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재 < 젊은 느티나무 > 작품분석과 소설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신재 < 젊은 느티나무 > 작품분석과 소설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품론
1) 작품의 외적 요인
(1) 강신재의 삶과 여성성
(2) 강신재 소설의 다양성
(3) 1960년대 소설
- 일반적 특징
- 강신재「임진강의 민들레」
- 김동리「등신불」
2) 작품의 내적 요인
(1) 줄거리
(2) 인물의 성격
(3) 분위기의 특징과 기능
(4) 내용 연구

Ⅱ. 지도론
1) 교재관
2) 지도관
3) 단원의 지도계획

본문내용

강 신 재 < 젊은 느티나무 >
Ⅰ. 작품론
1) 작품의 외적 요인
(1) 강신재의 삶과 여성성
(2) 강신재 소설의 다양성
(3) 1960년대 소설
- 일반적 특징
- 강신재「임진강의 민들레」
- 김동리「등신불」
2) 작품의 내적 요인
(1) 줄거리
(2) 인물의 성격
(3) 분위기의 특징과 기능
(4) 내용 연구
Ⅱ. 지도론
1) 교재관
2) 지도관
3) 단원의 지도계획
Ⅰ. 작품론
1) 작품의 외적 요인
1. 강신재의 삶과 여성성
(1) 강신재의 삶
1924년 서울에서 세브란스출신의 의사인 아버지와 교회 부속유치원의 선생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숭의학교를 졸업한 신여성의 어머니 때문에 교회당과 유치원에서 놀며, 다섯 살 때 아버지의 병원 개업으로 함경북도 청진으로 옮겨 살던 중, 초등학교 5학년 때 아버지가 갑작스럽게 별세하신다. 33세에 미망인이 된 어머니를 따라 갖 젖 떨어진 아기까지 네명의 형제들과 함께 서울로 옮겨 살게 된다. 경기여고 졸업(1942. 3)과 이화여전 2년을 중퇴하고 결혼한 이후 일남일녀의 다복한 가정을 만들면서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결혼 후 1949년에 김동리의 추천으로 <문예>에 단편 <얼굴>, <정순이>를 발표하여 등단하였다. 1960년 무렵부터는 주로 중·단편을 쓰기 시작하여 <임진강의 민들레>와 펜클럽 작가기금으로 씌어진 <오늘과 내일>의 두 전작소설을 발표했다. 1959년 <절벽>으로 한국문인협회상을, 1967년 <이 찬란한 슬픔을>로 여류문학상을, 1984년 중앙문화대상을, 1988년 대한민국예술원상을 수상했다. 또한 1968년 한국문학가협회 이사를 역임하고, 1982년 한국여류문인회 회장, 1987년 한국소설가협회 대표위원회 위원장 등 지도자로서의 면모도 보여준다.
국민대 총장을 역임한 부군 서생수와의 사이에 아들 서기영(45)은 경기고, 서울공대, 버클리대학을 졸업하여 현재 성균관대학교 교수(건축학)로 있으며 며느리 이해주(44)도 중앙대 의상학과 교수로 있다. 딸 서타옥(50)은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성심여대 교수(피아노 전공)로 있으며 사위(52)는 해운회사 사장으로 사업가이다. 일남일녀의 자녀를 모두 학문에 정진케 하여 대학교수로 있으면서 며느리까지 학자를 맞이하였다. 자신도 창작과 예술가로서의 길에 성공하여 특성있는 작가로서 평가받으면서 예술원 회원으로서의 명예까지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단편소설집 <희화>(1958) <여정>(1959) <젊은 느티나무>(1960) <황량한 날의 동화>(1976), 장편소설집 <임진강의 민들레>(1962) <파도>(1970) <강신재 대표작 전집>(1974) <사도세자빈>(1981) <간신의 처>(1989) <명성황후>(1991) <광해의 날들>(1994), 수필집 <사랑의 아픔과 진실>(1966) <모래성>(1974) <무엇이 사랑의 불을 지피는가>(1986), 희곡집<갈소리>(1956) 가 있다.
(2) 여성성
현실적 맥락을 떠나 환상적, 낭만적 사랑에 몰입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사랑 이야기는 1960년대 여성소설의 현저한 특징이었다. 1960년대는 자본주의적 근대화가 일상에까지 구조화 되어 가정은 여성을 억압하고 윤리적 감시와 통제를 했다. 이러한 시기 강신재는 가정을 넘어선 여성의 욕망과 사랑을 표현하여 아버지로 상징되는 법과 권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집밖의 이미지와 집안 이미지의 차이, 아버지에 대한 태도는 가부장성과 상징적 법을 부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시무룩해가지고 테라스 앞에 오면 - 그 안 넓은 방에 깔린 자색 양탄자, 여기저기에 놓인 육중한 가구, 그 속에 깃들인 신비한 정적, 이런 것들을 넘겨다보면 - 그리고 주위에 만발한 작약, 라일락의 향기, 짙어진 풀내가 한테 엉켜 풋풋한 이곳에 와서 서면 - 나는 내 존재의 의미가 별안간 아프도록 뚜렷이 보랏빛 공기 속에 떠 있는 것을 보는 것이다.
내가 잠시 지녔던 유쾌함과 행복은 끝내 나의 것일 수는 없고, 그것은 그대로 실은 나의 슬픔과 괴로움이었다는 기묘한 도착을, 나는 어떻게도 처리할 길이 없다.
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중(中)
2. 강신재 소설의 다양성
(1) 감각적ㆍ서정적 분위기소설
표면에 주제를 내세우지 않고 사소한 습관이나 차림새, 혹은 섬세한 마음의 움직임, 행동, 버릇, 말씨, 생김새, 소지품, 그리고 주변의 자연환경 소도구 등을 세밀하게 묘사하여 소설의 분위기를 이끌어 내고 주제를 부각시킨다.
이때, 작가는 항상 작품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작가가 직접 사건이나 주제를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 입장에서 보여주고, 들려주고, 분위기를 제공해 줄 뿐이다. 이것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이며 1인칭 시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에게는 언제나 비누냄새가 난다 <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11.1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