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목차
1.LCD 개요
2.LCD 역사
3.LCD 종류
4.TFT LCD 동작원리
.
.
.
.
.
20.국내외 시장동향
21.앞으로의과제
2.LCD 역사
3.LCD 종류
4.TFT LCD 동작원리
.
.
.
.
.
20.국내외 시장동향
21.앞으로의과제
본문내용
억 달러 등 307.1억 달러로 전망되어 27.0%의 증가가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TFT-LCD가 채용된 모니터, 노트북, 모바일 폰의 지속적인 성장에 이어 향후 대형 LCD TV의 수요 증가가 중요한 모멘텀으로 작용한 것으로 LCD 부품소재 산업은 연평균 20%의 성장률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커져갈 것으로 전망된다.
유리기판은 7,8,9세대와 같은 초대형 TFT-LCD 라인의 증설로 인해 TFT-LCD 시장의 성장률보다 다소 높은 19%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며, 컬러필터는 유리기판과 같은 이유로 높은 성장이 전망되지만 패널메이커들의 In-House 생산 방식이 대세를 이루면서 이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 및 잉크젯 컬러필터 등 신기술의 등장으로 금액상의 성장률은 다소 낮은 14.8%로 예상된다. 한편, LCD TV용 CCFL의 경우 제품에 소요되는 CCFL의 개수가 기존의 모니터용 CCFL보다 훨씬 많으며 개당 단가 역시 매우 높은데, 이러한 이유로 향후 LCD TV 시장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CCFL 성장률은 4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편광판은 LCD TV 시장의 성장에 기인하여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TV용 편광판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시장 성장률 또한 15.6%을 기록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와 독점적 형태의 시장 구조를 지닌 프리즘시트는 TFT-LCD 제조사들의 원가절감 활동에 따라 채용률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전체 시장은 10.9%의 성장률을 보이는 반면 프리즘시트의 보완용으로 확산시트의 채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시장은 19.1%의 시장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컬러레지스트는 스핀리스 코팅 방식의 제조 공법의 영향으로 소모량이 크게 줄고 있으며 잉크젯 방식의 제조 공법이 상용화되면 소모량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여 전체적인 시장 성장률은 8.8%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며, 포토레지스트는TFT-LCD 시장의 성장률과 비슷한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드라이버 IC 경우는 칩당 채널 수가 커지면서 단위 모듈에 소요되는 드라이버 IC의 개수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모바일용 제품에는 원칩 형태의 드라이버 IC가 대세를 이루어 전체적인 성장률은 9.2% 가량으로 본다.
4) 국내 LCD 산업의 현황
5) 국내 TFT-LCD 장비산업의 현황
국내 LCD 패널 분야 세계 시장 점유율은 39%, 매출규모는 222억 달러로 세계 최고인 반면, 패널 제조용으로 납품되는 장비의 64%가 해외 장비이다. 특히, 특히 국산장비라 하더라도 내재되는 부품의 대부분이 외국 부품업체의 것으로 핵심부품의 국산화도 시급한 실정이다. 장비의 성능 및 신뢰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 제품들은 수입위주이고, 국내 장비용 부품 제조업체는 가공 및 조립 등이다.
한편, 국내 장비업체의 국내 시장 의존도는 70% 정도로 매우 높으나, 국산화율(36%, 2005년)은 여전히 낮은 상태이므로, 국산화율을 제고함으로써 향후 국산 장비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충분히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장비업계가 삼성과 LPL의 장비투자 계획 및 가격정책에 크게 의존하는 불안한 구조이므로 장기적으로는 내수 의존도를 줄일 필요가 있다.
국내 장비업체의 2005년 총 장비 생산규모는 2004년 대비 12% 감소하였으며, 내수 시장이 2004년와 2005년에 비슷한 점을 감안하면, 2005년 대만 패널 업체의 투자연기 및 일본 장비업체들의 공격적인 대만 시장 공략에 따라 국산 장비업체의 대만수출 부진 때문이다.
국내 30대 장비업체의 평균매출액은 907억 원, 이중 LCD 분야 매출은 680억 원(75% 비중) 규모이며, 평균인력은 221명, R&D비용은 매출액 대비 평균 5.6%로 국내 산업 규모 기준 중견기업 수준인 기업이 상당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차 납품업체의 경우는 1차 납품업체의 국산화율보다 낮은 20% 미만으로써, 이는 원재료로 갈수록 특허로 무장한 일본 업체들이 독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차 납품 업체가 제일모직, 코오롱 등 대부분 자본이 충분한 대기업이라도, 원천특허로 무장한 해외업체로 인해 시장진입이 어렵고, 장비용 2차 납품산업과는 달리 부품산업은 단순 가공이나 조립이 과정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1차 부품납품업체의 경우 계열화가 심한 편이고, 특히 대부분 내작을 하는 컬러필터의 경우는 컬러필터 제조공정상에 패턴 형성은 회사의 중요 보안 내용이며 패널의 색재현도 등 주요 특성을 좌우하므로 패널업체가 내작(In-house)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BLU 부분은 특히 100% 내수 공급이지만 배타적인 거래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BLU의 핵심 기술이 되는 광원 관련 기술개발 전략에서 삼성은 면광원 방식, LPL은 외부 전극 램프(EEFL)로 서로 다른 전략을 구사하고 있어 패널업체와 BLU 업체간 계열화가 형성된다. 한편, 액정의 경우는 독일의 Merck가 전세계 시장의 70% 정도를 독점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최근 Merck Korea로 진출하였으나, 액정용 재료물질의 단순 혼합 정도만 진행하고 있다.
한편, 국내 LCD부품업체의 경우는 대부분 대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매출 중 LCD비중은 26%, 매출대비 R&D 투자 또한 평균 2% 미만인데, 이는 국내 부품업체가 핵심 부품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므로 자체 연구개발 비중이 작은 것이다. 특히 BLU의 경우 75% 정도 규모의 부품을 수입한다.
국내 부품업계가 안고 있는 현안은 장비업계의 자본 및 인력 등의 인프라 부족 문제와는 달리 원천 기술 및 특허문제로 시장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23. 앞으로의 과제
액정 휴대단말기나 car navigation,산업용 모니터등에 주로 쓰이는 STN LCD에 비해 TFT LCD는 대화면을 요구하는 NOTE PC나 desktop 모니터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액정 desktop모니터는 현재 세계적으로 15\"의 수요가 가장 많고 18\"가 그다음을 잇고 있습니다. 앞으로 LCD가 화면 표시장치로서의 점유율을 높이고자 한다면 SIZE를 늘리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기술적으로 볼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TFT-LCD가 채용된 모니터, 노트북, 모바일 폰의 지속적인 성장에 이어 향후 대형 LCD TV의 수요 증가가 중요한 모멘텀으로 작용한 것으로 LCD 부품소재 산업은 연평균 20%의 성장률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커져갈 것으로 전망된다.
유리기판은 7,8,9세대와 같은 초대형 TFT-LCD 라인의 증설로 인해 TFT-LCD 시장의 성장률보다 다소 높은 19%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며, 컬러필터는 유리기판과 같은 이유로 높은 성장이 전망되지만 패널메이커들의 In-House 생산 방식이 대세를 이루면서 이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 및 잉크젯 컬러필터 등 신기술의 등장으로 금액상의 성장률은 다소 낮은 14.8%로 예상된다. 한편, LCD TV용 CCFL의 경우 제품에 소요되는 CCFL의 개수가 기존의 모니터용 CCFL보다 훨씬 많으며 개당 단가 역시 매우 높은데, 이러한 이유로 향후 LCD TV 시장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CCFL 성장률은 4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편광판은 LCD TV 시장의 성장에 기인하여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TV용 편광판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시장 성장률 또한 15.6%을 기록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와 독점적 형태의 시장 구조를 지닌 프리즘시트는 TFT-LCD 제조사들의 원가절감 활동에 따라 채용률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전체 시장은 10.9%의 성장률을 보이는 반면 프리즘시트의 보완용으로 확산시트의 채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시장은 19.1%의 시장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컬러레지스트는 스핀리스 코팅 방식의 제조 공법의 영향으로 소모량이 크게 줄고 있으며 잉크젯 방식의 제조 공법이 상용화되면 소모량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여 전체적인 시장 성장률은 8.8%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며, 포토레지스트는TFT-LCD 시장의 성장률과 비슷한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드라이버 IC 경우는 칩당 채널 수가 커지면서 단위 모듈에 소요되는 드라이버 IC의 개수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모바일용 제품에는 원칩 형태의 드라이버 IC가 대세를 이루어 전체적인 성장률은 9.2% 가량으로 본다.
4) 국내 LCD 산업의 현황
5) 국내 TFT-LCD 장비산업의 현황
국내 LCD 패널 분야 세계 시장 점유율은 39%, 매출규모는 222억 달러로 세계 최고인 반면, 패널 제조용으로 납품되는 장비의 64%가 해외 장비이다. 특히, 특히 국산장비라 하더라도 내재되는 부품의 대부분이 외국 부품업체의 것으로 핵심부품의 국산화도 시급한 실정이다. 장비의 성능 및 신뢰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 제품들은 수입위주이고, 국내 장비용 부품 제조업체는 가공 및 조립 등이다.
한편, 국내 장비업체의 국내 시장 의존도는 70% 정도로 매우 높으나, 국산화율(36%, 2005년)은 여전히 낮은 상태이므로, 국산화율을 제고함으로써 향후 국산 장비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충분히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장비업계가 삼성과 LPL의 장비투자 계획 및 가격정책에 크게 의존하는 불안한 구조이므로 장기적으로는 내수 의존도를 줄일 필요가 있다.
국내 장비업체의 2005년 총 장비 생산규모는 2004년 대비 12% 감소하였으며, 내수 시장이 2004년와 2005년에 비슷한 점을 감안하면, 2005년 대만 패널 업체의 투자연기 및 일본 장비업체들의 공격적인 대만 시장 공략에 따라 국산 장비업체의 대만수출 부진 때문이다.
국내 30대 장비업체의 평균매출액은 907억 원, 이중 LCD 분야 매출은 680억 원(75% 비중) 규모이며, 평균인력은 221명, R&D비용은 매출액 대비 평균 5.6%로 국내 산업 규모 기준 중견기업 수준인 기업이 상당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차 납품업체의 경우는 1차 납품업체의 국산화율보다 낮은 20% 미만으로써, 이는 원재료로 갈수록 특허로 무장한 일본 업체들이 독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차 납품 업체가 제일모직, 코오롱 등 대부분 자본이 충분한 대기업이라도, 원천특허로 무장한 해외업체로 인해 시장진입이 어렵고, 장비용 2차 납품산업과는 달리 부품산업은 단순 가공이나 조립이 과정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1차 부품납품업체의 경우 계열화가 심한 편이고, 특히 대부분 내작을 하는 컬러필터의 경우는 컬러필터 제조공정상에 패턴 형성은 회사의 중요 보안 내용이며 패널의 색재현도 등 주요 특성을 좌우하므로 패널업체가 내작(In-house)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BLU 부분은 특히 100% 내수 공급이지만 배타적인 거래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BLU의 핵심 기술이 되는 광원 관련 기술개발 전략에서 삼성은 면광원 방식, LPL은 외부 전극 램프(EEFL)로 서로 다른 전략을 구사하고 있어 패널업체와 BLU 업체간 계열화가 형성된다. 한편, 액정의 경우는 독일의 Merck가 전세계 시장의 70% 정도를 독점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최근 Merck Korea로 진출하였으나, 액정용 재료물질의 단순 혼합 정도만 진행하고 있다.
한편, 국내 LCD부품업체의 경우는 대부분 대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매출 중 LCD비중은 26%, 매출대비 R&D 투자 또한 평균 2% 미만인데, 이는 국내 부품업체가 핵심 부품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므로 자체 연구개발 비중이 작은 것이다. 특히 BLU의 경우 75% 정도 규모의 부품을 수입한다.
국내 부품업계가 안고 있는 현안은 장비업계의 자본 및 인력 등의 인프라 부족 문제와는 달리 원천 기술 및 특허문제로 시장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23. 앞으로의 과제
액정 휴대단말기나 car navigation,산업용 모니터등에 주로 쓰이는 STN LCD에 비해 TFT LCD는 대화면을 요구하는 NOTE PC나 desktop 모니터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액정 desktop모니터는 현재 세계적으로 15\"의 수요가 가장 많고 18\"가 그다음을 잇고 있습니다. 앞으로 LCD가 화면 표시장치로서의 점유율을 높이고자 한다면 SIZE를 늘리기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기술적으로 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