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이오드의(Diode) 개요
다이오드의 종류
1)정전압 다이오드(제너 다이오드)
2)발광 다이오드(LED)
3)가변용량 다이오드(배리캡 또는 버랙터:varactor)
4) 브리지 다이오드
콘덴서의 종류와 특징
1)필름 콘덴서
2)폴리프로필렌 호일 콘덴서
3)메탈 폴리프로필렌 콘덴서
4)폴리스치롤 콘덴서
5)마일러 콘덴서
6)오일 콘덴서
7)전해 콘덴서
8)탄탈 콘덴서
9)마이카 콘덴서
10)세라믹 콘덴서
콘덴서 및 각종 부품의 음질개선 포인트
1)커플링 콘덴서
2)전해 콘덴서
3)저항
4)세라믹 콘덴서
5)진공관
6)케이블
콘덴서 연결방법과 용량
1)병렬 연결
2)직렬 연결
3)콘덴서 허용전압 계산법
4)콘덴서 용량 읽는법
멀티미터의 사용법
1) 테스터(Tester)의 사용법
2) 각부 명칭과 기능
2-1. 직류전압(DCV)측정(③부분)
2.2 직류전류(DCmA)측정(③부분)
2.3 저항(Ω)측정(③부분)
2.4 단자(③부분)
2.5 교류전압(ACV) 측정 (③부분)
2.6 스케일의 0점 미세조정(⑥부분)과 0옴 미세조정(⑤부분)
2.7 DC 10[A]측정(③부분)
2.8 트랜지스터의 양부 판정 및 극성측정(①,②부분)
2.9 다이오드 및 LED 측정(③부분)
2.10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 측정과 양부 판별법(③부분)
3. 전기적인 규격
(1) 직류전압
(2) 교류전압
(3) 직류전류
(4) 저항
(5) 기타
트랜지스터의 판별법
다이오드의 종류
1)정전압 다이오드(제너 다이오드)
2)발광 다이오드(LED)
3)가변용량 다이오드(배리캡 또는 버랙터:varactor)
4) 브리지 다이오드
콘덴서의 종류와 특징
1)필름 콘덴서
2)폴리프로필렌 호일 콘덴서
3)메탈 폴리프로필렌 콘덴서
4)폴리스치롤 콘덴서
5)마일러 콘덴서
6)오일 콘덴서
7)전해 콘덴서
8)탄탈 콘덴서
9)마이카 콘덴서
10)세라믹 콘덴서
콘덴서 및 각종 부품의 음질개선 포인트
1)커플링 콘덴서
2)전해 콘덴서
3)저항
4)세라믹 콘덴서
5)진공관
6)케이블
콘덴서 연결방법과 용량
1)병렬 연결
2)직렬 연결
3)콘덴서 허용전압 계산법
4)콘덴서 용량 읽는법
멀티미터의 사용법
1) 테스터(Tester)의 사용법
2) 각부 명칭과 기능
2-1. 직류전압(DCV)측정(③부분)
2.2 직류전류(DCmA)측정(③부분)
2.3 저항(Ω)측정(③부분)
2.4 단자(③부분)
2.5 교류전압(ACV) 측정 (③부분)
2.6 스케일의 0점 미세조정(⑥부분)과 0옴 미세조정(⑤부분)
2.7 DC 10[A]측정(③부분)
2.8 트랜지스터의 양부 판정 및 극성측정(①,②부분)
2.9 다이오드 및 LED 측정(③부분)
2.10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 측정과 양부 판별법(③부분)
3. 전기적인 규격
(1) 직류전압
(2) 교류전압
(3) 직류전류
(4) 저항
(5) 기타
트랜지스터의 판별법
본문내용
작하면 다음을 참고하여라.
- 적색등이 켜지면 양품의 PNP형 트랜지스터이고,
- 녹색등이 켜지면 양품의 NPN형 트랜지스터이다.
- 적색과 녹색등이 점멸되면 트랜지스터가 개방된 상태로 불량이고,
NPN형 트랜지스터
○ 2SC**** : 고주파/저주파 사용가능
○ 2SD**** : 저주파용
PNP형 트랜지스터
○ 2SA**** : 고주파/저주파 사용가능
○ 2SB**** : 저주파용
- 적색과 녹색등이 꺼진 상태이면 트랜지스터가 단락된 상태로 불량이다.
2.9 다이오드 및 LED 측정(③부분)
① COM에 연결된 흑색(-) 단자봉을 연결하고 VΩA에 적색(+) 단자봉을 연결하시오.
② 레인지 선택스위치를 ×1K(150uA) 또는 ×10(15mA) 저항레인지에 둔다.
③ 흑색 단자봉을 다이오드의 (+)에, 적색 단자봉을 다이오드의 (-)에 접속시키고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IF)를 눈금판에서 읽는다. 이때, 최대 지시치에 가까운 지시값이면 양품이다.
④ 이때, ③의 순방향 전류(IF) 판독시 눈금판에서 순방향 전압(VF(V))인 VF(V) 눈금을 동시에 판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르마늄 다이오드는 0.1~0.2[V]이고 실리콘 다이오드인 경우 0.5~0.8[V]를 지시하게 된다.
⑤ 단자봉을 서로 바꾸어 접속하고(즉, 적색 단자봉을 다이오드의 (+)에, 흑색 단자봉을 다이오드의 (-)에 접속시키고) 다이오드의 역방향 전류(IR)를 눈금판에서 읽는다. 이때, 지침이 왼쪽 0점에 가까운 지시값이면 양품이다.
2.10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 측정과 양부 판별법(③부분)
① 레인지 선택스위치를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중소형인 경우는 ×10 저항레인지에, 대형일 경우는 ×1에 둔다.
② 시험할 트랜지스터가 NPN형일 경우, COM에 연결된 흑색(-) 단자봉을 컬렉터에 연결하고, VΩA에 연결되어 있는 적색(+) 단자봉을 이미터에 연결하시오. 그러나 PNP형일 경우에는 서로 반대로 연결하시오.
③ 실리콘 트랜지스터인 경우 눈금판의 누설전류(ICEO) 눈금선에 지침이 오면 양품이라 할 수 있으며, 소형 게르마늄 트랜지스터인 경우 0.1~2[mA], 대형인 경우 1~5[mA]의 누설전류를 지시하게 된다.
3. 전기적인 규격
[그림 3]에서 보인 아날로그 멀티미터의 전기적인 규격은 다음과 같다.
(1) 직류전압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2, ×5, ×10, ×50, ×250, ×1000[V]
② 감도: 20,000[Ω]/[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3[%]
(2) 교류전압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10, ×50, ×250, ×1000[V]
② 감도: 8,000[Ω]/[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4[%]
④ 지시치: 전파정류 평균 감응치를 정현파 실효치로 교정된 지시치
⑤ 주파수 감응(정격 정밀도): 50[V]까지는 10[kHz], 250[V]까지는 20[kHz]
(3) 직류전류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2, ×5, ×25, ×250[mA] 및 ×10[A]
(단, ×10[A]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소켓으로 사용)
② 전압강하: 0.25[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3[%]
(4) 저항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1, ×10, ×10K, ×10K
×1: 0~2,000[Ω](20[Ω]이 중앙), ×10: 0~20,000[Ω](200[Ω]이 중앙)
×1K: 0~2[MΩ](20[kΩ]이 중앙), ×10K: 0~20[MΩ](200[kΩ]이 중앙)
② 단락전류 및 개방전압(정상전지인 경우)
×1: 150[mA], 3[V], ×10: 15[mA], 3[V], ×1K: 150[uA], 3[V], ×10K: 160[uA], 12[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43[%]
(4) 데시벨(0[dB]는 600[Ω], 1[mW] 기준)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AC ×10[V], ×50[V], ×250[V], ×1000[V]
AC ×10[V]: -10~22[dB], AC ×50[V]: 4~36[dB]
AC ×250[V]: 18~50[dB], AC ×1000[V]: 30~62[dB]
② 단락전류 및 개방전압(정상전지인 경우)
×1: 150[mA], 3[V], ×10: 15[mA], 3[V], ×1K: 150[uA], 3[V], ×10K: 160[uA], 12[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43[%]
(5) 기타
① 사용전지: 1.5[V] 2개, 9[V] 1개
② 과부하 보호회로: 다이오드 2개, 0.5[A]/250[V] 퓨즈 1개
③ 정격 정밀도 유지 온도: 23℃±5℃
④ 사용온도: 0℃~18℃, 28℃~50℃ 범위내에서 4% 온도 편차
⑤ 크기: 102×150×45[m/m], 370[g] 정도
트랜지스터의 판별법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 극성을 찾을수 있습니다. 멀티테스터기 렌지를 1R 에 두고 흑색 리드와 적색리드를 다음 순서로 측정하여 NPN 형과 PNP 형을 먼저 구분하세요
1. 트랜지스터 다리 3개를 임의로 1,2,3 으로 정하고 1번핀에 검정색을 고정하고 적색
리드를 나머지 2번과 3번에 접촉하였을때 테스터기의 지침이 중간정도 움직이는
핀이 있는가
1) 하나만 움직인다 = PNP형
2) 2개다 움직인다 = NPN형
2. 하나도 안움직인다 = 검정색 리드를 2 번핀에 고정시키후 위 1번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합니다
1) 하나만 움직인다 = PNP 형
2) 2개다 움직인다 = NPN형
주의: 아날로그 멀티 테스터기를 이용하여야하고 검정색리드는 ㅡ 단자에 연결되여있어야합니다 (실제는 + 전압을 출력)
3. NPN 형 극성찾기
R10K (10000R)에 두고 B 베이스를 제외한 2개의 핀에 테스터리드를 바꾸어 가며 접속하여
지침이많이 움직움직일때의 검정색 리드를 접속한 핀이 C 콜렉터이고 나머지핀이 E 에미터 입니다
4. PNP 형 극성は기
R10K(10000R)에 두고 B 베이스를 제외한 2개의 핀에 테스터리드를 바구어 가며 접속하여
지침이 많이 움직일때의 검정색리드를 접속한 핀이 E 에이터 이고 나머지핀이 C 콜렉터 입니다
- 적색등이 켜지면 양품의 PNP형 트랜지스터이고,
- 녹색등이 켜지면 양품의 NPN형 트랜지스터이다.
- 적색과 녹색등이 점멸되면 트랜지스터가 개방된 상태로 불량이고,
NPN형 트랜지스터
○ 2SC**** : 고주파/저주파 사용가능
○ 2SD**** : 저주파용
PNP형 트랜지스터
○ 2SA**** : 고주파/저주파 사용가능
○ 2SB**** : 저주파용
- 적색과 녹색등이 꺼진 상태이면 트랜지스터가 단락된 상태로 불량이다.
2.9 다이오드 및 LED 측정(③부분)
① COM에 연결된 흑색(-) 단자봉을 연결하고 VΩA에 적색(+) 단자봉을 연결하시오.
② 레인지 선택스위치를 ×1K(150uA) 또는 ×10(15mA) 저항레인지에 둔다.
③ 흑색 단자봉을 다이오드의 (+)에, 적색 단자봉을 다이오드의 (-)에 접속시키고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류(IF)를 눈금판에서 읽는다. 이때, 최대 지시치에 가까운 지시값이면 양품이다.
④ 이때, ③의 순방향 전류(IF) 판독시 눈금판에서 순방향 전압(VF(V))인 VF(V) 눈금을 동시에 판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르마늄 다이오드는 0.1~0.2[V]이고 실리콘 다이오드인 경우 0.5~0.8[V]를 지시하게 된다.
⑤ 단자봉을 서로 바꾸어 접속하고(즉, 적색 단자봉을 다이오드의 (+)에, 흑색 단자봉을 다이오드의 (-)에 접속시키고) 다이오드의 역방향 전류(IR)를 눈금판에서 읽는다. 이때, 지침이 왼쪽 0점에 가까운 지시값이면 양품이다.
2.10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 측정과 양부 판별법(③부분)
① 레인지 선택스위치를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중소형인 경우는 ×10 저항레인지에, 대형일 경우는 ×1에 둔다.
② 시험할 트랜지스터가 NPN형일 경우, COM에 연결된 흑색(-) 단자봉을 컬렉터에 연결하고, VΩA에 연결되어 있는 적색(+) 단자봉을 이미터에 연결하시오. 그러나 PNP형일 경우에는 서로 반대로 연결하시오.
③ 실리콘 트랜지스터인 경우 눈금판의 누설전류(ICEO) 눈금선에 지침이 오면 양품이라 할 수 있으며, 소형 게르마늄 트랜지스터인 경우 0.1~2[mA], 대형인 경우 1~5[mA]의 누설전류를 지시하게 된다.
3. 전기적인 규격
[그림 3]에서 보인 아날로그 멀티미터의 전기적인 규격은 다음과 같다.
(1) 직류전압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2, ×5, ×10, ×50, ×250, ×1000[V]
② 감도: 20,000[Ω]/[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3[%]
(2) 교류전압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10, ×50, ×250, ×1000[V]
② 감도: 8,000[Ω]/[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4[%]
④ 지시치: 전파정류 평균 감응치를 정현파 실효치로 교정된 지시치
⑤ 주파수 감응(정격 정밀도): 50[V]까지는 10[kHz], 250[V]까지는 20[kHz]
(3) 직류전류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2, ×5, ×25, ×250[mA] 및 ×10[A]
(단, ×10[A]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소켓으로 사용)
② 전압강하: 0.25[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3[%]
(4) 저항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1, ×10, ×10K, ×10K
×1: 0~2,000[Ω](20[Ω]이 중앙), ×10: 0~20,000[Ω](200[Ω]이 중앙)
×1K: 0~2[MΩ](20[kΩ]이 중앙), ×10K: 0~20[MΩ](200[kΩ]이 중앙)
② 단락전류 및 개방전압(정상전지인 경우)
×1: 150[mA], 3[V], ×10: 15[mA], 3[V], ×1K: 150[uA], 3[V], ×10K: 160[uA], 12[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43[%]
(4) 데시벨(0[dB]는 600[Ω], 1[mW] 기준)
① 레인지(혹은 스케일): AC ×10[V], ×50[V], ×250[V], ×1000[V]
AC ×10[V]: -10~22[dB], AC ×50[V]: 4~36[dB]
AC ×250[V]: 18~50[dB], AC ×1000[V]: 30~62[dB]
② 단락전류 및 개방전압(정상전지인 경우)
×1: 150[mA], 3[V], ×10: 15[mA], 3[V], ×1K: 150[uA], 3[V], ×10K: 160[uA], 12[V]
③ 정밀도: 최대 눈금치수의 ±43[%]
(5) 기타
① 사용전지: 1.5[V] 2개, 9[V] 1개
② 과부하 보호회로: 다이오드 2개, 0.5[A]/250[V] 퓨즈 1개
③ 정격 정밀도 유지 온도: 23℃±5℃
④ 사용온도: 0℃~18℃, 28℃~50℃ 범위내에서 4% 온도 편차
⑤ 크기: 102×150×45[m/m], 370[g] 정도
트랜지스터의 판별법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 극성을 찾을수 있습니다. 멀티테스터기 렌지를 1R 에 두고 흑색 리드와 적색리드를 다음 순서로 측정하여 NPN 형과 PNP 형을 먼저 구분하세요
1. 트랜지스터 다리 3개를 임의로 1,2,3 으로 정하고 1번핀에 검정색을 고정하고 적색
리드를 나머지 2번과 3번에 접촉하였을때 테스터기의 지침이 중간정도 움직이는
핀이 있는가
1) 하나만 움직인다 = PNP형
2) 2개다 움직인다 = NPN형
2. 하나도 안움직인다 = 검정색 리드를 2 번핀에 고정시키후 위 1번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합니다
1) 하나만 움직인다 = PNP 형
2) 2개다 움직인다 = NPN형
주의: 아날로그 멀티 테스터기를 이용하여야하고 검정색리드는 ㅡ 단자에 연결되여있어야합니다 (실제는 + 전압을 출력)
3. NPN 형 극성찾기
R10K (10000R)에 두고 B 베이스를 제외한 2개의 핀에 테스터리드를 바꾸어 가며 접속하여
지침이많이 움직움직일때의 검정색 리드를 접속한 핀이 C 콜렉터이고 나머지핀이 E 에미터 입니다
4. PNP 형 극성は기
R10K(10000R)에 두고 B 베이스를 제외한 2개의 핀에 테스터리드를 바구어 가며 접속하여
지침이 많이 움직일때의 검정색리드를 접속한 핀이 E 에이터 이고 나머지핀이 C 콜렉터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