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20번
주관식1~5번
정답
주관식1~5번
정답
본문내용
?
① 알루미늄 캔이 부풀어 오른다. 왜냐하면 가열하면서 데워진 주위의 공기압력이 알루미늄 캔에 더 세게 가해졌기 때문이다.
② 알루미늄 캔이 부풀어 오른다. 왜냐하면 캔 속의 공기 압력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③ 알루미늄 캔이 찌그러진다. 왜냐하면 가열하면서 캔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④ 알루미늄 캔이 찌그러진다. 왜냐하면 캔의 내부 압력과 외부압력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⑤ 알루미늄 캔은 아무 변화가 없는 것이 정상이므로 갑돌이는 실험을 잘못한 것이다.
10. 희동이는 다음 오른쪽처럼 등압선을 그렸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C지역의 중심부에는 하강기류가 발달한다.
② 등압선을 그릴때는 1000hPa을 기준으로 4hPa간격으로 그린다.
③ 기압값이 없는 지점은 근처의 값으로 거리 비례로 어림하여 그린다.
④ B지역은 바람이 가장 약하게 불고 있다.
⑤ 지도에 표시된 기압값은 해면에서의 기압값이다.
11. 해륙풍과 계절풍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해안 지역에 낮에 부는 바람은 육풍이다.
② 해안가에서 육풍이 불 때 저기압은 바다쪽에 위치한다.
③ 해륙풍의 생성원인과 계절풍의 생성원인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④ 계절풍은 지구의 대기 대순환에 의해 부는 바람이다.
⑤ 계절풍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곳은 바다에 접한 대륙이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실험을 실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① 물과 모래의 양은 같게 해야 한다.
② 바람이 일지 않게 실험실의 창을 닫고 실험한다.
③ 온도계를 물과 모래에 깊이 묻어 쓰러지지 않게 한다.
④ 모래는 충분히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⑤ 실험 전에 물과 모래의 온도를 실온과 같게 맞추고 실험을 실시한다.
13. 다음 그림의 풍향계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바람이 서쪽으로 불어 가고 있다.
② 바람이 서쪽에서 불어 오고 있다.
③ 바람이 불고 있지 않다.
④ 이 풍향계로는 바람의 방향을 알 수 없다.
⑤ 풍향계가 없을 때에는 풍향을 알 수 없다.
14. 다음 중 영양소와 그 검출용액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녹말 + 수단Ⅲ 용액
② 포도당 + 요오드-요오드화칼륨
③ 지방 + 뷰렛용액
④ 단백질 + 뷰렛용액
⑤ 녹말 + 베네딕트용액
15. 다음 중 효소의 특징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 단백질로 되어 있다.
㈏ 탄수화물과 지방과 단백질로 되어있다.
㈐ 생물체 내에서의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이다.
㈑ 쓸개즙은 지방을 분해하는 소화효소이다.
㈒ 온도가 높을수록 활발한 작용을 한다.
㈓ 하나의 소화 효소는 하나의 영양소만 분해한다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16. 다음 중 틀린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동물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사용하지 못하므로 음식물을 섭취하여야 한다.
② 동물의 입에서부터 항문까지를 소화기관이라고 한다.
③ 닭은 이가 없어서 먹이를 갈아주는 모이 주머니가 있다.
④ 소장에서는 음식물과 소화액을 섞어주는 연동운동이 일어난다.
⑤ 비타민은 적은 양으로 몸의 기능을 조절하며, 부족시에 결핍증이 나타난다.
17. 다음은 사람의 몸에서의 3대 영양소 소화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영양소 ㈎, ㈏, ㈐를 바르게 말한 것은?
㈎ ㈏ ㈐
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②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③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④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⑤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18. 다음 그림과 같이 장치하고 10분동안 둔 다음 요오드 반응과 베네딕트 반응을 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온도가 높을수록 침의 작용이 활발함을 알 수 있다.
② 시험관 B만 나머지 시험관과 다른 결과가 나온다.
③ D시험관이 베네딕트 반응에 변화없는 것은 소화효소가 없기 때문이다.
④ 침이 녹말을 당분으로 분해함을 알 수 있다.
⑤ 침을 끓이면 높은 온도로 인해 성분의 변화가 있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19. 오른쪽 그림은 사람의 소화기관을 모식적으로 그린 것이다.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3대영양소를 모두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곳은 ㈑이다.
② 지방의 소화를 돕는 쓸개즙은 ㈏에서 만든다.
③ 녹말의 분해효소는 ㈎, ㈐, ㈑세곳에서 분비한다.
④ 지방의 소화효소는 단 한곳 ㈑에서만 나온다.
⑤ 소화액을 분비하지 않고 대부분 수분흡수역할을 하는 곳은 ㈓이다.
20. 오른쪽 그림은 소장의 융털 모식도이다. A와 B로 흡수되는 영양소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A
B
①
아미노산, 포도당, 지방산
글리세롤, 비타민A, 비타민D
②
지방산, 글리세롤,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B, 비타민C
③
포도당, 무기염류
물, 아미노산
④
비타민A, 비타민D, 지방산
아미노산, 포도당
⑤
비타민B,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 글리세롤
주관식 1. 아래의 그림은 북태평양의 해수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폭이 좁고 유속이 빠르며 우리 나라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해류의 기호와 이름을 순서대로 쓰시오.
① 기호 : ( )
② 해류이름 : ( 해류)
주관식 2. 아래의 그림은 자전하는 지구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대기 대순환의 모습이다.
A, B, C에 알맞은 바람의 이름을 쓰시오.
A:
B:
C:
주관식 3. 다음 등압선을 보고 가장 강한 바람이 불고 있는 지역과 그곳에서의 풍향, 풍속을 순서대로 쓰라.
지역 : 풍향 : 풍속 :
주관식 4. 다음에서 설명하는 소화 효소의 이름을 써라.
침 속에 들어 있는 소화 효소이다.
적정 온도에서만 작용하는 효소이다.
녹말은 엿당을 분해한다.
( )
주관식 5. 소장 안쪽벽에는 주름이 많이 있고 그 주름의 표면에는 융털이 빽빽하게 나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구조가 소장의 어떤 역할과 관련있으며 왜 효율적인지 간단히 써보자.
( )
내신문제연구소
객관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③
②③
④
②
①
④
②
⑤
②
④
②5
③
①
④
②
③④
②
①
③
④
주관식
1.C:쿠로시오해류 2. A:편동풍 B:편서풍 C:무역풍 3.C북서풍 10m/s 4. 아밀라아제
5.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접촉면적 증가
① 알루미늄 캔이 부풀어 오른다. 왜냐하면 가열하면서 데워진 주위의 공기압력이 알루미늄 캔에 더 세게 가해졌기 때문이다.
② 알루미늄 캔이 부풀어 오른다. 왜냐하면 캔 속의 공기 압력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③ 알루미늄 캔이 찌그러진다. 왜냐하면 가열하면서 캔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④ 알루미늄 캔이 찌그러진다. 왜냐하면 캔의 내부 압력과 외부압력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⑤ 알루미늄 캔은 아무 변화가 없는 것이 정상이므로 갑돌이는 실험을 잘못한 것이다.
10. 희동이는 다음 오른쪽처럼 등압선을 그렸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C지역의 중심부에는 하강기류가 발달한다.
② 등압선을 그릴때는 1000hPa을 기준으로 4hPa간격으로 그린다.
③ 기압값이 없는 지점은 근처의 값으로 거리 비례로 어림하여 그린다.
④ B지역은 바람이 가장 약하게 불고 있다.
⑤ 지도에 표시된 기압값은 해면에서의 기압값이다.
11. 해륙풍과 계절풍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해안 지역에 낮에 부는 바람은 육풍이다.
② 해안가에서 육풍이 불 때 저기압은 바다쪽에 위치한다.
③ 해륙풍의 생성원인과 계절풍의 생성원인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④ 계절풍은 지구의 대기 대순환에 의해 부는 바람이다.
⑤ 계절풍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곳은 바다에 접한 대륙이다.
12. 다음 그림과 같은 실험을 실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① 물과 모래의 양은 같게 해야 한다.
② 바람이 일지 않게 실험실의 창을 닫고 실험한다.
③ 온도계를 물과 모래에 깊이 묻어 쓰러지지 않게 한다.
④ 모래는 충분히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⑤ 실험 전에 물과 모래의 온도를 실온과 같게 맞추고 실험을 실시한다.
13. 다음 그림의 풍향계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바람이 서쪽으로 불어 가고 있다.
② 바람이 서쪽에서 불어 오고 있다.
③ 바람이 불고 있지 않다.
④ 이 풍향계로는 바람의 방향을 알 수 없다.
⑤ 풍향계가 없을 때에는 풍향을 알 수 없다.
14. 다음 중 영양소와 그 검출용액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녹말 + 수단Ⅲ 용액
② 포도당 + 요오드-요오드화칼륨
③ 지방 + 뷰렛용액
④ 단백질 + 뷰렛용액
⑤ 녹말 + 베네딕트용액
15. 다음 중 효소의 특징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 단백질로 되어 있다.
㈏ 탄수화물과 지방과 단백질로 되어있다.
㈐ 생물체 내에서의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이다.
㈑ 쓸개즙은 지방을 분해하는 소화효소이다.
㈒ 온도가 높을수록 활발한 작용을 한다.
㈓ 하나의 소화 효소는 하나의 영양소만 분해한다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16. 다음 중 틀린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동물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사용하지 못하므로 음식물을 섭취하여야 한다.
② 동물의 입에서부터 항문까지를 소화기관이라고 한다.
③ 닭은 이가 없어서 먹이를 갈아주는 모이 주머니가 있다.
④ 소장에서는 음식물과 소화액을 섞어주는 연동운동이 일어난다.
⑤ 비타민은 적은 양으로 몸의 기능을 조절하며, 부족시에 결핍증이 나타난다.
17. 다음은 사람의 몸에서의 3대 영양소 소화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영양소 ㈎, ㈏, ㈐를 바르게 말한 것은?
㈎ ㈏ ㈐
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②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③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④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⑤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18. 다음 그림과 같이 장치하고 10분동안 둔 다음 요오드 반응과 베네딕트 반응을 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온도가 높을수록 침의 작용이 활발함을 알 수 있다.
② 시험관 B만 나머지 시험관과 다른 결과가 나온다.
③ D시험관이 베네딕트 반응에 변화없는 것은 소화효소가 없기 때문이다.
④ 침이 녹말을 당분으로 분해함을 알 수 있다.
⑤ 침을 끓이면 높은 온도로 인해 성분의 변화가 있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19. 오른쪽 그림은 사람의 소화기관을 모식적으로 그린 것이다.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3대영양소를 모두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곳은 ㈑이다.
② 지방의 소화를 돕는 쓸개즙은 ㈏에서 만든다.
③ 녹말의 분해효소는 ㈎, ㈐, ㈑세곳에서 분비한다.
④ 지방의 소화효소는 단 한곳 ㈑에서만 나온다.
⑤ 소화액을 분비하지 않고 대부분 수분흡수역할을 하는 곳은 ㈓이다.
20. 오른쪽 그림은 소장의 융털 모식도이다. A와 B로 흡수되는 영양소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A
B
①
아미노산, 포도당, 지방산
글리세롤, 비타민A, 비타민D
②
지방산, 글리세롤,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B, 비타민C
③
포도당, 무기염류
물, 아미노산
④
비타민A, 비타민D, 지방산
아미노산, 포도당
⑤
비타민B,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 글리세롤
주관식 1. 아래의 그림은 북태평양의 해수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폭이 좁고 유속이 빠르며 우리 나라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해류의 기호와 이름을 순서대로 쓰시오.
① 기호 : ( )
② 해류이름 : ( 해류)
주관식 2. 아래의 그림은 자전하는 지구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대기 대순환의 모습이다.
A, B, C에 알맞은 바람의 이름을 쓰시오.
A:
B:
C:
주관식 3. 다음 등압선을 보고 가장 강한 바람이 불고 있는 지역과 그곳에서의 풍향, 풍속을 순서대로 쓰라.
지역 : 풍향 : 풍속 :
주관식 4. 다음에서 설명하는 소화 효소의 이름을 써라.
침 속에 들어 있는 소화 효소이다.
적정 온도에서만 작용하는 효소이다.
녹말은 엿당을 분해한다.
( )
주관식 5. 소장 안쪽벽에는 주름이 많이 있고 그 주름의 표면에는 융털이 빽빽하게 나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구조가 소장의 어떤 역할과 관련있으며 왜 효율적인지 간단히 써보자.
( )
내신문제연구소
객관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③
②③
④
②
①
④
②
⑤
②
④
②5
③
①
④
②
③④
②
①
③
④
주관식
1.C:쿠로시오해류 2. A:편동풍 B:편서풍 C:무역풍 3.C북서풍 10m/s 4. 아밀라아제
5.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접촉면적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