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대 : sexuality 측면에서의 사이버 공간에 대한 기대
(1) 접근 기회의 균등
(2) 사회적 탈맥락화
(3) 솔직한 자기 노출 가능
(4) 검열의 불가
2. 현실 : 현실사회의 왜곡된 성(性)인식의 반영 - 개별 사례를 중심으로
(1) 리플문화
(2) 패러디
(3) 사이버 성폭력 : 스토킹, 채팅, 쪽지
(4) 사이버 포르노그라피
3. 분석 1 : 사이버 자체의 특성
(1) 익명성
(2) 가상공간
(3) 접근성
(4) 상업성
4. 분석 2 : 남성 헤게모니가 장악한 사이버 공간
(1) 남성과 여성의 사이버 공간 이용 차이
(2) 사이버 특성들과 남성성의 결합
(3) 사이버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기대 : sexuality 측면에서의 사이버 공간에 대한 기대
(1) 접근 기회의 균등
(2) 사회적 탈맥락화
(3) 솔직한 자기 노출 가능
(4) 검열의 불가
2. 현실 : 현실사회의 왜곡된 성(性)인식의 반영 - 개별 사례를 중심으로
(1) 리플문화
(2) 패러디
(3) 사이버 성폭력 : 스토킹, 채팅, 쪽지
(4) 사이버 포르노그라피
3. 분석 1 : 사이버 자체의 특성
(1) 익명성
(2) 가상공간
(3) 접근성
(4) 상업성
4. 분석 2 : 남성 헤게모니가 장악한 사이버 공간
(1) 남성과 여성의 사이버 공간 이용 차이
(2) 사이버 특성들과 남성성의 결합
(3) 사이버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성폭력에 대한 법제도를 정비해야 할 것이며, 현실적인 정치권력이 이를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그것에 선행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은 무엇이 사이버 성폭력인가에 대한 가해자, 피해자의 확실한 인식의 공감대를 만드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성폭력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이므로 재미로, 무심코 가한 폭력이 피해자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인지해야 하며 피해자의 대처 방안등을 교육, 홍보해야 한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문제는 일차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총체적 수적 차이에서 기원한다. 그래서 모든 분야에서의 성차별이 여성의 사회진출과 무관하지 않듯이 사이버 성폭력 역시 여성의 적극적인 참여가 그 해결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여성의 IT 산업 진출, 여성 프로그래머와 기획자가 만드는 사이트와 컨텐츠, 여성들이 각자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분야의 적극적인 참여가 사이버 공간의 남성 편향에 균열을 낼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 기술을 남성의 영역으로 의식하는 낡은 실제 공간의 고정관념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이런 노력은 당연히 사이버 공간이 저절로 중립적이지 않다는 인식을 분명히 하는 것을 포함한다. 과학기술의 중립성에 대한 막연한 믿음이나 지나치게 낙관적인 인터넷 혁명론을 우리는 거부해야 한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차별을 낳는 것은 기술이나 물질이 아니라 사회이지만, 어떤 기술이 선택되느냐 어떤 물질이 사회 속에서 실현되는 가는 철저하게 가치 지향적인 문제이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평등은 적극적인 행동 속에서 실현된다. 무비판적인 수용은 현실의 문제를 다시 더 고착화 시키는 기재가 된다. 모든 변화는 분명한 인식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확실한 인식도 필요하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성폭력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이므로 교육, 홍보, 대처 방안이나 신고센터의 활발한 운영, 이용약관의 분명한 명시등 제도적 정비 또한 필요하다. 게다가 사이버 성폭력은 그 피해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사이버스페이스에는 국경도, 거리도, 시간차도 없기 때문에 행위자는 한 명일 지라도 그 영향력은 세계로 확산된다.
게시판여론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방해물이라고 지적된 폭력적이고 인신공격적인 게시물에 대해서도 여성이 더욱 민감하게 느끼고 있으며,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게시물이 특히 인터넷 공간이 익숙하지 않은 여성들에게는 더욱 참여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어, 인터넷공간여론형성과정에서 특정 계층을 지속적으로 배제시키고 소외시키고 있는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논의들을 종합할 때 우리가 가져야 할 가장 분명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 바로 우리가 사이버 시민이라는 정체성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실제 공간에서의 자기 정체성을 버리라는 요구가 아니다. 이것은 단지 실제 공간에서의 완전하지 못한 가치관을 그대로 갖고 새로운 세상인 사이버 공간에서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는 것을 거부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정체성은 우리가 한 사회의 구성원임을 분명히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한 사회의 정체성을 획득한 사람은 그 세계의 규칙을 스스로 만들고 지키며, 새로운 사회속의 자신을 적극적으로 인식한다. 어려운 이야기가 아니다. 시민이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갖고 있는 사람은 집 앞의 쓰레기 투기 문제부터 정치권력과 사회 구조의 문제까지 자신을 둘러싼 세계의 문제들에 주체적으로 참여한다. 사이버 공간은 넓고 새롭다. 우리가 사이버 공간에서 또 다른 자아를 갖고 실재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한다면, 우리가 사이버 공간의 시민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그곳에서의 자신이 실제 공간에서 강제적으로 규정된 정체성과 같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Ⅳ. 참고자료
정기도(2000)『나,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책세상
윤정로『과학기술과 한국사회』, 문학과 지성사
리차드 스피넬로『사이버윤리』, 인간사랑
정진수 외(2000)『신종성폭력 연구 : 사이버 성폭력의 실태 및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 형사 정책 연구소
김종엽(2000)「ID는 id다 : 사이버스페이스와 섹슈얼리티」, 세계의 문학 2000 여름호
윤선희, 이수연(2000)『사이버문화와 여성』, 한나래
한국 성폭력 상담소(2001)『Delete! 사이버 성폭력』, 한국 성폭력 상담소
이수연 외(2001)「여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과 태도에 관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협동연구지원 사업 과제
정민승(2002)「청소년의 정보 이용 실태와 문제점 : 인터넷의 교육적 재편을 지향하며」, 정보통신 윤리위원회
윤혜린(2003)「사이버 공간속의 여성현실 : 여성 네티즌의 공간적 체험을 중심으로」, 계간사상 2003 봄호
황상민(2001)「사이버 공간의 자아, 그리고 사이버 정체성의 발달」, 계간과학사상 2001 가을호
http://www.gender.or.kr/
http://www.womenlink.or.kr
http://www.mic.go.kr/index.jsp
http://www.web3d.pe.kr/av-av.html
http://www.pczone.pe.kr/hp/ie12_4.html
http://cyberculture.re.kr/forum/paper/cyfemi.htm
http://cat2.riss4u.net/servlet/Xml2Html?p_control_no=3127902
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_donga/200001/nd2000010330.html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7&dir_id=710&docid=30939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11&docid=118791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11&docid=150805
http://www.gamespot.co.kr/gamerdesk/wonsang/contents.jsp?con_no=24563&cat_no=321
사이버 공간에서의 문제는 일차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총체적 수적 차이에서 기원한다. 그래서 모든 분야에서의 성차별이 여성의 사회진출과 무관하지 않듯이 사이버 성폭력 역시 여성의 적극적인 참여가 그 해결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여성의 IT 산업 진출, 여성 프로그래머와 기획자가 만드는 사이트와 컨텐츠, 여성들이 각자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분야의 적극적인 참여가 사이버 공간의 남성 편향에 균열을 낼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 기술을 남성의 영역으로 의식하는 낡은 실제 공간의 고정관념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이런 노력은 당연히 사이버 공간이 저절로 중립적이지 않다는 인식을 분명히 하는 것을 포함한다. 과학기술의 중립성에 대한 막연한 믿음이나 지나치게 낙관적인 인터넷 혁명론을 우리는 거부해야 한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차별을 낳는 것은 기술이나 물질이 아니라 사회이지만, 어떤 기술이 선택되느냐 어떤 물질이 사회 속에서 실현되는 가는 철저하게 가치 지향적인 문제이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평등은 적극적인 행동 속에서 실현된다. 무비판적인 수용은 현실의 문제를 다시 더 고착화 시키는 기재가 된다. 모든 변화는 분명한 인식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확실한 인식도 필요하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성폭력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이므로 교육, 홍보, 대처 방안이나 신고센터의 활발한 운영, 이용약관의 분명한 명시등 제도적 정비 또한 필요하다. 게다가 사이버 성폭력은 그 피해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사이버스페이스에는 국경도, 거리도, 시간차도 없기 때문에 행위자는 한 명일 지라도 그 영향력은 세계로 확산된다.
게시판여론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방해물이라고 지적된 폭력적이고 인신공격적인 게시물에 대해서도 여성이 더욱 민감하게 느끼고 있으며,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게시물이 특히 인터넷 공간이 익숙하지 않은 여성들에게는 더욱 참여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어, 인터넷공간여론형성과정에서 특정 계층을 지속적으로 배제시키고 소외시키고 있는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논의들을 종합할 때 우리가 가져야 할 가장 분명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 바로 우리가 사이버 시민이라는 정체성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실제 공간에서의 자기 정체성을 버리라는 요구가 아니다. 이것은 단지 실제 공간에서의 완전하지 못한 가치관을 그대로 갖고 새로운 세상인 사이버 공간에서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는 것을 거부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정체성은 우리가 한 사회의 구성원임을 분명히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한 사회의 정체성을 획득한 사람은 그 세계의 규칙을 스스로 만들고 지키며, 새로운 사회속의 자신을 적극적으로 인식한다. 어려운 이야기가 아니다. 시민이라는 정체성을 분명히 갖고 있는 사람은 집 앞의 쓰레기 투기 문제부터 정치권력과 사회 구조의 문제까지 자신을 둘러싼 세계의 문제들에 주체적으로 참여한다. 사이버 공간은 넓고 새롭다. 우리가 사이버 공간에서 또 다른 자아를 갖고 실재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한다면, 우리가 사이버 공간의 시민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그곳에서의 자신이 실제 공간에서 강제적으로 규정된 정체성과 같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Ⅳ. 참고자료
정기도(2000)『나,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책세상
윤정로『과학기술과 한국사회』, 문학과 지성사
리차드 스피넬로『사이버윤리』, 인간사랑
정진수 외(2000)『신종성폭력 연구 : 사이버 성폭력의 실태 및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 형사 정책 연구소
김종엽(2000)「ID는 id다 : 사이버스페이스와 섹슈얼리티」, 세계의 문학 2000 여름호
윤선희, 이수연(2000)『사이버문화와 여성』, 한나래
한국 성폭력 상담소(2001)『Delete! 사이버 성폭력』, 한국 성폭력 상담소
이수연 외(2001)「여학생의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과 태도에 관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협동연구지원 사업 과제
정민승(2002)「청소년의 정보 이용 실태와 문제점 : 인터넷의 교육적 재편을 지향하며」, 정보통신 윤리위원회
윤혜린(2003)「사이버 공간속의 여성현실 : 여성 네티즌의 공간적 체험을 중심으로」, 계간사상 2003 봄호
황상민(2001)「사이버 공간의 자아, 그리고 사이버 정체성의 발달」, 계간과학사상 2001 가을호
http://www.gender.or.kr/
http://www.womenlink.or.kr
http://www.mic.go.kr/index.jsp
http://www.web3d.pe.kr/av-av.html
http://www.pczone.pe.kr/hp/ie12_4.html
http://cyberculture.re.kr/forum/paper/cyfemi.htm
http://cat2.riss4u.net/servlet/Xml2Html?p_control_no=3127902
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_donga/200001/nd2000010330.html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7&dir_id=710&docid=30939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11&docid=118791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11&docid=150805
http://www.gamespot.co.kr/gamerdesk/wonsang/contents.jsp?con_no=24563&cat_no=321
추천자료
사이버음란물의 유통과 규제
청소년의 사이버 일탈 - 사이버 범죄 (컴퓨터 해킹, 바이러스 유포, 아이디 도용, 프로그램 ...
사이버 문화에 관한 심리적 접근
사이버 저널리즘 - 알 권리를 넘어선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사이버 저널리즘의 발전 ...
[사이버문화]사이버 상에서 관심편향과 폭력성향의 관계
사이버대학교 사례연구(case study)- 한국 사이버 대학교
[사이버 공간][인터넷][아바타]사이버 공간에서의 아바타(Avatar)에 관한 고찰(아바타의 의미...
정보화 문제 - 유형 및 현황, 사이버 일탈행위의 원인, 사이버 일탈이론, 정보화문제 해결을 ...
인터넷 실명제와 사이버 모욕죄,인터넷실명제와 사이버모욕죄,악성리플,악플,허위사실유포죄
[재택교육][재택기업][재택근무][재택수업][사이버재택학습][인터넷재택교육]재택교육, 재택...
사이버 범죄 예방과 방법
사이버범죄,사이버수사,범죄,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브랜드자산][상표자산][채널브랜드자산][신문브랜드자산][사이버상표자산]채널브랜드자산(채...
효율적인 사이버학습 운영전략을 제시하고 사이버학습의 장단점을 4가지 이상 기술 : 사이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