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자어의 짜임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干城 : 나라를 지키는 군인
⑤ 雲集 : 구름처럼 많이 모임.
55. 다음은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이다. 이 중에서 ‘40세’를 나타내는 것은 ?
① 志學② 不惑 (고덕, 동원)
③ 而立④ 耳順
⑤ 知命
56. 다음 중 ‘溫故知新’의 밑줄 친 ‘溫’과 바꾸어 쓸 수 있는 한자는 ?
① 習② 學 (중동, 경희여)
③ 敎④ 明
⑤ 施
57. 다음 중 한자어의 쓰임이 옳지 않은 것은 ? (동덕여, 고대사대부속)
① 가뭄으로 농작물의 生産이 減少된다.
② 定誠을 다하여 부모님을 봉양해야 한다.
③ 新聞 記事는 육하 원칙에 따라 작성된다.
④ 어느 나라든 그 民族 固有의 문화가 있다.
⑤ 言論은 사실성과 공정성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58. 다음 중 부수가 다른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언주, 목일)
① 和, 單 ② 衣, 交
③ 協, 南④ 性, 感
⑤ 議, 話
59. ‘南北對話’의 짜임은 ? (역삼, 방학)
① 주술 관계② 술목 관계
③ 대립 관계④ 술보 관계
⑤ 유사 관계
60. 다음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는 속담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과 관계 있는 한자 성어는 ? (진선여, 남서울)
① 有口無言② 有備無患
③ 唯一無二④ 有明無實
⑤ 有害無益
61. 다음 중 접미사 ‘-性’을 연결했을 때 자연스럽지 않은 한자어는 ?
① 自主② 完成 (보은, 상일여)
③ 主體④ 進取
⑤ 誠實
62. 다음 중 ‘受信’의 상대되는 뜻을 가진 한자어는 ? (한산, 봉영여)
① 通信② 發信
③ 答信④ 書信
⑤ 回信
63. 다음의 한자어들의 공통적인 짜임 관계는 ? (반포, 경원)
漁村 近海 共存 遠洋
① 대등 관계② 대립 관계
③ 수식 관계④ 유사 관계
⑤ 술목 관계
핵심기출문제 ………
1. ②
2. ④
부수
心- 犬-
人- 手-
水- 刀-
火- 艸-
竹-竺 足-蹊 화이트
3. ①
형성자
木 + 寸
(뜻) (음)
4. ③
5. ⑤
① (부)다시, (복)회복하다② (도)정도, (탁)재다
③ (삼)셋, (참)끼이다④ (식)알다, (지)기록하다
6. ②
解(풀 해) 對(대할 대)
增(더할 증) 交(사귈 교)
7. ④
8. ②
北 북녁 북
달아날 배
敗北(패배)
9. ⑤
한자의 음 알기
着(착)
10. ⑤
市 : 巾부 2획
11. ⑤
‘落’은 ‘떨어지다’ 또는 ‘마을’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12. ②
수식 관계는 ‘~의’ 또는 ‘~하는’, ‘~는’이나 ‘~하게 ~하다’로 해석한다.
13. ①
뜻이 달라질 때, 음이 다르게 소리나는 글자를 찾아 보자.
14. ②
15. ④
① 草(형성) ② 炎(회의)
③ 本(지사) ⑤ 信(회의)
16. ④
17. ①
① 益(익) 더하다
18. ②
한자 ‘不’은 ‘ㄷ, ㅈ’앞에서 ‘부’로 발음된다.
① 불충 ② 부지 ③ 불화
④ 불신 ⑤ 불통
19. ⑤
花開(화개) : 꽃이 피다.(주술 관계)
20. ①
법을 만드는 것은 입법이고, 이를 펴는 것은 행정이다.
21. ④
類類相從(유유상종) : 같은 무리끼리 서로 따르고 왕래하여 사귐.
22. ④
市場開放(시장개방) : 시장을 개방하다.
23. ③
① 대립② 대립③ 수식
④ 술목⑤ 수식
24. ①
25. ④
① 受 - (수)받다② 易 - (이)쉽다
③ 得 - (득)얻다④ 秩 - (질)차례
⑤ 師 - (사)스승
26. ③
27. ②
‘不’ 아니(불) →뒤에 오는 소리가 ‘ㄷ, ㅈ’일 경우는 ‘부’로 읽는다.
28. ⑤
29. ⑤
⑤ 所得 : 얻은 바
30. ④
▶유사 관계
單 = 一
31. ①
▶술목 관계는 우리말과 어순이 다르다.
協 力 : 합하다 힘을
→힘을 합하다.
32. ②
▶한자어의 짜임
南↔北(남과 북)
33. ③
▶술목 관계 → 목술 관계
34. ②
向 : 향하다 향
敬 : 공경하다 경
35. ③
‘故’에는 ‘옛날, 일부러, 일’의 뜻이 있다.
36. ②
수도 : 도시 중에 가장 크고 중심이 되는 곳.
37. ④
‘落’은 여기에서는 ‘마을’의 뜻으로 쓰였고 ‘鄕’은 ‘시골’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38. ①
‘面’에는 ‘얼굴, 쪽, 겉면, 행정 구역’의 뜻이 있다.
39. ⑤ 40. ⑤41. ④42. ③43. ⑤
44. ③45. ④46. ②47. ②
48. ①
1인칭 대명사
己, 我, 吾, 余
49. ⑤
술목 관계를 찾는다.
① 공존 공영② 국리 민복③ 공중 도덕
④ 고도 성장⑤ 소득 증대
50. ④
한자의 음 알기
和(화)
51. ③
한자의 뜻 알기
感 : 느끼다
52. ①
한자의 부수 알기
解 - 角
53. ⑤
54. ①
거래(去來) : 물건을 사고 팔다
55. ②
志學(지학) : 15세, 弱冠(약관) : 20세, 而立 : 30세, 不惑(불혹) : 40세, 知命(지명) : 50세, 耳順(이순) : 60세, 從心(종심) : 70세
56. ①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 것을 익히고 새 것을 안다.
57. ②
58. ②
한자의 부수 알기
衣 : 衣(제부수)
交 :
59. ①
한자 성어의 짜임 알기
南北∥對話(남과 북이 대화함)
60. ②61. ② 62. ②63. ③
1.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영등포, 상경)
집을 떠나 客□에 나오니 가족이 그립다.
□方과 도시가 균형 있게 발전해야 한다.
2. 다음의 뜻에 알맞은 한자 성어를 쓰시오. (한산, 과천문원)
몸과 땅이 둘이 아니다.
3. ‘部族’에서의 ‘部’의 뜻과 ‘部品’에서의 ‘部’의 뜻을 각각 쓰시오. (동명, 백석)
4.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어를 쓰시오. (장충, 노원)
單一□□, 白衣□□
5. 다음 한자어의 짜임을 비교하여 쓰시오. (하계, 숙명여)
(1) 同質 … ( )
(2) 協力 … ( )
6. 다음 왼쪽의 ①~⑤와 관계 있는 한자 성어를 오른쪽의 ㄱ~ㅁ에서 찾아 바르게 연결하시오. (청운, 방이)
① 이기심
② 친밀함
③ 위기 상황
④ 가재는 게 편
⑤ 우물 안 개구리
ㄱ. 水魚之交
ㄴ. 草綠同色
ㄷ. 坐井觀天
ㄹ. 風前燈火
ㅁ. 我田引水
7. 다음 한자어들의 공통적인 짜임을 쓰시오. (명성여, 숙명여)
平和, 單一, 定着
주관식 기출문제
1. 地
2. 身土不二
3. 떼, 나누다
4. 民族
5. (1) 수식 (2) 술목
6. ① ㅁ ② ㄱ ③ ㄹ ④ ㄴ ⑤ ㄷ
7. 유사 관계
⑤ 雲集 : 구름처럼 많이 모임.
55. 다음은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이다. 이 중에서 ‘40세’를 나타내는 것은 ?
① 志學② 不惑 (고덕, 동원)
③ 而立④ 耳順
⑤ 知命
56. 다음 중 ‘溫故知新’의 밑줄 친 ‘溫’과 바꾸어 쓸 수 있는 한자는 ?
① 習② 學 (중동, 경희여)
③ 敎④ 明
⑤ 施
57. 다음 중 한자어의 쓰임이 옳지 않은 것은 ? (동덕여, 고대사대부속)
① 가뭄으로 농작물의 生産이 減少된다.
② 定誠을 다하여 부모님을 봉양해야 한다.
③ 新聞 記事는 육하 원칙에 따라 작성된다.
④ 어느 나라든 그 民族 固有의 문화가 있다.
⑤ 言論은 사실성과 공정성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58. 다음 중 부수가 다른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은 ? (언주, 목일)
① 和, 單 ② 衣, 交
③ 協, 南④ 性, 感
⑤ 議, 話
59. ‘南北對話’의 짜임은 ? (역삼, 방학)
① 주술 관계② 술목 관계
③ 대립 관계④ 술보 관계
⑤ 유사 관계
60. 다음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는 속담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과 관계 있는 한자 성어는 ? (진선여, 남서울)
① 有口無言② 有備無患
③ 唯一無二④ 有明無實
⑤ 有害無益
61. 다음 중 접미사 ‘-性’을 연결했을 때 자연스럽지 않은 한자어는 ?
① 自主② 完成 (보은, 상일여)
③ 主體④ 進取
⑤ 誠實
62. 다음 중 ‘受信’의 상대되는 뜻을 가진 한자어는 ? (한산, 봉영여)
① 通信② 發信
③ 答信④ 書信
⑤ 回信
63. 다음의 한자어들의 공통적인 짜임 관계는 ? (반포, 경원)
漁村 近海 共存 遠洋
① 대등 관계② 대립 관계
③ 수식 관계④ 유사 관계
⑤ 술목 관계
핵심기출문제 ………
1. ②
2. ④
부수
心- 犬-
人- 手-
水- 刀-
火- 艸-
竹-竺 足-蹊 화이트
3. ①
형성자
木 + 寸
(뜻) (음)
4. ③
5. ⑤
① (부)다시, (복)회복하다② (도)정도, (탁)재다
③ (삼)셋, (참)끼이다④ (식)알다, (지)기록하다
6. ②
解(풀 해) 對(대할 대)
增(더할 증) 交(사귈 교)
7. ④
8. ②
北 북녁 북
달아날 배
敗北(패배)
9. ⑤
한자의 음 알기
着(착)
10. ⑤
市 : 巾부 2획
11. ⑤
‘落’은 ‘떨어지다’ 또는 ‘마을’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12. ②
수식 관계는 ‘~의’ 또는 ‘~하는’, ‘~는’이나 ‘~하게 ~하다’로 해석한다.
13. ①
뜻이 달라질 때, 음이 다르게 소리나는 글자를 찾아 보자.
14. ②
15. ④
① 草(형성) ② 炎(회의)
③ 本(지사) ⑤ 信(회의)
16. ④
17. ①
① 益(익) 더하다
18. ②
한자 ‘不’은 ‘ㄷ, ㅈ’앞에서 ‘부’로 발음된다.
① 불충 ② 부지 ③ 불화
④ 불신 ⑤ 불통
19. ⑤
花開(화개) : 꽃이 피다.(주술 관계)
20. ①
법을 만드는 것은 입법이고, 이를 펴는 것은 행정이다.
21. ④
類類相從(유유상종) : 같은 무리끼리 서로 따르고 왕래하여 사귐.
22. ④
市場開放(시장개방) : 시장을 개방하다.
23. ③
① 대립② 대립③ 수식
④ 술목⑤ 수식
24. ①
25. ④
① 受 - (수)받다② 易 - (이)쉽다
③ 得 - (득)얻다④ 秩 - (질)차례
⑤ 師 - (사)스승
26. ③
27. ②
‘不’ 아니(불) →뒤에 오는 소리가 ‘ㄷ, ㅈ’일 경우는 ‘부’로 읽는다.
28. ⑤
29. ⑤
⑤ 所得 : 얻은 바
30. ④
▶유사 관계
單 = 一
31. ①
▶술목 관계는 우리말과 어순이 다르다.
協 力 : 합하다 힘을
→힘을 합하다.
32. ②
▶한자어의 짜임
南↔北(남과 북)
33. ③
▶술목 관계 → 목술 관계
34. ②
向 : 향하다 향
敬 : 공경하다 경
35. ③
‘故’에는 ‘옛날, 일부러, 일’의 뜻이 있다.
36. ②
수도 : 도시 중에 가장 크고 중심이 되는 곳.
37. ④
‘落’은 여기에서는 ‘마을’의 뜻으로 쓰였고 ‘鄕’은 ‘시골’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38. ①
‘面’에는 ‘얼굴, 쪽, 겉면, 행정 구역’의 뜻이 있다.
39. ⑤ 40. ⑤41. ④42. ③43. ⑤
44. ③45. ④46. ②47. ②
48. ①
1인칭 대명사
己, 我, 吾, 余
49. ⑤
술목 관계를 찾는다.
① 공존 공영② 국리 민복③ 공중 도덕
④ 고도 성장⑤ 소득 증대
50. ④
한자의 음 알기
和(화)
51. ③
한자의 뜻 알기
感 : 느끼다
52. ①
한자의 부수 알기
解 - 角
53. ⑤
54. ①
거래(去來) : 물건을 사고 팔다
55. ②
志學(지학) : 15세, 弱冠(약관) : 20세, 而立 : 30세, 不惑(불혹) : 40세, 知命(지명) : 50세, 耳順(이순) : 60세, 從心(종심) : 70세
56. ①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 것을 익히고 새 것을 안다.
57. ②
58. ②
한자의 부수 알기
衣 : 衣(제부수)
交 :
59. ①
한자 성어의 짜임 알기
南北∥對話(남과 북이 대화함)
60. ②61. ② 62. ②63. ③
1. 다음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영등포, 상경)
집을 떠나 客□에 나오니 가족이 그립다.
□方과 도시가 균형 있게 발전해야 한다.
2. 다음의 뜻에 알맞은 한자 성어를 쓰시오. (한산, 과천문원)
몸과 땅이 둘이 아니다.
3. ‘部族’에서의 ‘部’의 뜻과 ‘部品’에서의 ‘部’의 뜻을 각각 쓰시오. (동명, 백석)
4.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어를 쓰시오. (장충, 노원)
單一□□, 白衣□□
5. 다음 한자어의 짜임을 비교하여 쓰시오. (하계, 숙명여)
(1) 同質 … ( )
(2) 協力 … ( )
6. 다음 왼쪽의 ①~⑤와 관계 있는 한자 성어를 오른쪽의 ㄱ~ㅁ에서 찾아 바르게 연결하시오. (청운, 방이)
① 이기심
② 친밀함
③ 위기 상황
④ 가재는 게 편
⑤ 우물 안 개구리
ㄱ. 水魚之交
ㄴ. 草綠同色
ㄷ. 坐井觀天
ㄹ. 風前燈火
ㅁ. 我田引水
7. 다음 한자어들의 공통적인 짜임을 쓰시오. (명성여, 숙명여)
平和, 單一, 定着
주관식 기출문제
1. 地
2. 身土不二
3. 떼, 나누다
4. 民族
5. (1) 수식 (2) 술목
6. ① ㅁ ② ㄱ ③ ㄹ ④ ㄴ ⑤ ㄷ
7. 유사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