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표
방법
결과
고찰
방법
결과
고찰
본문내용
actor)에서 반응시켜 반응의 차수와 반응 속도 상수 k를 구하고, NaOH 대신 KOH를 사용했을 때 반응속도 상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는 실험이다. 비누화 반응이란 에스터 작용기를 NaOH나 KOH와 같이 OH-를 포함하는 염기성 용액과 반응시켜 카복실산 염과 알코올을 생성하는 반응을 말한다.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제조한 NaOH 용액을 항온조에 담겨 있는 플라스크에 넣는다. 그다음 6개의 플라스크에 HCl 표준용액을 넣는다. 세 번째, 플라스크 반응기에 Ethyl acetate 2mL를 넣고 시간을 측정한다. 네 번째, 10분 간격으로 반응 혼합물을 25mL씩 취하여 플라스크에 취한 순서대로 넣는다. 마지막으로 NaOH를 이용하여 6개의 용액을 산-염기 적정한다. KOH도 이와 같이 진행한다. 이 실험을 통해 비누화 반응 메커니즘과 반응 차수와 반응 속도 상수 구하는 과정을 익힐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NaOH와 KOH 반응이 1차 반응인 것과 NaOH 반응 속도 상수의 값이 0.56이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KOH 반응 속도는 구하지 못하였다. 구하지 못한 원인과 실험 결과의 오차 원인을 생각해보면, NaOH, HCl, KOH의 표준 용액 제조 과정이 원활하지 않았을 수 있으며, 항온조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또한 Ethyl acetate 2mL를 넣고 시간을 측정할 때 사람이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지 못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정하는 과정에서 일부 시약이 새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러한 부분들이 오차를 발생하게 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