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노인이란?
1. '노인'의 개념
2.노인문제란?
ⅱ.노인문제의 발생 원인
1. 노인 인구
2. 노인의 평균수명
ⅲ. 노인주택의 필요성
1. 인구의 고령화 현상
2. 노인 주택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3.고령화사회 노인주거정책의 필요성
ⅳ. 한국 노인주택 현황과 문제점
1. 노인주택관련 현황
2. 노인주거시설 현황
3. 우리 나라 노인주거정책의 문제점
4. 우리 나라 주택구조의 문제점
5. 우리나라의 주거시설 욕구 및 선호도
ⅴ. 노인주택의 활성화 방안
1. 노인주거정책의 활성화 방안
Ⅲ. 결론
Ⅱ. 본론
ⅰ. 노인이란?
1. '노인'의 개념
2.노인문제란?
ⅱ.노인문제의 발생 원인
1. 노인 인구
2. 노인의 평균수명
ⅲ. 노인주택의 필요성
1. 인구의 고령화 현상
2. 노인 주택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
3.고령화사회 노인주거정책의 필요성
ⅳ. 한국 노인주택 현황과 문제점
1. 노인주택관련 현황
2. 노인주거시설 현황
3. 우리 나라 노인주거정책의 문제점
4. 우리 나라 주택구조의 문제점
5. 우리나라의 주거시설 욕구 및 선호도
ⅴ. 노인주택의 활성화 방안
1. 노인주거정책의 활성화 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내의 모든 부분은 노인 스스로의 힘으로 생활하는 것을 권장하는 방향으로 디자인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방안의 온도나 환기는 중앙에서 조절도하고 노인스스로도 조정하도록하는등 2중의 조정장치를 하고, 라운지의 벽에는 노인입주자가 직접 그린 그림을 걸어놓는등의 방법은 노인의 독립적인 활동을 최대한 존중하여 디자인에 반영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④ 고층 건물을 삼가할것
미국 연구에 의하면, 노인시설 입주자는 10층 이상의 고층 빌딩에 사는 것을 아주 싫어한다. 이러한 고층 빌딩에 살면 “마치 갇혀있는 것 같다”고 불평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층 건물에 살면 시설 내에서 누구를 찾아다니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특히 높은 층에 살면 바로 창밖에 이웃이 보이지 않고 까마득히 내려다보이기에 일단 공포감을 갖게 된다.
시설은 가급적 3층 이내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⑤ 가급적 좋은 전망이 바라다 보이도록 할 것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는 가급적 낭만적이고 유쾌한 감정을 자아내는 전망이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창문 밖에는 넓고 아름다운 경치나 이웃사람들 오가는 모습이 은은히 비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창밖에 컴컴한 숲이 에워싸고 있다든지 특히 묘지가 있을 경우 정서에 아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설의 창문이나 출입구 만드는 위치를 정할 때는 문 앞에 펼쳐지는 전망도 항상 고려해야 한다.
⑥ 가급적 연령분리식(age-segregated)
대규모 주거 시설은 가급적 60代, 70代, 80代등 각 연령층마다 따로 분리해서 살게 하는 것이 좋다. 각 층마다 연령별로 나누던가(예:1층은 60代, 2층은 70代 거주 구역 등으로) 혹은 wing마다 나누든가 하는 방법(예:북쪽 wing은 60代, 남쪽은 70代 거주 구역 등으로)을 통하여. 모든 연령층 노인을 아무런 층이나 wing 구별 없이 혼합해서 살게 하면 저 연령층 노인 경우 고연령 노인들의 허약한 상태를 보며 자신의 우울한 앞날을 생각하여 사기가 저하되고 특히 그런 노인들로 인한 사생활 방해를 불평하게 된다.
(7) 시각및 청각장애를 고려한 디자인
우리 나라는 물론 선진국의 어느 노인복지시설중에서도 노인의 시력이나 청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특수한 목적으로 디자인된 시설은 거의 없다. 실내장식이나 조명, 기타 거물의 디자인과 관련된 어떠한 요인으로도 노인들의 시각이 청각을 개선시킬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소한 노인주거시설의 설계및 인테리어등 여러 가지 디자인기법을 통하여 노인입주자들의 시각및 청력장애로인한 피해를 현저히 낮출 수는 있다.
▶시청각장애에의한 주거생활의 불편
미국에서 이루어진 여러 연구결과에의하면 75-79세의 노인들중 15%정도만이 안경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으며 25%만이 정상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청력을 지녔다. 그런데 한가지 중요한 것은 일반적으로 맹인이나 청각장애인으로 분류되는 사람들, 즉 걸어다닐 때 검은 안경을 쓰고 지팡이를 짚으며 전형적인 맹인의 모습을 하고 다니거나 보청기를 착용하고 다니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약간의 시력(예:밤과 낮 구별, 앞에 사람이 지나가는 것 구별등)과 청력(자동차소리, 인기척구분등)을 지녔다는 점이다. 따라서 노인주거시설 내에서 시청각장애를 가진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돌보는 사람들은 장애노인들이 전혀 듣거나 보지 못한다는 가정 하에 다소의 실수(불평이나 흉보는 일등, 무례한 행동等)라도 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할것이다.
또한여러연구결과에의하면 노인들은 두 가지 이상의 장애를동시에(multiple disabilities)가지고 있는 경우(예:시각,청각,거동불능,민첩성결여等)가 많으며 시청각장애는 전염성질환이나 고혈압,당뇨등의 순환기계통의 장애에 비해 질환의 악화진행속도가 매우 느림이 밝혀지고있다.
노인주거시설을 디자인하거나 운영하는데 지침이 되는 시청각 장애 노인의 기준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Pynoos, 1992)
①시각장애노인
독서.계산기사용등의 근거리 일(close work), 시장보기.정원관리.보행 등의 中거리 일(intermediate distance tasks), 그리고 자동차운전.자전거타기등의 遠거리 기동(distance mobility)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노인
② 청각장애노인
친구나 주위사람들과 정상적인 방법으로 대화를 나눌 수 없고 TV, 라디오 등을 시청할 수 없는 노인
③ 시청각장애노인
시각과 청각의 중복된 장애로 인하여 기억이나 학습능력이 저하되고 의사소통에있어서 반응시간이 긴 노인들, 그리고 자신의 신변안전을 지키기 힘들고 머리 위의 물건이나 땅바닥의 돌출부분에대한 구별력이 없는 노인
표4-1.노인주거시설내에서 시각이나 청각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함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애구분 일상생활의 영역 불편한 동작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시각장애 近거리 일 독서,계산능력,전화거는것,
메세지받는것, 시간 지키기,
잃은 물건 찾기, 조절기사용(온도,볼륨등),
재봉및 바느질, 장식,열기구사용,음식준비,
게임,악수
中거리 일 시장보기,정원관리,보행,장소 찾기,
사람알아보기,줄서기,세탁및 청소
遠거리 기동 운전,자전거,스포츠,위험요인인식,
물건 나르기,목욕,승하차
청각장애 대화,전화,라디오,TV,회의참석
시청각장애 문열고 닫기,자기방어,통제신호.장애물확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디자인 지침
미국의 노인주거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중 시각이나 청각장애 혹은 시청각장애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가지 실험결과는 노인주거시설의 디자인에 필요한 지침을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① 일반 노인주거시설에비해 높은 조명도를 유지하며 가급적 형광등을 사용할 것
실험에 의하면 노인들은 대부분 어느 정도의 시각이나 청각장애를 지녔으므로 일반 주거시설의 2-3배에 해당하는 조명도를 유지해야함이 밝혀진다. 특히 조
④ 고층 건물을 삼가할것
미국 연구에 의하면, 노인시설 입주자는 10층 이상의 고층 빌딩에 사는 것을 아주 싫어한다. 이러한 고층 빌딩에 살면 “마치 갇혀있는 것 같다”고 불평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층 건물에 살면 시설 내에서 누구를 찾아다니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특히 높은 층에 살면 바로 창밖에 이웃이 보이지 않고 까마득히 내려다보이기에 일단 공포감을 갖게 된다.
시설은 가급적 3층 이내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⑤ 가급적 좋은 전망이 바라다 보이도록 할 것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는 가급적 낭만적이고 유쾌한 감정을 자아내는 전망이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창문 밖에는 넓고 아름다운 경치나 이웃사람들 오가는 모습이 은은히 비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창밖에 컴컴한 숲이 에워싸고 있다든지 특히 묘지가 있을 경우 정서에 아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설의 창문이나 출입구 만드는 위치를 정할 때는 문 앞에 펼쳐지는 전망도 항상 고려해야 한다.
⑥ 가급적 연령분리식(age-segregated)
대규모 주거 시설은 가급적 60代, 70代, 80代등 각 연령층마다 따로 분리해서 살게 하는 것이 좋다. 각 층마다 연령별로 나누던가(예:1층은 60代, 2층은 70代 거주 구역 등으로) 혹은 wing마다 나누든가 하는 방법(예:북쪽 wing은 60代, 남쪽은 70代 거주 구역 등으로)을 통하여. 모든 연령층 노인을 아무런 층이나 wing 구별 없이 혼합해서 살게 하면 저 연령층 노인 경우 고연령 노인들의 허약한 상태를 보며 자신의 우울한 앞날을 생각하여 사기가 저하되고 특히 그런 노인들로 인한 사생활 방해를 불평하게 된다.
(7) 시각및 청각장애를 고려한 디자인
우리 나라는 물론 선진국의 어느 노인복지시설중에서도 노인의 시력이나 청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특수한 목적으로 디자인된 시설은 거의 없다. 실내장식이나 조명, 기타 거물의 디자인과 관련된 어떠한 요인으로도 노인들의 시각이 청각을 개선시킬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소한 노인주거시설의 설계및 인테리어등 여러 가지 디자인기법을 통하여 노인입주자들의 시각및 청력장애로인한 피해를 현저히 낮출 수는 있다.
▶시청각장애에의한 주거생활의 불편
미국에서 이루어진 여러 연구결과에의하면 75-79세의 노인들중 15%정도만이 안경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으며 25%만이 정상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청력을 지녔다. 그런데 한가지 중요한 것은 일반적으로 맹인이나 청각장애인으로 분류되는 사람들, 즉 걸어다닐 때 검은 안경을 쓰고 지팡이를 짚으며 전형적인 맹인의 모습을 하고 다니거나 보청기를 착용하고 다니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약간의 시력(예:밤과 낮 구별, 앞에 사람이 지나가는 것 구별등)과 청력(자동차소리, 인기척구분등)을 지녔다는 점이다. 따라서 노인주거시설 내에서 시청각장애를 가진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돌보는 사람들은 장애노인들이 전혀 듣거나 보지 못한다는 가정 하에 다소의 실수(불평이나 흉보는 일등, 무례한 행동等)라도 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할것이다.
또한여러연구결과에의하면 노인들은 두 가지 이상의 장애를동시에(multiple disabilities)가지고 있는 경우(예:시각,청각,거동불능,민첩성결여等)가 많으며 시청각장애는 전염성질환이나 고혈압,당뇨등의 순환기계통의 장애에 비해 질환의 악화진행속도가 매우 느림이 밝혀지고있다.
노인주거시설을 디자인하거나 운영하는데 지침이 되는 시청각 장애 노인의 기준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Pynoos, 1992)
①시각장애노인
독서.계산기사용등의 근거리 일(close work), 시장보기.정원관리.보행 등의 中거리 일(intermediate distance tasks), 그리고 자동차운전.자전거타기등의 遠거리 기동(distance mobility)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노인
② 청각장애노인
친구나 주위사람들과 정상적인 방법으로 대화를 나눌 수 없고 TV, 라디오 등을 시청할 수 없는 노인
③ 시청각장애노인
시각과 청각의 중복된 장애로 인하여 기억이나 학습능력이 저하되고 의사소통에있어서 반응시간이 긴 노인들, 그리고 자신의 신변안전을 지키기 힘들고 머리 위의 물건이나 땅바닥의 돌출부분에대한 구별력이 없는 노인
표4-1.노인주거시설내에서 시각이나 청각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함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장애구분 일상생활의 영역 불편한 동작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시각장애 近거리 일 독서,계산능력,전화거는것,
메세지받는것, 시간 지키기,
잃은 물건 찾기, 조절기사용(온도,볼륨등),
재봉및 바느질, 장식,열기구사용,음식준비,
게임,악수
中거리 일 시장보기,정원관리,보행,장소 찾기,
사람알아보기,줄서기,세탁및 청소
遠거리 기동 운전,자전거,스포츠,위험요인인식,
물건 나르기,목욕,승하차
청각장애 대화,전화,라디오,TV,회의참석
시청각장애 문열고 닫기,자기방어,통제신호.장애물확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디자인 지침
미국의 노인주거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중 시각이나 청각장애 혹은 시청각장애를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가지 실험결과는 노인주거시설의 디자인에 필요한 지침을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① 일반 노인주거시설에비해 높은 조명도를 유지하며 가급적 형광등을 사용할 것
실험에 의하면 노인들은 대부분 어느 정도의 시각이나 청각장애를 지녔으므로 일반 주거시설의 2-3배에 해당하는 조명도를 유지해야함이 밝혀진다. 특히 조
추천자료
노인복지시설의 필요성과 현황, 유형, 관련법, 문제점 및 개선방향과 과제
노인취업의 필요성, 현황,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과 성공적인 취업사례에 관해 논하시오.
[노인교육][평생학습][노인복지][평생교육][한국노인교육]노인교육의 목표, 노인교육의 필요...
노인 자살의 발생 원인 및 예방책
[인구고령화]인구 고령화 문제의 원인과 의미, 인구고령화 추세에 따른 노인복지정책의 문제...
[노인교육][프랑스 노인교육 사례]노인교육의 개념, 노인교육의 필요성, 노인교육의 내용, 노...
노인 여가시간의 증가 현상과 노인 여가활동의 필요성, 우리나라 노인 여가활동의 문제점, 우...
노인부부세대와 자녀동거세대의 발생배경 및 문제점을 기술하고, 두 세대의 특징, 욕구, 사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바우처제도를 비교하여 발생배경, 의의, 현황,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
[★★평가우수자료★★][노인老人경제, 사회복지정책] 노인경제안정의 필요성, 노인경제안정의 현...
[노인복지의 모든 것] 노인복지 의의, 노인복지 필요성, 노인복지 제도, 노인복지 행정, 노인...
인구 고령화의 원인과 현황을 파악하고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과 대책에 대해 논의하시오[노인...
[노인의 성문제] 노인의 성문제 해결방안 ; 노인의 성의 특징과 필요성 분석
노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기록하고 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정책을 소개하고 이를 발전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