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관식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표시하여 이루어진 글자는 ?
① 上② 下 (영파여, 양정)
③ 中④ 文
⑤ 本
30. 다음의 한자들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영동, 신창)
上, 中, 下, 二, 三, 本, 末
① 수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② 방향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③ 점이나 선으로 뜻을 나타낸 글자이다.
④ 두 한자의 음과 뜻을 합해서 만들어진 글자이다.
⑤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31. 다음 중 만들어진 방법이 다른 하나는 ? (언남, 신정여)
① 中② 耳
③ 下④ 三
⑤ 本
32. 한자어의 뜻 풀이가 바른 것은 ? (잠실, 숭의여)
① 根本 : 나무의 뿌리② 天上 : 위와 아래
③ 世上 : 하늘 위④ 上品 : 사고 파는 물품
⑤ 上下 : 윗사람
33.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 (잠신, 성산)
① 子女 : 자여② 上下 : 하상
③ 本文 : 본부④ 世上 : 천상
⑤ 本末 : 본말
34. 다음 중,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 (일신여, 성사)
① 多少② 是非
③ 高低④ 草木
⑤ 上下
35. 다음 한자어의 음이 틀리는 것은 ? (이수, 성덕여)
① 大小 : 대소② 多少 : 다소
③ 是非 : 이비④ 水石 : 수석
⑤ 千萬 : 천만
36. 다음 한자의 총획수는 ? (문광여, 한양)
高
① 8 획② 9 획
③ 10 획④ 11 획
⑤ 12 획
37. 다음 ( )에 들어갈 한자는 ? (원촌, 홍대사대부속)
( )―中―下
① 火② 六
③ 中④ 上
⑤ 下
38. ‘非’의 부수는 ? (오주, 중대사대부속)
① 一② 二
③ 三④
⑤ 非
39. 다음 중 ‘下’의 상대자는 ? (오륜, 중앙여)
① 根② 天
③ 末④ 上
⑤ 文
40. 만들어진 방법이 같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오금, 중원)
① 木―下② 雨―上
③ 水―本④ 耳―心
⑤ 身―三
41. ‘天地’와 같은 짜임이 되도록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풍납, 중평)
本 □
① 木② 根
③ 文④ 末
⑤ 下
42. ‘中’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풍납여, 천호)
① 꿰뚫는 획은 맨 나중에 쓴다.
② 점이나 선으로 뜻을 나타낸 글자이다.
③ 총획수는 4획이다.
④ 뜻은 ‘가운데’이다.
⑤ 사물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43. 독음이 틀린 것은 ? (진선여, 청운)
① 雨水 : 우수② 木石 : 목석
③ 天上 : 천상④ 上品 : 상구
⑤ 手足 : 수족
핵심기출문제 ………
1. ①
서로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가 모여서 된 한자어를 ‘유사 관계’라 한다.
2. ④
총획수가 많은 것도 제부수자가 있음.
3. ②
자전은 부수를 이용하여 찾는 것이므로 부수의 획수를 세어 가장 적은 것을 고른다.
4. ⑤ 5. ③
6. ④
정확하게 쓰인 것을 찾아 보기
① ‘自’와 ‘白’② ‘幸’과 ‘辛’
③ ‘布’와 ‘市’⑤ ‘百’과 ‘白’
7. ⑤
지사자는 정도나 상태를 부호로 표시하여 만든 글자
8. ③
‘과녁의 중앙’에서 나온 글자
9. ①
① 많다, ② 높다, ③ 옳다, ④ 위, ⑤ 아래
10. ③
‘상대 관계’는 뜻이 서로 반대인 짜임
11. ④
점이나 선으로 추상적인 뜻을 나타낸 글자
12. ③
근본 본
13. ④
末 : 끝 말本 : 근본 본
中 : 가운데 중根 : 뿌리 근
14. ①
전체를 꿰뚫는 획은 맨 나중에 쓴다.
15. ⑤
高(고) : 높다, 低(저) : 낮다
16. ④
유사 관계의 한자어들이다.
17. ①
㉠과 ㉡은 모두 대립 관계이다.
㉠―‘시작과 끝’, ㉡―‘강함과 약함’
18. ①
주어진 한자어는 대립 관계이다.
19. ③
臣과 巨
20. ①
小 : 작다(크기)
少 : 적다(분량)
21. ③
幸 : 다행 행
行 : 다닐 행, 움직일 행
22. ③
길다―長短
크다―長身
長 어른―校長
자라다―成長
23. ⑤
內 : 入부 2획
24. ①
小―작다
少―적다
25. ③
① 달, ② 뿌리근본, ③ 끝, ④ 소리, ⑤ 일천
26. ③
지사자 찾기
27. ①
28. ④
29. ①
위상
30. ③
지사자
31. ②
①, ③, ④, ⑤는 지사자, ②는 상형자
32. ①
① 근본, ② 천상(하늘 위), ③ 세상, ④ 상품(높은 품격), ⑤ 상하(위 아래)
33. ⑤
女 : 여자 녀
文 : 글월 문
34. ④
상대 관계의 짜임
35. ③
① 크고 작음, ② 많고 적음, ③ 옳고 그름, ④ 물과 돌, ⑤ 아주 많은 수효
36. ③
총획수는 부수를 포함한 획수
37. ④
기준점 위에 점을 찍어 ‘위’를 나타낸 글자
38. ⑤
제부수 글자
39. ④
根 : 뿌리 근
末 : 끝 말
40. ④
상형자와 지사자의 구별
41. ④
天↔地
本↔□
42. ⑤
‘中’은 지사자
43. ④
品 : 품질 품
1. 밑줄 친 한자어의 뜻을 쓰시오. (휘문, 충암)
山下에 여름이요, 山上에 봄이로다.
사월에 꽃이 피고 접동새 낮에 우니,
더욱 더 사는 곳이 깊은 줄을 알겠노라.
―지덕붕―
2.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한영, 한천)
모든 일에 本末이 전도되어서는 안 된다.
3.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한산, 환일)
네가 옳은지 내가 옳은지 시비를 가려 보자.
4. ‘몸집이 큰 사람’ 또는 ‘위대한 사람’을 두 글자의 한자로 쓰시오. (청담)
5. 다음 밑줄 친 말을 한자(漢字)로 쓰시오. (중동, 천일)
이번 시험은 다소 어려웠다.
6. 다음에서 ‘점이나 선으로 뜻을 나타낸 글자’를 모두 찾아 쓰시오.
(정신여, 하계)
川, 上, 耳, 中, 木, 本
7.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풍납, 하안)
주머니가 작으면 큰 것을 담을 수 없고,
① ②
두레박 줄이 짧으면 깊은 물을 담을 수 없다.
③
8.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풍납여, 한강)
낙락장송이라도, 그 根本은 종자였었다.
9. 다음 한자어의 음을 쓰시오. (진선여, 예일여)
높낮이를 한자로 쓰면 高低이다.
10.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한자를 쓰시오. (휘문, 오산)
(1) <그림> ( )
(2) <그림> ( )
11. ‘幸’의 부수는 ? (한영, 옥정)
주관식 기출문제
1. 산 아래, 산 위
2. 본말
3. 是非
4. 巨人
5. 多少
6. 上, 中, 本
7. ① 小 ② 大 ③ 水
8. 근본
9. 고저
10. (1) 本 (2) 中
11. 干
① 上② 下 (영파여, 양정)
③ 中④ 文
⑤ 本
30. 다음의 한자들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영동, 신창)
上, 中, 下, 二, 三, 本, 末
① 수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② 방향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③ 점이나 선으로 뜻을 나타낸 글자이다.
④ 두 한자의 음과 뜻을 합해서 만들어진 글자이다.
⑤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
31. 다음 중 만들어진 방법이 다른 하나는 ? (언남, 신정여)
① 中② 耳
③ 下④ 三
⑤ 本
32. 한자어의 뜻 풀이가 바른 것은 ? (잠실, 숭의여)
① 根本 : 나무의 뿌리② 天上 : 위와 아래
③ 世上 : 하늘 위④ 上品 : 사고 파는 물품
⑤ 上下 : 윗사람
33. 한자어의 독음이 바른 것은 ? (잠신, 성산)
① 子女 : 자여② 上下 : 하상
③ 本文 : 본부④ 世上 : 천상
⑤ 本末 : 본말
34. 다음 중, 한자어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 (일신여, 성사)
① 多少② 是非
③ 高低④ 草木
⑤ 上下
35. 다음 한자어의 음이 틀리는 것은 ? (이수, 성덕여)
① 大小 : 대소② 多少 : 다소
③ 是非 : 이비④ 水石 : 수석
⑤ 千萬 : 천만
36. 다음 한자의 총획수는 ? (문광여, 한양)
高
① 8 획② 9 획
③ 10 획④ 11 획
⑤ 12 획
37. 다음 ( )에 들어갈 한자는 ? (원촌, 홍대사대부속)
( )―中―下
① 火② 六
③ 中④ 上
⑤ 下
38. ‘非’의 부수는 ? (오주, 중대사대부속)
① 一② 二
③ 三④
⑤ 非
39. 다음 중 ‘下’의 상대자는 ? (오륜, 중앙여)
① 根② 天
③ 末④ 上
⑤ 文
40. 만들어진 방법이 같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오금, 중원)
① 木―下② 雨―上
③ 水―本④ 耳―心
⑤ 身―三
41. ‘天地’와 같은 짜임이 되도록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풍납, 중평)
本 □
① 木② 根
③ 文④ 末
⑤ 下
42. ‘中’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풍납여, 천호)
① 꿰뚫는 획은 맨 나중에 쓴다.
② 점이나 선으로 뜻을 나타낸 글자이다.
③ 총획수는 4획이다.
④ 뜻은 ‘가운데’이다.
⑤ 사물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43. 독음이 틀린 것은 ? (진선여, 청운)
① 雨水 : 우수② 木石 : 목석
③ 天上 : 천상④ 上品 : 상구
⑤ 手足 : 수족
핵심기출문제 ………
1. ①
서로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가 모여서 된 한자어를 ‘유사 관계’라 한다.
2. ④
총획수가 많은 것도 제부수자가 있음.
3. ②
자전은 부수를 이용하여 찾는 것이므로 부수의 획수를 세어 가장 적은 것을 고른다.
4. ⑤ 5. ③
6. ④
정확하게 쓰인 것을 찾아 보기
① ‘自’와 ‘白’② ‘幸’과 ‘辛’
③ ‘布’와 ‘市’⑤ ‘百’과 ‘白’
7. ⑤
지사자는 정도나 상태를 부호로 표시하여 만든 글자
8. ③
‘과녁의 중앙’에서 나온 글자
9. ①
① 많다, ② 높다, ③ 옳다, ④ 위, ⑤ 아래
10. ③
‘상대 관계’는 뜻이 서로 반대인 짜임
11. ④
점이나 선으로 추상적인 뜻을 나타낸 글자
12. ③
근본 본
13. ④
末 : 끝 말本 : 근본 본
中 : 가운데 중根 : 뿌리 근
14. ①
전체를 꿰뚫는 획은 맨 나중에 쓴다.
15. ⑤
高(고) : 높다, 低(저) : 낮다
16. ④
유사 관계의 한자어들이다.
17. ①
㉠과 ㉡은 모두 대립 관계이다.
㉠―‘시작과 끝’, ㉡―‘강함과 약함’
18. ①
주어진 한자어는 대립 관계이다.
19. ③
臣과 巨
20. ①
小 : 작다(크기)
少 : 적다(분량)
21. ③
幸 : 다행 행
行 : 다닐 행, 움직일 행
22. ③
길다―長短
크다―長身
長 어른―校長
자라다―成長
23. ⑤
內 : 入부 2획
24. ①
小―작다
少―적다
25. ③
① 달, ② 뿌리근본, ③ 끝, ④ 소리, ⑤ 일천
26. ③
지사자 찾기
27. ①
28. ④
29. ①
위상
30. ③
지사자
31. ②
①, ③, ④, ⑤는 지사자, ②는 상형자
32. ①
① 근본, ② 천상(하늘 위), ③ 세상, ④ 상품(높은 품격), ⑤ 상하(위 아래)
33. ⑤
女 : 여자 녀
文 : 글월 문
34. ④
상대 관계의 짜임
35. ③
① 크고 작음, ② 많고 적음, ③ 옳고 그름, ④ 물과 돌, ⑤ 아주 많은 수효
36. ③
총획수는 부수를 포함한 획수
37. ④
기준점 위에 점을 찍어 ‘위’를 나타낸 글자
38. ⑤
제부수 글자
39. ④
根 : 뿌리 근
末 : 끝 말
40. ④
상형자와 지사자의 구별
41. ④
天↔地
本↔□
42. ⑤
‘中’은 지사자
43. ④
品 : 품질 품
1. 밑줄 친 한자어의 뜻을 쓰시오. (휘문, 충암)
山下에 여름이요, 山上에 봄이로다.
사월에 꽃이 피고 접동새 낮에 우니,
더욱 더 사는 곳이 깊은 줄을 알겠노라.
―지덕붕―
2.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한영, 한천)
모든 일에 本末이 전도되어서는 안 된다.
3.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쓰시오. (한산, 환일)
네가 옳은지 내가 옳은지 시비를 가려 보자.
4. ‘몸집이 큰 사람’ 또는 ‘위대한 사람’을 두 글자의 한자로 쓰시오. (청담)
5. 다음 밑줄 친 말을 한자(漢字)로 쓰시오. (중동, 천일)
이번 시험은 다소 어려웠다.
6. 다음에서 ‘점이나 선으로 뜻을 나타낸 글자’를 모두 찾아 쓰시오.
(정신여, 하계)
川, 上, 耳, 中, 木, 本
7.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시오. (풍납, 하안)
주머니가 작으면 큰 것을 담을 수 없고,
① ②
두레박 줄이 짧으면 깊은 물을 담을 수 없다.
③
8.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풍납여, 한강)
낙락장송이라도, 그 根本은 종자였었다.
9. 다음 한자어의 음을 쓰시오. (진선여, 예일여)
높낮이를 한자로 쓰면 高低이다.
10.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한자를 쓰시오. (휘문, 오산)
(1) <그림> ( )
(2) <그림> ( )
11. ‘幸’의 부수는 ? (한영, 옥정)
주관식 기출문제
1. 산 아래, 산 위
2. 본말
3. 是非
4. 巨人
5. 多少
6. 上, 中, 本
7. ① 小 ② 大 ③ 水
8. 근본
9. 고저
10. (1) 本 (2) 中
11. 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