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속의 댄서 감상문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둠 속의 댄서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화 선택 동기

2. 영화 소개

3. 줄거리

4. 영화감독 라스 폰 트리에 1) 영화 감독 라시 폰 트리에 소개 2)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내면 3) 라스 폰 트리에와의 인터뷰... - < 인터뷰1 > - < 인터뷰2 > 4) 라스 폰 트리에의 도그마 선언 ; 도그마 95

5. 형식적인 구성 - 1) 형식과 내용의 관계 2) 장르; 극영화(멜로 드라마) + 뮤지컬 (a) 극 영화 (fiction movies) ; 고전영화(classical cinema) (b) 멜로드라마란? (c) 뮤지컬

6. 카메라 기법 - 1) 디지탈 영화 - 2) 핸드헨들 기법 (a) 카메라 이동의 종류 (b) 핸드헬드(hand-held) 샷

7. 이데올로기 - 1) 찬반양론에 담긴 이데올로기 2) 영화비판-반미,반자본 팸플릿 지나치게 작위적이나 서툰 영화 <어둠 속의 댄서> 3) 영화음악에 담긴 이데올로기

8. 음 악 - 1) 배우 겸 가수 비요크의 노래 2) 누가 뮤지컬을 행복하다 하는가(심영섭/ 영화평론가)

본문내용

은 종전의 필름 편집보다 짜르고 붙이는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노력과 시간이 절약되고 무엇보다 다양한 편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핸드헬드 기법
(a) 카메라 이동의 종류
... 감독은 네가지 주요 양식 가운데에서 카메라의 이동을 선택할 수 있다. 그것은 각각 팬pans, 틸트tilts, 크레인crane 쇼트와 달리 쇼트dolly shots다. 줌 렌즈zoom lens, 핸드 헬드 카메라 그리고 공중 쇼트aerial shots는 이 네 가지 기본방식의 변형이다. (A p.113)
카메라의 이동은 \'트랙Track\' 혹은 \'달리Dolly\' 이동법이라고 말한다. 물론 이외에도 손으로 카메라를 들고 이동하는 \'핸드 헬드Hand-held\', 손으로 들고 이동하되 전혀 흔들림이 없는 \'스테디캠Steadicam\', 공중에서 자유자재로 이동을 가능케하는 \'크레인Crane\'이동법이 있다.
이 영화에서는 주로 핸드헬드 기법을 사용했는데 핸드헨들 샷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b) 핸드헬드(hand-held) 샷
1950년대에 새롭고 가벼운 핸드헬드 카메라가 완성됨으로써 감독들은 더욱 유연하게 씬의 안팎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 원래는 기록영화 감독들로 하여금 거의 모든 장소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이 카메라는 많은 극영화 감독들에 의해서도 급속히 채택되었다.
초기의 카메라는 한 사람의 힘으로 들 수 없을 정도로 무거웠다. 그러나 점점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카메라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는 가벼워졌다(카메라가 작아지면서 필름의 폭도 좁아졌다). 이러한 소형/경량 카메라는 카메라를 삼각대에서 해방시켜, 촬영기사가 직접 카메라를 들고 촬영할 수 있도록 만들었고, 이것은 위 인용문처럼 다큐멘터리 작가들 뿐만이 아닌 극영화 감독들에게도 새로운 촬영기법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핸드헬드 카메라로 촬영된 화면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흔들림\' 이다. 카메라는 인간의 눈에 비하면 조악하기 그지없는 기계장치에 불과한다. 인간의 시각체계는 매우 정교해서 걷거나 뛸 때 눈이 흔들리더라도 흔들림을 상쇄해주지만, 카메라는 그렇지 못하다. 카메라는 조그만 떨림도 그대로 기록한다(달리, 트랙 등이 필요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악함이 영화만의 독특한 표현방법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핸드헬드 샷의 흔들림에서도 그것은 마찬가지이다. 핸드헬드의 흔들림은 관객의 눈을 꽤나 피곤하게 만들지만, 그만큼 움직임이 많아지기 때문에 긴박한 느낌을 표현하는데는 그만이다. 아주 격정적인 감정의 표현이나, 급박하게 돌아가는 상황 등은 매우 자주 핸드 헬드 샷으로 촬영된다. 여기에서 흔들림은 의도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흔들림은 눈을 아주 피곤하게 만들기 때문에 흔들림이 많은 핸드헬드 샷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핸드헬드 샷은 이러한 용도외에도 다큐멘터리적인 사실감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원래 핸드헬드 카메라는 다큐멘터리(특히 종군 기자들의 생생한 전투장면 촬영)를 위해 개발되었고, 지금도 다큐멘터리 영화들은 기동성을 위해 주로 핸드 헬드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기 때문에 핸드헬드 카메라로 촬영된 화면이 다큐멘터리적인 느낌을 주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이런 용도의 핸드헬드 샷은 전쟁영화의 전투 씬예(13-8)이나 가짜 다큐멘터리 영화(fake documentary film, 패트릭 던컨Patrick Sheane Duncan감독의 <찰리 모픽(84 Charlie Mopic)>이나 팀 로빈스Tim Robbins감독의 <밥 로버츠(Bob Roberts)>등의 영화)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프란코 제피렐리의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오는 긴 격투장면은 들고찍기롤 촬영하여 카메라를 액션에 휘말린 사람의 시점처럼 보이게 했다. <산부인과>에서는 산부인과에서 벌어지는 잡다한 사건들의 현장감을 살리기 위해서 모두 들고찍기로 찍은 것이다. <중경삼림>에서 많은 장면들, <하얀전쟁>의 전투신,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상륙 장면등이 모두 이 기법으로 촬영된 것이다.
그리고 가끔 촬영현장의 달리나 트랙을 설치하기에 너무 좁은 경우나 예산 절약을 위해 핸드헬드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는 감독의 취향에 따라 특별한 의미 없이 핸드헬드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도 더러 있다.
7.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란? 보통 개인, 집단, 계급 또는 문화의 사회적인 필요와 열망을 반영하는 사고의 본체로 정의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정치 그리고 당의 강령과 연관이 있지만, 또한 어떤 인간의 모험적 사업- 영화 만들기를 포함해서 - 에도 함축되어 일단의 가치를 뜻할 수도 있다. 사실상 모든 영화는 감독의 옳고 그름 것에 대한 감각에 기반하여 우리에게 각 역할의 모델, 이상적인 행동방식, 부정적인 특질 그리고 감추어진 도덕성을 보여준다. 간단히 말해서, 모든 영화는 편향적이다. 흡입력 있는 특정한 인물, 제도, 행위 그리고 모티브에 특권을 부여하고 , 반대하는 것들은 강등시켜 버리는 특유한 이데올로기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어둠속의 댄서는 고전주의적 양상을 띄기도 하는데 고전주의 영화의 전통은 교훈주의와 순수한 추상이라는 두 극단을 피한다. “ 고전주의 영화는 이데올로기의 복화술사 ” 라고 비평가 다니엘 데이안은 말한다, 고전주의 감독들은 “이 영상을 주문하는 사람은 누구이며 어떤 목적에서인가?” 하는 질문을 피하고 싶어하며 이들은 영화가 “스스로 말하기”를 원한다.
영화를 만드는데 이데올로기의 명시성의 정도는 세 가지의 넓은 범주로 분류되 수 있다. 중립적인 영화, 함축적인 영화, 명시적인 영화로 구분된다.
극영화 어둠속의 댄서는 함축적인 영화의 범주에 들어간다. 여기서 함축적인 영화란 주인공과 그 상대역들은 갈등하는 가치를 보여 주지만 ,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어떤인물이 그 이야기가 전개됨에 따라 무엇을 상징하는지 추측해야한다. 아무도 그 스토리의 도덕성을 설명해주지 않는다. 소재는 특별한 방향으로 기울지만 <스플래쉬><정사><귀여운여인>에서처럼 분명하고 명백한 조작은 없다.
인물은 자신들이 믿는 것에 대해서 상세하게 말하지 않기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6.12.02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9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