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신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신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스포츠신문의 현주소 ➡(page 2)

본론 2.스포츠 신문의 문제점 ➡(page 3-9)
(1) 스포츠 신문의 지나친 상업주의 ➡(page 3-4)
(2) 스포츠 신문의 과도한 선정주의 ➡(page 4-6)
(3) 성차별 문제 ➡(page 6-7)
(4) 지나친 극화보도 ➡(page 7)
(5) 사생활 침해와 명예훼손 ➡(page 7-8)
(6) 기자들의 전문지식 결여 ➡(page 8)
(7) 스포츠의 저급동질화 ➡(page 9)
3.기자들과 스포츠 신문사의 자세 ➡(page 9-10)

결론 4. 우리의 자세 ➡(page 11-12)

본문내용

’라는 보도의 저급화를 야기 시키기도 한다.
3. 기자들과 스포츠 신문사의 자세
이러한 스포츠 신문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나는 각 신문사와 기자들에게 렘벳의 미디어 윤리가 중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진리, 정의, 인본주의, 책무의 원칙이다. 아래에서 살펴보자.
(1) 진리 보도의 원칙
진리 보도의 원칙(the principle of truth telling)이란 “미디어의 내용이 정확하고 편겨이 배제되어 있어야 하고 맥락을 따라야 하며 모든 측면들이 공정하게 제시되도록 하는 노력”이다. 이것은 오랜 기간의 노력, 훈련, 상세한 것에 대한 집중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 사실적 정확성에만 집착해서는 안 되며 빙산 밑에 있는 더 큰 진리를 찾아야 한다. 특히 전문 분야에 관한 기사를 쓰려는 기자가 전문가들이 쓰는 용어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그는 완전하고 진실한 보도를 하기가 어렵다.
위처럼 의도적인 허구를 배제하고 전문가들은 좀 더 전문적인 공부에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2) 정의의 원칙
정의의 원칙(the principle of justice)는 공정성에 대한 관심과 관련이 있다. 이는 객관성을 중심으로 한 서술을 강조 한 것이다. 기자에겐 다음과 같은 자세가 요구된다.
첫째로 큰 중요성 혹은 의의를 생략해서는 안되고 그것은 공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완전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실천을 강조한다.
둘째로 중요한 사실을 빠뜨리고 관계없는 정보를 제공하면 이것은 공정성에 위배되는 것이다. 이는 관련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실천을 강조한다.
셋째로 기사가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돌자를 잘못 인도 하거나 속이면 이것 또한 공정성에 위배 되는 것이다. 이는 정직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실천을 강조한다.
넷째로 기자가 ‘거부’, ‘경멸’, ‘수용’, ‘광대한’과 같은 경멸적 용어를 사용하면서 자신들의 편견이나 감정을 감추려 하면 공정하지 못한 것이다. 이는 솔직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에 따른 실천을 강조한다.
(3) 인본성의 문제
인본성의 문제(the principle of humaneness) 기자들도 하나의 인간이기 때문에 롤스가 불렀던 ‘자연의 의무’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즉 그들도 인간으로서 남에게 해를 끼치지 말아야 하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은 도와야 하는 지극히 인본적 의무를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4) 책무의 원칙
책무의 원칙(the principle of stewardship)에서 쓰여진 책무란 개념은 책임의 개념과 유사하지만 차이점을 가진다. 책무는 “타인의 권리에 대한 적절한 배려를 하면서 개인의 생명과 재산을 조절하는 개인의 책임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책무는 책임에서 한발 더 나아가 타인에 대한 배려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4. 결 론
이번 보고서를 통해서 스포츠신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는 것 같다. 나 역시도 스포츠 신문을 보는 편이다. 길을 가다가 잔돈이 있으면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사곤 한다.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고 금전적 부담도 적기 때문에 손쉽게 살수 있는 것 같다. 이러한 것이 신문사들에게는 이득일지는 모르겠지만 우리사회에게 있어서는 문제가 되는 것 같다. 왜냐하면 스포츠 신문의 독자층을 생각해 볼 때 청소년 또한 쉽게 그것을 살 수 있다.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분별력이 불분명할 뿐 아니라 비판 능력이 덜 성숙해서 스포츠신문의 내용을 여과 없이 모두 받아들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될 수가 있다. 우리 청소년들이 폭력과 돈과 섹스를 중시하면서 쾌락만을 쫓는다면 우리의 미래는 어두워 질 것이 분명하다.
지금까지 살펴 본 것처럼 스포츠신문들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 하고 있다. 지금껏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너무 소홀히 다룬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스포츠 신문에 우리 소비자들은 적절한 대응과 견제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독자들은 앞으로 단순히 ‘쾌락을 추구하고 재미를 즐기려는 것보다 스포츠 신문에 내재되어 있는 반윤리적 가치와 성, 폭력의 남용현상에 대해 평가하고 거부해야 한다’ 라는 사회적 인식을 확산 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문제점들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항의하고 경고하는 행동으로 실천한다면 올바른 대중문화 형성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행동에 제약이 따른다면 우리는 스포츠 신문을 좀 더 비판적으로 볼 줄 아는 힘을 키워야 할 것이며 우리 모두가 그것들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한번 고찰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부와 시민단체들은 올바른 대중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이를 규제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책: ‘대중문화 더 이상 침묵 할 수 없다’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문화전략위원회
‘대중문화의 겉과 속’ / 강준만 지음 / 인물과 사상사
‘미디어 비평과 미디어 윤리’ / 강승구, 이은택 김진환 지음 / 한나래
‘스포츠 저널리즘의 바로보기’ / 최병호 저 / 홍경출판사
웹: ‘http://news.empas.com/index.html’ 엠파스 뉴스기사
→ 기본 망각한 부끄러운 저널리즘
→ 뉴스의 이니셜 보도
→ 뉴스 공인이기 앞서 한 개인인 김병현
→ 뉴스 굿데이 또 '아줌마 야설' 왜곡보도 '도마위'
→ 잿밥에만 눈 어두운 스포츠 신문
웹: ‘http://100.naver.com//100.php?id=99706’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seoul.co.kr/news/news_view.php?id=842275673’ x파일관련 기사
‘http://blog.naver.com/harloec.do?Redirect=Log&logNo=120010410505’
네이버 게시판
‘http://cafe.naver.com/cyk1997.cafe’ 네이버 언론바로알기(언바알) 카페
‘http://cafe.daum.net/worstday’ daum cafe: 안티굿데이 카페
‘http://www.pcmr.or.kr' 언론개혁 시민연대
'http://www.hrights.or.kr' 언론실천 시민연대
‘http://fairmedia.womenlink.or.kr’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1.29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8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