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역사
2.경기장과 포화의 규격
3.기본기능
(1)포환 쥐는 법
(2)포환을 드는 위치
(3)준비동작
(4)이동동작
(5)던지기 준비
(6)투사
(7)홈 드로우(home throw)
(8)리버스(reverse)
4.경기 방법 및 규칙
5.포환서클
6.발막음재
7.포환
8.부채꼴 낙하구역
9.과학적원리
2.경기장과 포화의 규격
3.기본기능
(1)포환 쥐는 법
(2)포환을 드는 위치
(3)준비동작
(4)이동동작
(5)던지기 준비
(6)투사
(7)홈 드로우(home throw)
(8)리버스(reverse)
4.경기 방법 및 규칙
5.포환서클
6.발막음재
7.포환
8.부채꼴 낙하구역
9.과학적원리
본문내용
7.285㎏
110㎜
130㎜
여 자
4.000㎏
4.005㎏~4.025㎏
95㎜
110㎜
남 고
5.443㎏
5.448㎏~5.468㎏
100㎜
120㎜
여고/남중
4.000㎏
4.005㎏~4.025㎏
95㎜
110㎜
여중/남초
2.721㎏
2.726㎏~2.746㎏
85㎜
95㎜
여 초
2.000㎏
2.005㎏~2.025㎏
75㎜
85㎜
[주] 본 연맹 주최공동주최의 경기대회에서는 초중고의 포환은 위와 같은 규격에 합치되어야 한다.
22) 규칙 제12조 1항(a),(b),(c)에 규정된 경기대회에서는 조직위원회가 준비한 용구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기중에 그 용구를 조정시킬 수 없다. 선수는 장내에 어떠한 용기구도 가지고 들어가지 못한다.
그밖의 모든 대회에서는 선수들이 자신의 용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경기전에 조직위원회의 검사와 승인을 받아야 하고, 모든 선수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부채꼴 낙하구역 (The Landing Sector)
23) 낙하구역은 포환이 흔적이 남도록 신더(석탄재)나 잔디 또는 그밖의 적당한 재질로 만들어야 한다.
24) 낙하구역의 허용경사한도는 던지는 방향으로 1000분의 1이내여야 한다.
25) 낙하지역은 안쪽 가장자리가 서클 중심에서 교차할 수 있도록 40˚의 각도로 5cm 너비의 흰선으로 표시한다.
[주-IAAF] 40도 낙하구역은 정확히 서클 중심에서 13.68m 떨어진 20m 구역선에 있는 두지점사이의 거리를 표시하여 정확히 설계한다. 서클중심에서부터 매1m지점의 지름은 68.4cm가 되어야 한다.
26) 각 선수의 최고기록을 표시하기 위하여 뚜렷하게 식별되는 기 또는 표지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낙하구역선을 따라 바깥쪽에 세워야 한다.
또한 뚜렷하게 구별되는 기나 표지물을 준비하여 현재의 세계기록이나 필요에 따라 대륙기록 또는 국가기록을 표시하여야 한다.
◈ 과학적 원리
던지기 경기의 기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던지는 팔과 어깨, 다리의 근력 및 순발력을 강화시켜야 하며, 특히 허리의 유연성이 중요한 요인이다. 던지기 경기를 할 때에는 기구를 던지는 순간의 속도를 빠르게하고 투척 순간에 신체 중심의 높이르 최대로 하면서 각 던지기 종목에 적절한 각도로 던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투척 각도는 약 40 ~ 42도가 적합하고, 원반던지기에서는 약 38 ~ 40도, 창던지기에서는 35 ~ 40도로 던지는 것이 최대의 투사 거리를 얻는 데 효과적이다.
110㎜
130㎜
여 자
4.000㎏
4.005㎏~4.025㎏
95㎜
110㎜
남 고
5.443㎏
5.448㎏~5.468㎏
100㎜
120㎜
여고/남중
4.000㎏
4.005㎏~4.025㎏
95㎜
110㎜
여중/남초
2.721㎏
2.726㎏~2.746㎏
85㎜
95㎜
여 초
2.000㎏
2.005㎏~2.025㎏
75㎜
85㎜
[주] 본 연맹 주최공동주최의 경기대회에서는 초중고의 포환은 위와 같은 규격에 합치되어야 한다.
22) 규칙 제12조 1항(a),(b),(c)에 규정된 경기대회에서는 조직위원회가 준비한 용구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기중에 그 용구를 조정시킬 수 없다. 선수는 장내에 어떠한 용기구도 가지고 들어가지 못한다.
그밖의 모든 대회에서는 선수들이 자신의 용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경기전에 조직위원회의 검사와 승인을 받아야 하고, 모든 선수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부채꼴 낙하구역 (The Landing Sector)
23) 낙하구역은 포환이 흔적이 남도록 신더(석탄재)나 잔디 또는 그밖의 적당한 재질로 만들어야 한다.
24) 낙하구역의 허용경사한도는 던지는 방향으로 1000분의 1이내여야 한다.
25) 낙하지역은 안쪽 가장자리가 서클 중심에서 교차할 수 있도록 40˚의 각도로 5cm 너비의 흰선으로 표시한다.
[주-IAAF] 40도 낙하구역은 정확히 서클 중심에서 13.68m 떨어진 20m 구역선에 있는 두지점사이의 거리를 표시하여 정확히 설계한다. 서클중심에서부터 매1m지점의 지름은 68.4cm가 되어야 한다.
26) 각 선수의 최고기록을 표시하기 위하여 뚜렷하게 식별되는 기 또는 표지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낙하구역선을 따라 바깥쪽에 세워야 한다.
또한 뚜렷하게 구별되는 기나 표지물을 준비하여 현재의 세계기록이나 필요에 따라 대륙기록 또는 국가기록을 표시하여야 한다.
◈ 과학적 원리
던지기 경기의 기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던지는 팔과 어깨, 다리의 근력 및 순발력을 강화시켜야 하며, 특히 허리의 유연성이 중요한 요인이다. 던지기 경기를 할 때에는 기구를 던지는 순간의 속도를 빠르게하고 투척 순간에 신체 중심의 높이르 최대로 하면서 각 던지기 종목에 적절한 각도로 던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투척 각도는 약 40 ~ 42도가 적합하고, 원반던지기에서는 약 38 ~ 40도, 창던지기에서는 35 ~ 40도로 던지는 것이 최대의 투사 거리를 얻는 데 효과적이다.
추천자료
배드민턴의 역사
테니스의 역사와 방법
야구경기 투구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육상-필드경기, 트랙경기
아이스하키의 역사와 빙구
골프의 역사
[이종격투기][이종격투기 개념][이종격투기 유래][이종격투기 역사][이종격투기 종류]이종격...
[태권도, 태권도역사] 태권도의 역사와 정신 및 특징 - 태권도의 유래와 기원, 본질, 태권도 ...
테니스의 역사와 개요
[골프][골프 유래][골프클럽][스윙][골프경기][골프경기 방법][골프경기 에티켓][골프 관련 ...
테니스 역사 및 테니스 용어 해설 및 기본 기술
스포츠의 역사철학론 전반적 요점 내용
스포츠경기론(탁구)
국제사회스포츠의 역사 (올림픽의 역사) 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