아 완성형 한글로 사용 하는 경우와,
2. 초성+중성+종성을 하나의 글자로 생각하여 조합형 한글로 사용 하는 경우,
3. 중성 혹은 종성이 1 혹은 2 개의 더 작은 글자 (음소?, alphabet, component)의 합성임을 생각하여 N-Byte Code를 사용 하는 경우의 3 가지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완성형과 조합형 두 가지의 경우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완성형 Code
① Coding rule: 완성형 한글코드는 1987년 정부가 한국표준으로 정한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한글 음절마다 2 바이트의 2 진수를 1 대 1로 대응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즉, \"가\"라는 글자는 \"10110000 10100001\", \"각\"이라는 글자는 \"10110000 10100010\"과 같은 식으로 미리 코드를 글자별로 정해 놓았다. 한글 글쓰기에서 많이 사용되는 글자들만 골라서, \"가\" \"나\" \"다\" \"라\" 이렇게 미리 만들어 놓고 한 덩어리로 표현하는 코드이다. 그래서 자모를 다시 분리할 수 없다. 한글 글자가 고작 2350자 있고, 한자 4888자, 그 외에 각종 기호와 외국 글자들이 조금 들어 있다.
② 장점: 한글을 나타내는 코드의 첫 번째와 두 번째 바이트의 MSB가 모두 \"1\" 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아스키 코드의 영문자는 7 비트 코드이기 때문에 MSB를 \"0\" 으로 만들면, 한글과 영문 아스키 코드가 중복되지 않아 처리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보 교환 시 코드 간의 충돌이 없다.
③ 단점: 모든 한글 음절을 표현할 수는 없어서 \"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1.1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