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39번
해답과 풀이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A, B에 가까이 가 져다가 B와 유리 막대를 동시에 멀리 치웠다. 금속구 A 가 띠고 있는 전하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3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전하로 대전된 물체를 도체에 가까이 가져갔을 때 도체에 유도되는 전하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유도된 (-)전하량과 대전체의 전하량의 크기는 항상 같다.
② 대전체가 도체에 가까울수록 더 많은 전하가 유도된다.
③ 대전체와 먼 도체의 부분은 (+)전하로 대전된다.
④ 대전체와 가까운 도체의 부분에 (-)전하가 유도된다.
⑤ 유도된 (-)전하량과 유도된 (+)전하량은 크기가 같다.
38. 전류의 세기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원자의 핵이 1초 동안에 도선을 따라 이동하는 양
② 도선을 따라 1초 동안에 이동한 원자의 양
③ 파이프를 따라 1초 동안에 흐른 물의 양
④ 도선을 따라 1초 동안에 이동한 전하의 양
⑤ 도선을 따라 1초 동안에 이동한 이온의 양
39. 다음 그림 (가), (나)는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1) 그림 (가)의 B점에 흐르는 전류가 0.5A이면, A와 C점의 전류는 각각 얼마인가 ?
① 0.1A, 0.4A② 0.4A, 0.1A
③ 0.2A, 0.3A④ 0.3A, 0.2A
⑤ 0.5A, 0.5A
(2) 그림 (나)의 A점을 흐르는 전류가 250mA, B점을 흐르는 전류가 100mA라고 하면, C점과 D점에 흐르는 전류는 각각 몇 mA인가 ?
① 150mA, 250mA
② 100mA, 100mA
③ 150mA, 150mA
④ 250mA, 150mA
⑤ 250mA, 250mA
모의중간고사
1. ③
남고 북저의 전형적인 여름 기압 배치로 남동쪽이 고기압
2. ③
북태평양 기단(고온 다습)
3. ⑤
4. ③
우리 나라가 위치한 곳은 위도 30o~ 위도 60oN의 편서풍대이다.
5. ②
찬공기의 이동하려는 힘이 더운공기보다 더 강하고, 전선의 기울기가 급한
것은 한랭 전선이다.
6. ①
층운형의 구름이 생기고 강수 구역이 넓은 전선은 온난 전선이다.
7. ②
●는 비, ∇는 소나기, 는 눈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8. ③
그림의 저기압은 우리 나라가 편서풍대에 있으므로 동쪽으로 이동하여 강릉
지방은 한랭 전선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현재 강릉 지방엔 남동풍이 불며
시간이 지나면 북서풍으로 바뀐다.
9. ③
우리 나라는 편서풍대에 있기 때문에 우리 나라 주변에 발생한 저기압은
서에서 동으로 이동해 간다.
10. ②
셋째날은 한랭 전선 후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베리아에서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씨가 된다.
11. ②
온난 전선 앞부분은 층운형의 구름이, 한랭 전선 후면에는 적운형의 구름이
생긴다.
12. ④
마찰에 의해 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대전이 된다.
13. ⑤
전자들의 움직이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아니다.
14. ④
15. 1500C
전구 C에 흐르는 전류는 5A이므로 전하량=전류×시간=5A×300s
16. ④
플라스틱 막대는 (-)전기를 띤다. 두 금속구에 플라스틱 막대를 접촉하면
(-)전하들이 플라스틱 막대와 두 금속구에 골고루 퍼지게 되고, 두 금속구는
(-) 전기를 띠게 되어 서로 밀게 된다.
17. ④
전하량(면적)=전류의 세기(세로)×시간(가로)이므로 전하량은
×4×5+(10-4)×5 = 10C+30C = 40C이다.
18. ②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A1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A2와 A3를 통과한
후의 전류의 합과 같다. 즉 전류의 비 I1 : I2 : I3는 2 : 1 : 1 이 된다.
19. 더 커진다.
전체 저항이 에서 로 작아지므로 전체 전류는 처음보다 더 커진다.
20. ②
전하량=전류의 세기×시간이므로 A점의 전류의 세기===3A
인데,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B점을 통과하는 전류는 A점의 절반이다.
21. B, E
같은 전기를 띤 대전체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고, 다른 전기를 띤 대전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22. ④
(-)전기로 대전된 대전체를 금속 막대의 A쪽에 가까이 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A쪽에 있는 전자는 B쪽으로 이동한다.
23. ②
24. ⑤
회로에 흐르는 전하는 없어지거나 새로 생기지 않는다. 이것을 전하량
보존의 법칙이라 한다.
25. ③
26. ⑤
스위치를 닫으면 무질서 상태의 전자가 일제히 (-)극에서 (+)극으로 이동한다.
27. ③
1A는 전자 6.25×1018개가 도선의 단면을 통과할 때 전류의 세기이다.
따라서 10초 동안 500mA의 전류가 흘렀을 때 이동한 전자의 개수는
6.25×1018××10≒3.1×1019개이다.
28. ⑤
전구 하나를 제거하면 에서 전구에 걸리는 전압이 두 배 증가하므로 밝기는 네 배가 된다. 전류가 나뉘어지는 것은 아니다.
29. ②
전하량 보존 법칙에 따라 A, B, C에 흐르는 전하량은 A=B=C이다.
30. ②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해 금속판에 있던 (-)전하가 금속박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판은 (+)전하의 개수가 (-)전하의 개수보다 많고 금속박은
(-)전하의 개수가 (+)전하의 개수보다 많다.
31. ④
32. ③
33. ③
전하들이 (+)대전체로 들어가거나, (-)대전체의 전자들이 공기 중으로 나와
전기적인 성질이 없어지는것을 방전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손을 통해 들어온 전자들이 금속박의 (+)전하와 결합하여 중화된다.
34. ③
서로 다른 물체를 마찰시키면 전자들이 이동하여 마찰 전기를 띠게 된다.
35. ①
대전체 B를 가까이했더니 금속박이 더 벌어졌으므로, B는 (-)로 대전된 것이다.
36. ①
정전기 유도에 의해서 B는 (+)전하로, A는 (-)로 대전된다. 이 상태에서
유리 막대만 치우면 금속구 A, B는 다시 중성으로 돌아가지만, 유리 막대와
금속구 B를 동시에 멀리하면, 금속구 A는 (-)전하를 띠게 된다.
37. ①
유도된 전하량이 대전체의 전하량과 비례하지만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38. ④
도선을 따라 1초 동안 이동한 전하의 양에 따라 전류가 달라진다.
39.
(1) ⑤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A, B, C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모두 같다.
(2) ①
3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전하로 대전된 물체를 도체에 가까이 가져갔을 때 도체에 유도되는 전하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유도된 (-)전하량과 대전체의 전하량의 크기는 항상 같다.
② 대전체가 도체에 가까울수록 더 많은 전하가 유도된다.
③ 대전체와 먼 도체의 부분은 (+)전하로 대전된다.
④ 대전체와 가까운 도체의 부분에 (-)전하가 유도된다.
⑤ 유도된 (-)전하량과 유도된 (+)전하량은 크기가 같다.
38. 전류의 세기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원자의 핵이 1초 동안에 도선을 따라 이동하는 양
② 도선을 따라 1초 동안에 이동한 원자의 양
③ 파이프를 따라 1초 동안에 흐른 물의 양
④ 도선을 따라 1초 동안에 이동한 전하의 양
⑤ 도선을 따라 1초 동안에 이동한 이온의 양
39. 다음 그림 (가), (나)는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1) 그림 (가)의 B점에 흐르는 전류가 0.5A이면, A와 C점의 전류는 각각 얼마인가 ?
① 0.1A, 0.4A② 0.4A, 0.1A
③ 0.2A, 0.3A④ 0.3A, 0.2A
⑤ 0.5A, 0.5A
(2) 그림 (나)의 A점을 흐르는 전류가 250mA, B점을 흐르는 전류가 100mA라고 하면, C점과 D점에 흐르는 전류는 각각 몇 mA인가 ?
① 150mA, 250mA
② 100mA, 100mA
③ 150mA, 150mA
④ 250mA, 150mA
⑤ 250mA, 250mA
모의중간고사
1. ③
남고 북저의 전형적인 여름 기압 배치로 남동쪽이 고기압
2. ③
북태평양 기단(고온 다습)
3. ⑤
4. ③
우리 나라가 위치한 곳은 위도 30o~ 위도 60oN의 편서풍대이다.
5. ②
찬공기의 이동하려는 힘이 더운공기보다 더 강하고, 전선의 기울기가 급한
것은 한랭 전선이다.
6. ①
층운형의 구름이 생기고 강수 구역이 넓은 전선은 온난 전선이다.
7. ②
●는 비, ∇는 소나기, 는 눈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8. ③
그림의 저기압은 우리 나라가 편서풍대에 있으므로 동쪽으로 이동하여 강릉
지방은 한랭 전선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현재 강릉 지방엔 남동풍이 불며
시간이 지나면 북서풍으로 바뀐다.
9. ③
우리 나라는 편서풍대에 있기 때문에 우리 나라 주변에 발생한 저기압은
서에서 동으로 이동해 간다.
10. ②
셋째날은 한랭 전선 후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시베리아에서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씨가 된다.
11. ②
온난 전선 앞부분은 층운형의 구름이, 한랭 전선 후면에는 적운형의 구름이
생긴다.
12. ④
마찰에 의해 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에 대전이 된다.
13. ⑤
전자들의 움직이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는 상태가 아니다.
14. ④
15. 1500C
전구 C에 흐르는 전류는 5A이므로 전하량=전류×시간=5A×300s
16. ④
플라스틱 막대는 (-)전기를 띤다. 두 금속구에 플라스틱 막대를 접촉하면
(-)전하들이 플라스틱 막대와 두 금속구에 골고루 퍼지게 되고, 두 금속구는
(-) 전기를 띠게 되어 서로 밀게 된다.
17. ④
전하량(면적)=전류의 세기(세로)×시간(가로)이므로 전하량은
×4×5+(10-4)×5 = 10C+30C = 40C이다.
18. ②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A1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A2와 A3를 통과한
후의 전류의 합과 같다. 즉 전류의 비 I1 : I2 : I3는 2 : 1 : 1 이 된다.
19. 더 커진다.
전체 저항이 에서 로 작아지므로 전체 전류는 처음보다 더 커진다.
20. ②
전하량=전류의 세기×시간이므로 A점의 전류의 세기===3A
인데,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B점을 통과하는 전류는 A점의 절반이다.
21. B, E
같은 전기를 띤 대전체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고, 다른 전기를 띤 대전체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22. ④
(-)전기로 대전된 대전체를 금속 막대의 A쪽에 가까이 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A쪽에 있는 전자는 B쪽으로 이동한다.
23. ②
24. ⑤
회로에 흐르는 전하는 없어지거나 새로 생기지 않는다. 이것을 전하량
보존의 법칙이라 한다.
25. ③
26. ⑤
스위치를 닫으면 무질서 상태의 전자가 일제히 (-)극에서 (+)극으로 이동한다.
27. ③
1A는 전자 6.25×1018개가 도선의 단면을 통과할 때 전류의 세기이다.
따라서 10초 동안 500mA의 전류가 흘렀을 때 이동한 전자의 개수는
6.25×1018××10≒3.1×1019개이다.
28. ⑤
전구 하나를 제거하면 에서 전구에 걸리는 전압이 두 배 증가하므로 밝기는 네 배가 된다. 전류가 나뉘어지는 것은 아니다.
29. ②
전하량 보존 법칙에 따라 A, B, C에 흐르는 전하량은 A=B=C이다.
30. ②
정전기 유도 현상에 의해 금속판에 있던 (-)전하가 금속박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판은 (+)전하의 개수가 (-)전하의 개수보다 많고 금속박은
(-)전하의 개수가 (+)전하의 개수보다 많다.
31. ④
32. ③
33. ③
전하들이 (+)대전체로 들어가거나, (-)대전체의 전자들이 공기 중으로 나와
전기적인 성질이 없어지는것을 방전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손을 통해 들어온 전자들이 금속박의 (+)전하와 결합하여 중화된다.
34. ③
서로 다른 물체를 마찰시키면 전자들이 이동하여 마찰 전기를 띠게 된다.
35. ①
대전체 B를 가까이했더니 금속박이 더 벌어졌으므로, B는 (-)로 대전된 것이다.
36. ①
정전기 유도에 의해서 B는 (+)전하로, A는 (-)로 대전된다. 이 상태에서
유리 막대만 치우면 금속구 A, B는 다시 중성으로 돌아가지만, 유리 막대와
금속구 B를 동시에 멀리하면, 금속구 A는 (-)전하를 띠게 된다.
37. ①
유도된 전하량이 대전체의 전하량과 비례하지만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38. ④
도선을 따라 1초 동안 이동한 전하의 양에 따라 전류가 달라진다.
39.
(1) ⑤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A, B, C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모두 같다.
(2)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