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30
본문내용
명지, 중경)
ㄱ. A 지역은 장마 전선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남부 지방에 위치할 것 이다.
ㄴ. B 지역은 해양의 영향을 연중 많이 받는 곳에 위치할 것이다.
ㄷ. C 지역에서 전통 가옥의 구조는 주로 폐쇄적일 것이다.
ㄹ. C 지역의 밭에서는 주로 2년 3작으로 조-밀-콩을 재배할 것이다.
① ㄱ, ㄴ② ㄱ, ㄷ③ ㄱ, ㄹ
④ ㄴ, ㄷ⑤ ㄴ, ㄹ
핵심기출문제 ………
기후 P. 21~38
1. ①
우리 나라의 위치 : A 지방과 우리 나라는 서로 비슷한 위도상에 있다.
2. ②
위치 : 우리 나라 표준시는 135°E로 런던보다 9시간이 빠르다.
3. ④
우리 나라 위치 중에서 지리적 위치를 반도가 가지는 특성과 그 영향의 측면에서 살펴보자. 반도는 해륙 관계에서 볼 때 그것이 지니는 반 분리성 때문에 분리 기능과 결합 기능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분리 기능이 강하게 작용되면 고립되기 쉽고, 결합 기능이 잘 발휘되면 그 세력을 세계 각 지역으로 떨칠 수가 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는 대륙성 기후와 몬순 기후적 특징, 대륙과 해양 간의 문화 교류, 수출 무역의 증대, 원양 어업의 발달 등에 영향을 미친다.
4. ⑤
우리 나라는 위도상으로 중위도 지역에 해당된다. 중위도라는 위치는 지구 전체의 열 수지로 볼 때, 저위도의 열과잉 지역과 고위도의 열부족 지역 사이에 해당되어, 남북 간의 열교환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곳이다. 이런 곳은 고위도의 찬 대기와 저위도의 따뜻한 대기가 만나는 전선대가 형성된다. 이 전선대는 계절에 따라 남북으로 이동하며, 또 전선대에서는 저기압이 빈번히 발생되어 통과하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는 우리 나라는 일기 변화나 해에 따른 강수 변동이 심한 편이다. 바람은 수륙 분포 때문에 여름과 겨울에 그 방향이 반대로 나타난다.
5. ⑤
우리 나라는 북반구 중위도의 대륙 동안에 위치한 반도곡이다.
6. ①
우리 나라는 33°43°N에 위치하며, 남한의 면적은 약 9.9만 ㎢이다.
7. ①
위도상의 위치-기후 분포, 식생 분포에 영향
경도상의 위치-시각을 결정, 우리 나라는 G.M.T.보다 9시간 빠르다.
8. ②
기후 요소는 기후 현상 자체를 나타내는 것이고, 기후 인자는 기후 요소의 지역차를 나타나게 하는 원인이다.
9. ⑤
남에서 북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기후 수치에는 대륙도, 연교차, 결빙 일수 등이며, 강수량과 무상 일수는 감소한다.
10. ①
우리 나라의 취치 : 인구 분포의 지역적 차이는 지형(경지 분포)의 영향
11. ②
12. ①
대구가 우리 나라의 서극인 까닭은 한여름에 미이 가열된 대기가 내륙 분지로 하강하여 푄 현상을 일으켜 기온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연중 최난월이 8월인 까닭은 북반구에서는 6월 22일 하지 때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으므로 7월은 장마와 관련하여 흐리거나 비오는 날이 많기 때문에 8월 평균 기온이 가장 높다. 중강진은 대륙도가 90에 이르며, 기온차가 44℃정도인 지역이다.
13. ②
기후 요소 중에서 기온에 의한 우리 나라 기후의 특색은 한서의 차가 큰 대륙성 기후라 할 수 있다. 지도를 통해, 여름 기온의 지역차<겨울 기온의 지역차, 겨울 기온의 동서차<겨울 기온의 남북차, 연교차(남<북, 해안<내륙) 등을 파악할 수 있다.
14. ①
㈎의 A 지역에서 등온선의 분포가 해안선에 평행한 것은 함경 산맥과 바다의 영향 때문이다. 기온의 남북차에 영향을 미친 것은 위도차이며 동서차는 여름보다 겨울이 높다.
15. ②
자료에서 강수량의 연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매년 기단, 전선, 저기압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강수량이 적을 때는 가뭄, 많을 때는 홍수가 큰 문제가 된다.
16. ③
기압의 배치 상태로 보아 ㈎는 한여름, ㈏는 겨울의 일기도이다. 기온의 일교차가 최대인 시기는 겨울이며 기온의 동서차는 여름보다 겨울에 크다. 복사 안개는 늦가을에서 초봄까지 나타난다.
17. ①
수리적 위치가 기후계절의 변화, 시간대 등에 끼친 영향, 지리적 위치가 기후 및 문화에 끼친 영향, 관계적 위치에 따른 주변국과의 역학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18. ④
19. ④
20. ②
21. ②
우리 나라는 대륙이 동안에 위치하여 서안보다 대륙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는다. 따라서 여름보다 겨울의 기온 분포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큰 편이다.
22. ②
강수에 의한 기후 특색을 이해하는 데에는 연강수량 분포의 지역차, 강수의 계절 분포, 강수의 연변동률 등에 관해 알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
23. (1) ④ (2) ③
다우지-서귀포 일대, 남해안 일대, 한강 중상류, 청천강 중상류
소우지-개마 고원 일대, 대동강 하류, 경북 내륙
24. ⑤
대륙도-대륙의 영향이 한반도에 미치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25. ④
기온의 특색-연교차는 남<북, 동해안<서해안, 해안 지방<내륙 지방이다.
26. ③
태백 산맥과 함경 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악 및 그 인접 해안 지대에서는 등온선이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겨울에 북서풍을 산지가 막아 주고, 동해에는 난류인 동한 해류가 흐르기 때문에 승온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27. ④
분지나 골짜기 지역은 야간에 지표의 기온이 급격히 낮아져, 지면 부근에 냉기류가 형성된다. 냉기류는 사면을 따라 하강하여 분지의 바닥이나 골짜기 밑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산록 지대가 아래 지역보다 기온이 더 높은 기온 역전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 산록 지대를 산목의 온난대라 한다. 이 곳은 대체로 생활과 토지 이용에 유리하다.
28. ③
북부 내륙으로 갈수록 기온의 연교차가 크게 나타나 가옥 구조가 폐쇄적이며, 김장 김치의 맛이 싱겁다. 영서의 고원 지역은 여름철에는 서늘한 고랭지 기후가 나타나 고랭지 농업이 활발하다.
29. ④
장마와 집중 호우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홍수가 나타날 수 잇으며 갈수기에는 가뭄을 겪기도 한다. 유량을 조절하고, 유로를 정비하여 홍수와 가뭄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30. ④
A, B, C 지역의 기온과 강수량의 특징을 분석하여 기후의 종합적 특징과 농업 및 가옥 구조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아야 한다.
내신문제연구소
ㄱ. A 지역은 장마 전선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남부 지방에 위치할 것 이다.
ㄴ. B 지역은 해양의 영향을 연중 많이 받는 곳에 위치할 것이다.
ㄷ. C 지역에서 전통 가옥의 구조는 주로 폐쇄적일 것이다.
ㄹ. C 지역의 밭에서는 주로 2년 3작으로 조-밀-콩을 재배할 것이다.
① ㄱ, ㄴ② ㄱ, ㄷ③ ㄱ, ㄹ
④ ㄴ, ㄷ⑤ ㄴ, ㄹ
핵심기출문제 ………
기후 P. 21~38
1. ①
우리 나라의 위치 : A 지방과 우리 나라는 서로 비슷한 위도상에 있다.
2. ②
위치 : 우리 나라 표준시는 135°E로 런던보다 9시간이 빠르다.
3. ④
우리 나라 위치 중에서 지리적 위치를 반도가 가지는 특성과 그 영향의 측면에서 살펴보자. 반도는 해륙 관계에서 볼 때 그것이 지니는 반 분리성 때문에 분리 기능과 결합 기능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분리 기능이 강하게 작용되면 고립되기 쉽고, 결합 기능이 잘 발휘되면 그 세력을 세계 각 지역으로 떨칠 수가 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는 대륙성 기후와 몬순 기후적 특징, 대륙과 해양 간의 문화 교류, 수출 무역의 증대, 원양 어업의 발달 등에 영향을 미친다.
4. ⑤
우리 나라는 위도상으로 중위도 지역에 해당된다. 중위도라는 위치는 지구 전체의 열 수지로 볼 때, 저위도의 열과잉 지역과 고위도의 열부족 지역 사이에 해당되어, 남북 간의 열교환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곳이다. 이런 곳은 고위도의 찬 대기와 저위도의 따뜻한 대기가 만나는 전선대가 형성된다. 이 전선대는 계절에 따라 남북으로 이동하며, 또 전선대에서는 저기압이 빈번히 발생되어 통과하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는 우리 나라는 일기 변화나 해에 따른 강수 변동이 심한 편이다. 바람은 수륙 분포 때문에 여름과 겨울에 그 방향이 반대로 나타난다.
5. ⑤
우리 나라는 북반구 중위도의 대륙 동안에 위치한 반도곡이다.
6. ①
우리 나라는 33°43°N에 위치하며, 남한의 면적은 약 9.9만 ㎢이다.
7. ①
위도상의 위치-기후 분포, 식생 분포에 영향
경도상의 위치-시각을 결정, 우리 나라는 G.M.T.보다 9시간 빠르다.
8. ②
기후 요소는 기후 현상 자체를 나타내는 것이고, 기후 인자는 기후 요소의 지역차를 나타나게 하는 원인이다.
9. ⑤
남에서 북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기후 수치에는 대륙도, 연교차, 결빙 일수 등이며, 강수량과 무상 일수는 감소한다.
10. ①
우리 나라의 취치 : 인구 분포의 지역적 차이는 지형(경지 분포)의 영향
11. ②
12. ①
대구가 우리 나라의 서극인 까닭은 한여름에 미이 가열된 대기가 내륙 분지로 하강하여 푄 현상을 일으켜 기온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연중 최난월이 8월인 까닭은 북반구에서는 6월 22일 하지 때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으므로 7월은 장마와 관련하여 흐리거나 비오는 날이 많기 때문에 8월 평균 기온이 가장 높다. 중강진은 대륙도가 90에 이르며, 기온차가 44℃정도인 지역이다.
13. ②
기후 요소 중에서 기온에 의한 우리 나라 기후의 특색은 한서의 차가 큰 대륙성 기후라 할 수 있다. 지도를 통해, 여름 기온의 지역차<겨울 기온의 지역차, 겨울 기온의 동서차<겨울 기온의 남북차, 연교차(남<북, 해안<내륙) 등을 파악할 수 있다.
14. ①
㈎의 A 지역에서 등온선의 분포가 해안선에 평행한 것은 함경 산맥과 바다의 영향 때문이다. 기온의 남북차에 영향을 미친 것은 위도차이며 동서차는 여름보다 겨울이 높다.
15. ②
자료에서 강수량의 연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매년 기단, 전선, 저기압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강수량이 적을 때는 가뭄, 많을 때는 홍수가 큰 문제가 된다.
16. ③
기압의 배치 상태로 보아 ㈎는 한여름, ㈏는 겨울의 일기도이다. 기온의 일교차가 최대인 시기는 겨울이며 기온의 동서차는 여름보다 겨울에 크다. 복사 안개는 늦가을에서 초봄까지 나타난다.
17. ①
수리적 위치가 기후계절의 변화, 시간대 등에 끼친 영향, 지리적 위치가 기후 및 문화에 끼친 영향, 관계적 위치에 따른 주변국과의 역학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18. ④
19. ④
20. ②
21. ②
우리 나라는 대륙이 동안에 위치하여 서안보다 대륙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는다. 따라서 여름보다 겨울의 기온 분포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큰 편이다.
22. ②
강수에 의한 기후 특색을 이해하는 데에는 연강수량 분포의 지역차, 강수의 계절 분포, 강수의 연변동률 등에 관해 알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
23. (1) ④ (2) ③
다우지-서귀포 일대, 남해안 일대, 한강 중상류, 청천강 중상류
소우지-개마 고원 일대, 대동강 하류, 경북 내륙
24. ⑤
대륙도-대륙의 영향이 한반도에 미치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25. ④
기온의 특색-연교차는 남<북, 동해안<서해안, 해안 지방<내륙 지방이다.
26. ③
태백 산맥과 함경 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악 및 그 인접 해안 지대에서는 등온선이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겨울에 북서풍을 산지가 막아 주고, 동해에는 난류인 동한 해류가 흐르기 때문에 승온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27. ④
분지나 골짜기 지역은 야간에 지표의 기온이 급격히 낮아져, 지면 부근에 냉기류가 형성된다. 냉기류는 사면을 따라 하강하여 분지의 바닥이나 골짜기 밑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산록 지대가 아래 지역보다 기온이 더 높은 기온 역전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 산록 지대를 산목의 온난대라 한다. 이 곳은 대체로 생활과 토지 이용에 유리하다.
28. ③
북부 내륙으로 갈수록 기온의 연교차가 크게 나타나 가옥 구조가 폐쇄적이며, 김장 김치의 맛이 싱겁다. 영서의 고원 지역은 여름철에는 서늘한 고랭지 기후가 나타나 고랭지 농업이 활발하다.
29. ④
장마와 집중 호우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홍수가 나타날 수 잇으며 갈수기에는 가뭄을 겪기도 한다. 유량을 조절하고, 유로를 정비하여 홍수와 가뭄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30. ④
A, B, C 지역의 기온과 강수량의 특징을 분석하여 기후의 종합적 특징과 농업 및 가옥 구조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아야 한다.
내신문제연구소
추천자료
[유아사회교육]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 정리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
[과외]고등 한국지리 2-2기후 01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못하는 여자 독후감
트랜스지방 (지방)의 섭취에 대한 영양교육 수업지도안
식품구성탑 영양교육 수업지도안(편식은 NO!!! 골고루 먹어요.)
올바른 간식습관 갖기 영양교육 수업지도안 (올바른 간식 습관을 갖자!!!)
21세기 리더들.. 세계 지도자들의 세계
1주 목요일 사회
6)사회-북아메리카와 북극권의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의 특징 알기(세안)
유아전통놀이 지도
미셸리(워싱턴 교육감)의 지도성, 리더쉽 분석
6)사회-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의 특징(세안)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과 재구성 -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