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Ⅰ. 중국의 경제중심지 ‘상해’
1. 상해의 지리적 위치
2. 상해의 역사
Ⅱ. 경제지리적 위치로 본 상해
1. 상해의 경제지리적 위치
2. 상해의 상업도시 발전과정
Ⅲ. 상해의 경제
1. 상해 경제의 특징
2. 적극적인 산업 구조조정 추진
Ⅳ. 포동지구
1. 포동신구의 개황과 연혁
2. 개발 추진경위
3. 3단계 개발계획
4. 포동개발구의 개요
4. 경제특구와 국가급 개발구의 비교
Ⅴ. 2004 상해 최근 현황
1. 경제
2. 사회
3. 금융 및 IT
4. 기타(교육, 관광, 법률)
5. 한국과 상해의 교류현황
Ⅵ. 상해의 미래전망
1. 21세기의 상해의 역할
2. 문제점과 개선방향
1. 상해의 지리적 위치
2. 상해의 역사
Ⅱ. 경제지리적 위치로 본 상해
1. 상해의 경제지리적 위치
2. 상해의 상업도시 발전과정
Ⅲ. 상해의 경제
1. 상해 경제의 특징
2. 적극적인 산업 구조조정 추진
Ⅳ. 포동지구
1. 포동신구의 개황과 연혁
2. 개발 추진경위
3. 3단계 개발계획
4. 포동개발구의 개요
4. 경제특구와 국가급 개발구의 비교
Ⅴ. 2004 상해 최근 현황
1. 경제
2. 사회
3. 금융 및 IT
4. 기타(교육, 관광, 법률)
5. 한국과 상해의 교류현황
Ⅵ. 상해의 미래전망
1. 21세기의 상해의 역할
2. 문제점과 개선방향
본문내용
적 위치로 본 상해
1. 상해의 경제지리적 위치
① 상해의 지리적인 이점
상해는 다른 도시들과 비교해서 경제성장을 위한 완벽한 지리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 단락에서는 이러한 상해의 지리적인 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동팡밍주 앞에 유유히 흐르고 있는 황푸쟝(黃浦江)은 챵쟝(長江)에서 가장 바다와 가까이 있는 지류이다. 상해의 중심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흐르고 있다. 다시 황푸쟝의 지류인 수저우허(蘇州河)는 푸시의 남북을 가르며 지나간다. 길이 113km인 황푸쟝은 장수성(江蘇省) 타이후(太湖) 동안(東岸)의 호소(湖沼) 지대에서 발원해 동으로 흘러 상해로 들어가 우송(吳淞)에서 창쟝과 합류한다. 강폭은 300∼770m, 평균 360m이다. 겨울에도 얼지 않는 강으로 옛날에는 직접 바다로 흘러 들어갔으나 창쟝 삼각주의 발달로 유로가 변하여 지류가 되었다. 우송 입구에서 서쪽으로 좀 더 가면 대운하(大運河)와도 만난다. 대운하는 베이징(北京)에서 항저우(杭州)까지, 허베이(河北)·산둥(山東)·장수(江蘇)·저쟝(浙江) 등 4개 성(省)을 남북으로 흐르는 운하이다.
이렇듯 상해는 동서남북의 수로를 이용한 물류이동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바다와 접해 있어 중국 해안선을 따라, 또 국가와 국가간 대량의 물류이동에 매우 용이하다. 하지만, 상해의 물류이동에도 치명적인 틈새가 있다. 주변 바다 깊이가 매우 얕아 대형선박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상하이 시정부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내놓은 방안이 허브항만 건설이다. 대소양산(大小洋山) 섬 전체가 항만으로 건설되어 대형선박의 정박뿐만 아니라 대형 물류기지화 해 범화동지역 물류를 담당토록 할 예정이다. 또한 이곳에서부터 상해 남쪽 난후이(南匯)까지 총 27.3㎞에 달하는 해상다리를 건설해 물류를 육지로 옮긴다는 계획이다. 이 거대한 공정은 이미 시작되었다. 상해는 이러한 천해의 지리·교통 요소를 가지고 있어, 중국 경제, 좀 더 나아가 세계 경제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는 것이다.
② 상해근교의 발전 배후지
앞서 언급한 지리적인 이점 이외에도 상해는 근처에 거대한 생산, 소비의 배후 도시군을 거느리고 있다는 점에서 경제의 급격한 성장이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상해의 근처에는 장강 삼각주 경제권이 있다. 장강 삼각주는 장강을 끼고 띠처럼 늘어선 지역으로 강소성 남경시를 서쪽 끝점으로 하여 동쪽으로는 상해에 이르고, 북쪽 경계선은 통주와 양주를 잇는 통양운하, 남쪽경계선은 절강성, 항주만에 이르는 넓이 10만㎢의 삼각주를 가리킨다. 특히 소주-무석-상주를 잇는 소석상지구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15% 수준에 이르며, 장각삼각주 전체 연평균 성장률은 13% 정도이다. 따라서 장각삼각주 지역의 도시군이 상해에서 생산되거나 거래되는 물품들을 소비해줄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장강유역 경제권
-중국정부는 상해포동개발을 설명할 때 으레 용두론을 들먹이곤 한다. 지도를 펴고 長江을 보면 한 마리의 용과 같은 형상인데 중국인은 이 장강의 하구에 형성된 상해를 용의 머리(龍頭)라고 비유한다. 총 6,300 km의 장강은 풍부한 하천유량으로 인한 내륙수운의 발달로 유사 이래 중국 산업의 대동맥 역할을 해왔으며 강유역 곳곳에 도시를 형성 발전시켜 왔다. 장강유역은 하류에서부터 상해, 소주, 무석, 상주, 진강, 양주, 남경, 무호, 무한, 악양, 의창, 중경등의 도시가 형성되어 강을 중심으로 하나의 거대한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항주만 경제권
-태평양연안의 영파와 상해사이의 굴곡부분이 항주만인데 이 항주만을 사이에 두고 상해,항주,소흥,영파의 4개 도시가 항주만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③2개의 경제권과 동아시아경제권의 중심에 위치한 상해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이유를 조합해 보면 상해는 장강유역 경제권과 항주만경제권을 해로,하천,육로 항공로 등으로 연결 중국최대의 경제권을 형성하고, 국내의 거대한 생산·소비의 배후 도시군을 거느리고 있으며 아울러 동아시아경제권(한국,일본,중국,대만)의 중심에 위치 무역항으로서의 지리적 이점을 갖고 있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2. 상해의 상업도시 발전과정
①상해의 근교의 상업도시 발전의 계기
상해지구의 본격적인 도시화는 농업생산물의 상품작물화가 진척되기 시작한 명 중엽
이후였다. 즉 이 지역의 농업이 면화생산을 중심으로 한 상품생산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면화생산을 중심으로 배후지의 상품경제화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진척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근교의 대상인들이 면직물을 구입하기 위해 상해로 몰려
들었으며, 이들은 각지의 토산품을 가지고 와서 교역을 했다. 이는 상해를 근교의
상업도시로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②중국내의 상업도시 발전의 계기
상해가 근교의 상업도시에서 벗어나 중국 내에서 상업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계기로는 1729년의 해금(海禁)의 폐지가 있었다. 해금의 폐지는 하운과 해운을 통한 상업
활동에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거기에는 바로 상해가 내륙으로는 장강하구에
그리고 외적으로는 연안에 위치해 있다는 유리한 입지조건이 있었다.
중국내륙 중심인 사천성에서부터 상해까지 6,300㎞ 이르는 장강을 통하여 소선의
하운 상업활동이 바로 중국 내에서 상해를 상업중심으로 부상 시켰으며, 이는 장강
근교에 위치한 지역의 도시화를 촉진시켰다.
③대외적인 상업도시 발전의 계기
장강을 통하여 중국내의 상업도시로 발전하며, 대외적으로는 장강 하류의 크지 않은 무역항에 불과했던 상해는 19세기에 국제도시로 크게 번성하게 된다. 1842년 아편전쟁의 결과 맺어진 난징조약에 의해 상해가 구미제국과의 무역을 위한 개항장이 되어 영국,프랑스,미국등의 조계지가 설치되면서부터가 계기가 되었다. 이후 상해는 조계지에 중국의 주권이 미치지 못하는 가운데 서구 열강이 동아시아에 진출하는 거점도시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온갖 정보들이 총 집결하는 동아시아의 중심도시가 되었으며 일제시대 때 임시정부가 상해에 수립된 것도 이러한 당시의 상해의 특수성 때문이었다. 국제 무역항으로서의 대외적인 발전은 곧 장강을 통하여 중국내륙으로의 상업을 더욱더 촉진시키는 계기가
1. 상해의 경제지리적 위치
① 상해의 지리적인 이점
상해는 다른 도시들과 비교해서 경제성장을 위한 완벽한 지리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 단락에서는 이러한 상해의 지리적인 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동팡밍주 앞에 유유히 흐르고 있는 황푸쟝(黃浦江)은 챵쟝(長江)에서 가장 바다와 가까이 있는 지류이다. 상해의 중심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흐르고 있다. 다시 황푸쟝의 지류인 수저우허(蘇州河)는 푸시의 남북을 가르며 지나간다. 길이 113km인 황푸쟝은 장수성(江蘇省) 타이후(太湖) 동안(東岸)의 호소(湖沼) 지대에서 발원해 동으로 흘러 상해로 들어가 우송(吳淞)에서 창쟝과 합류한다. 강폭은 300∼770m, 평균 360m이다. 겨울에도 얼지 않는 강으로 옛날에는 직접 바다로 흘러 들어갔으나 창쟝 삼각주의 발달로 유로가 변하여 지류가 되었다. 우송 입구에서 서쪽으로 좀 더 가면 대운하(大運河)와도 만난다. 대운하는 베이징(北京)에서 항저우(杭州)까지, 허베이(河北)·산둥(山東)·장수(江蘇)·저쟝(浙江) 등 4개 성(省)을 남북으로 흐르는 운하이다.
이렇듯 상해는 동서남북의 수로를 이용한 물류이동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바다와 접해 있어 중국 해안선을 따라, 또 국가와 국가간 대량의 물류이동에 매우 용이하다. 하지만, 상해의 물류이동에도 치명적인 틈새가 있다. 주변 바다 깊이가 매우 얕아 대형선박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상하이 시정부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내놓은 방안이 허브항만 건설이다. 대소양산(大小洋山) 섬 전체가 항만으로 건설되어 대형선박의 정박뿐만 아니라 대형 물류기지화 해 범화동지역 물류를 담당토록 할 예정이다. 또한 이곳에서부터 상해 남쪽 난후이(南匯)까지 총 27.3㎞에 달하는 해상다리를 건설해 물류를 육지로 옮긴다는 계획이다. 이 거대한 공정은 이미 시작되었다. 상해는 이러한 천해의 지리·교통 요소를 가지고 있어, 중국 경제, 좀 더 나아가 세계 경제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는 것이다.
② 상해근교의 발전 배후지
앞서 언급한 지리적인 이점 이외에도 상해는 근처에 거대한 생산, 소비의 배후 도시군을 거느리고 있다는 점에서 경제의 급격한 성장이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상해의 근처에는 장강 삼각주 경제권이 있다. 장강 삼각주는 장강을 끼고 띠처럼 늘어선 지역으로 강소성 남경시를 서쪽 끝점으로 하여 동쪽으로는 상해에 이르고, 북쪽 경계선은 통주와 양주를 잇는 통양운하, 남쪽경계선은 절강성, 항주만에 이르는 넓이 10만㎢의 삼각주를 가리킨다. 특히 소주-무석-상주를 잇는 소석상지구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15% 수준에 이르며, 장각삼각주 전체 연평균 성장률은 13% 정도이다. 따라서 장각삼각주 지역의 도시군이 상해에서 생산되거나 거래되는 물품들을 소비해줄 수 있는 것이다.
<참고>
◇장강유역 경제권
-중국정부는 상해포동개발을 설명할 때 으레 용두론을 들먹이곤 한다. 지도를 펴고 長江을 보면 한 마리의 용과 같은 형상인데 중국인은 이 장강의 하구에 형성된 상해를 용의 머리(龍頭)라고 비유한다. 총 6,300 km의 장강은 풍부한 하천유량으로 인한 내륙수운의 발달로 유사 이래 중국 산업의 대동맥 역할을 해왔으며 강유역 곳곳에 도시를 형성 발전시켜 왔다. 장강유역은 하류에서부터 상해, 소주, 무석, 상주, 진강, 양주, 남경, 무호, 무한, 악양, 의창, 중경등의 도시가 형성되어 강을 중심으로 하나의 거대한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항주만 경제권
-태평양연안의 영파와 상해사이의 굴곡부분이 항주만인데 이 항주만을 사이에 두고 상해,항주,소흥,영파의 4개 도시가 항주만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③2개의 경제권과 동아시아경제권의 중심에 위치한 상해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이유를 조합해 보면 상해는 장강유역 경제권과 항주만경제권을 해로,하천,육로 항공로 등으로 연결 중국최대의 경제권을 형성하고, 국내의 거대한 생산·소비의 배후 도시군을 거느리고 있으며 아울러 동아시아경제권(한국,일본,중국,대만)의 중심에 위치 무역항으로서의 지리적 이점을 갖고 있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2. 상해의 상업도시 발전과정
①상해의 근교의 상업도시 발전의 계기
상해지구의 본격적인 도시화는 농업생산물의 상품작물화가 진척되기 시작한 명 중엽
이후였다. 즉 이 지역의 농업이 면화생산을 중심으로 한 상품생산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면화생산을 중심으로 배후지의 상품경제화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진척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근교의 대상인들이 면직물을 구입하기 위해 상해로 몰려
들었으며, 이들은 각지의 토산품을 가지고 와서 교역을 했다. 이는 상해를 근교의
상업도시로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②중국내의 상업도시 발전의 계기
상해가 근교의 상업도시에서 벗어나 중국 내에서 상업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계기로는 1729년의 해금(海禁)의 폐지가 있었다. 해금의 폐지는 하운과 해운을 통한 상업
활동에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거기에는 바로 상해가 내륙으로는 장강하구에
그리고 외적으로는 연안에 위치해 있다는 유리한 입지조건이 있었다.
중국내륙 중심인 사천성에서부터 상해까지 6,300㎞ 이르는 장강을 통하여 소선의
하운 상업활동이 바로 중국 내에서 상해를 상업중심으로 부상 시켰으며, 이는 장강
근교에 위치한 지역의 도시화를 촉진시켰다.
③대외적인 상업도시 발전의 계기
장강을 통하여 중국내의 상업도시로 발전하며, 대외적으로는 장강 하류의 크지 않은 무역항에 불과했던 상해는 19세기에 국제도시로 크게 번성하게 된다. 1842년 아편전쟁의 결과 맺어진 난징조약에 의해 상해가 구미제국과의 무역을 위한 개항장이 되어 영국,프랑스,미국등의 조계지가 설치되면서부터가 계기가 되었다. 이후 상해는 조계지에 중국의 주권이 미치지 못하는 가운데 서구 열강이 동아시아에 진출하는 거점도시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온갖 정보들이 총 집결하는 동아시아의 중심도시가 되었으며 일제시대 때 임시정부가 상해에 수립된 것도 이러한 당시의 상해의 특수성 때문이었다. 국제 무역항으로서의 대외적인 발전은 곧 장강을 통하여 중국내륙으로의 상업을 더욱더 촉진시키는 계기가
추천자료
중국 WTO가입 영향분석 (국제무역 자유무역 국제통상 중국경제
[중국 인터넷]중국 인터넷 산업(중국경제 인터넷산업 중국진출)
중국경제의 발전과정과 최근 경제 동향
[중국경제]차이나 쇼크
중국경제 [비즈니스/경제]
중국사회경제사 발표 레포트
중국시장,중국경제,글로벌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중국경제론] ‘미얀마’의 관광산업 특화 - 후진국 발전에 대해
중국경제론 report
중국사회경제사 정리 - 한대 경학의 발전과정
[중국경제론] 마르크스 『자본론』에서의 사회학 제1법칙과 제2법칙
중국경제론 - 한국과 중국의 항구 도시 비교
중국산업지리와경제문화,모택동의 지역 균형발전,등소평의 불균형발전,시진핑의 소강사회,경...
중국경제론-3가지 질문조사하기(시장,기업,무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