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국내 물류기업 사례
1. (주)한진
2. 현대택배
Ⅲ. 국내 물류 환경
Ⅳ. 외국 기업 사례
1. TNT
2. UPS
Ⅴ. 물류 선진국가의 환경
Ⅵ. 우리기업이 나아갈 방향
Ⅶ. 결 론
※참고문헌
Ⅰ. 서 론
Ⅱ. 국내 물류기업 사례
1. (주)한진
2. 현대택배
Ⅲ. 국내 물류 환경
Ⅳ. 외국 기업 사례
1. TNT
2. UPS
Ⅴ. 물류 선진국가의 환경
Ⅵ. 우리기업이 나아갈 방향
Ⅶ.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환 시스템을 통해 처리하며 세관망, 기업망, 공급망과 연계하여 작동된다. 스키폴공항은 유럽에서 가장 훌륭한 공함으로 꼽히는 곳으로 2000년 여객처리실적이 4,000만명(세계10위)에 이른다. 항만과 공항은 유럽각지의 항구와 주요소기, 도로, 철도, 운하 등을 이용하여 거미줄같은 연계운송망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전문화되고 시장지향적인 정부의 물류정책을 통해 유럽 최고수준의 외국인 투자 및 기업 활동 여건을 조성해 놓았다. 투자진흥청을 중심으로 외국기업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실시하며 국제물류협의회를 통한 전문적인 물류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고, 유럽물류센터 설립을 희망하는 외국기업에 대한 Total Service를 제공하여 많은 외국 기업을 끌어들이고 있다. 즉 자국기업의 국제경쟁력은 물론 과감한 대외개방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장기적인 비전하에 급진적이기 보다는 점진적인 방식으로 인력, 정책, 제도의 선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외국어교육 중심의 인력을 육성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결과 로테르담항은 유럽 수입물량의 30%를 수출 물량의 65%를 취급하는 명실상부한 유럽의 관문이자 유럽 최대의 물류 중심지인 Gateway to Europe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하였다. 또한 세계적 기업의 유럽물류기지 유치에 성공하여 유럽에 물류센터를 설립한 총 611개의 미국기업 중 348개사(57%)를, 344개의 아시아 기업 중 56%에 달하는 193개사를 네덜란드에 유치할 수 있었다.
2.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작은 도시 국가이다 보니 협소한 국토, 적은 인구, 빈약한 자원등의 열악한 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국가 생존전략 차원에서 물류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높은 무역의존도를 바탕으로 일찍부터 물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럽과 아시아를 연계하는 지리적 장점과 과거 여러 번의 식민지 경험과 같은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개방 잠재성을 지니고 있는 국가이다.
물류인프라를 착실히 구축해 가나 현재 싱가포르항은 컨테이너 터미널 34선석, 연간처리능령 1,890만 TEU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역장비의 현대화와 하역시스템 자동화로 운영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Passir Panjung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우 컨테이너 처리를 사무실에서 리모톤으로 6개의 크레인을 동시에 조작가능하게 만들어 놓는 등 완전 자동화를 시현하고 있다.
항만을 중심으로 물류난지, 공항 등을 집중 개발하고 배치하여 각 시설의 기능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전략으로 접근한다. 즉, 서울시 규모의 작은 면적에 항만, 공한, 7개의 자유무역지역 등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연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보화정책을 정부의 주요시책으로 추진하여 1991년에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EDI)의 사용을 의무화하였고 TradeNet(무역망), portNet(항만망)등을 국내망과 연계하여 무역관련 서류 및 통관절차를 간소화하여 항공화물은 2~3일이 걸리던 것을 15분으로 단축하는 초고속 통관을 구현하였다. 1992년에는 IT2000프로젝트로 IT 기초인프라를 구축하였고, 1996년에는 Singapore One라하여 전국의 가정, 학교, 기업, 정부를 초고속 광대역 통신망으로 연결하였으며, 2000년에는 Infocomm21으로 도로, 해운, 항만, 공항 등 모든 인프라의 정보화를 추진하였다.
아시아 최고 수준의 투자여건과 정부의 적걱적인 유치 노력으로 전세계 69개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싱가포르의 법인세율(20%)는 조사 대상국 중 9전째로 낮은 수준이며 아시아지역에서는 홍콩(17.5%)에 이어 2번째로 낮은 국가가 되었다. 현재 6,000개 외국기업이 활동을 하고 잇으며 연간 총투자의 70%가 외국인 투자로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역사적 배경상 영어를 대다수의 국민이 사용하고 국민의 77%가 화교이므로 영어와 중국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싱가포르는 1,000여개의 국제물류기업을 유치하는 등 동남아 최대의 물류거점으로서 아이사의 관문이라는 위상을 정립하였다.
3. 일본
일본은 전지산업, 장동차 산업 등 첨단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구조 하에서 수출 중심의 제조부문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물류합리화 정책의 추진이 필요하였다. 이에 1960년대부터 물류경쟁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물류근대화 정책을 추진하였고, 70년대에는 자원제약을 고려한 효율성 위주의 수송체계를 구축의 일환으로 철도, 해운으로의 수송 전환, 물류시설간의 유기적 협합 및 거점 정비를 추진하였다. 80년대에는 장기적은 전망에 입각한 종합운송체계 구축에 주안점을 두고 효율적 물류체계 및 자원절약과 저공해형 물류체계 형성을 지향하고 국철화물운송체계의 재편성을 통해 간선물류망을 개성하였다. 90년대 들어 정보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세계무역의 자유화로 에너지 절약과 환경중심 정책이 정착하여 물류거점의 정비에 주안점을 맞추게 된다. 90년대 중반 이후 화주기업의 물류요구가 다양화되고 고도화되면서 물류분야에 대한 아웃소싱이 증대되는 경향에 따라 정부차원의 제3자물류사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0년대 이후 물류분야에 있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동 육성을 통한 산업구조 합리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였다.
(표2) 일본의 물류정책 관련 주요 내용
년 도
주요 발표 내용
세부 내용
1965
물류근대화정책 방향 확립
-민관일체의 조정체계구축, 기술전보의 촉진, 각종유통시설의 확충과 정비
운수백서
-물류비용의 중요성 지적
1967
경제사회개발계획
-기초인프라 정비 및 확충, 물류근대화 시책 제시
1969
신 전국종합개발계획
-대규모 유통센터 건설 촉진, 기초자재의 유통 가공기지 및 유통망 정비, 대도시 물류기능 재편, 일관유통 시스템촉진 등
1970
신 경제사회발전계획
-물류 근대화 방향 제시 : 현동일관수송의 추 진, 사회간접자본 확충, 창고와 배송센터의 근대화 추진 등
1971
물류시스템화의 기본방향
-물류시책 제시 : 물류네트워크 정비 및 컨테 이너 수송체계 정비 추진 등
각 부처의 시책 발표
-운수성 : 공장수송, 공동화물 수납시설, 공동 택배의 시스템화
-통산성 : 수배송 공
또한 전문화되고 시장지향적인 정부의 물류정책을 통해 유럽 최고수준의 외국인 투자 및 기업 활동 여건을 조성해 놓았다. 투자진흥청을 중심으로 외국기업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실시하며 국제물류협의회를 통한 전문적인 물류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고, 유럽물류센터 설립을 희망하는 외국기업에 대한 Total Service를 제공하여 많은 외국 기업을 끌어들이고 있다. 즉 자국기업의 국제경쟁력은 물론 과감한 대외개방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장기적인 비전하에 급진적이기 보다는 점진적인 방식으로 인력, 정책, 제도의 선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외국어교육 중심의 인력을 육성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결과 로테르담항은 유럽 수입물량의 30%를 수출 물량의 65%를 취급하는 명실상부한 유럽의 관문이자 유럽 최대의 물류 중심지인 Gateway to Europe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하였다. 또한 세계적 기업의 유럽물류기지 유치에 성공하여 유럽에 물류센터를 설립한 총 611개의 미국기업 중 348개사(57%)를, 344개의 아시아 기업 중 56%에 달하는 193개사를 네덜란드에 유치할 수 있었다.
2.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작은 도시 국가이다 보니 협소한 국토, 적은 인구, 빈약한 자원등의 열악한 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국가 생존전략 차원에서 물류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높은 무역의존도를 바탕으로 일찍부터 물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럽과 아시아를 연계하는 지리적 장점과 과거 여러 번의 식민지 경험과 같은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개방 잠재성을 지니고 있는 국가이다.
물류인프라를 착실히 구축해 가나 현재 싱가포르항은 컨테이너 터미널 34선석, 연간처리능령 1,890만 TEU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역장비의 현대화와 하역시스템 자동화로 운영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Passir Panjung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우 컨테이너 처리를 사무실에서 리모톤으로 6개의 크레인을 동시에 조작가능하게 만들어 놓는 등 완전 자동화를 시현하고 있다.
항만을 중심으로 물류난지, 공항 등을 집중 개발하고 배치하여 각 시설의 기능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전략으로 접근한다. 즉, 서울시 규모의 작은 면적에 항만, 공한, 7개의 자유무역지역 등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연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보화정책을 정부의 주요시책으로 추진하여 1991년에는 전자문서교환시스템(EDI)의 사용을 의무화하였고 TradeNet(무역망), portNet(항만망)등을 국내망과 연계하여 무역관련 서류 및 통관절차를 간소화하여 항공화물은 2~3일이 걸리던 것을 15분으로 단축하는 초고속 통관을 구현하였다. 1992년에는 IT2000프로젝트로 IT 기초인프라를 구축하였고, 1996년에는 Singapore One라하여 전국의 가정, 학교, 기업, 정부를 초고속 광대역 통신망으로 연결하였으며, 2000년에는 Infocomm21으로 도로, 해운, 항만, 공항 등 모든 인프라의 정보화를 추진하였다.
아시아 최고 수준의 투자여건과 정부의 적걱적인 유치 노력으로 전세계 69개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싱가포르의 법인세율(20%)는 조사 대상국 중 9전째로 낮은 수준이며 아시아지역에서는 홍콩(17.5%)에 이어 2번째로 낮은 국가가 되었다. 현재 6,000개 외국기업이 활동을 하고 잇으며 연간 총투자의 70%가 외국인 투자로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역사적 배경상 영어를 대다수의 국민이 사용하고 국민의 77%가 화교이므로 영어와 중국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싱가포르는 1,000여개의 국제물류기업을 유치하는 등 동남아 최대의 물류거점으로서 아이사의 관문이라는 위상을 정립하였다.
3. 일본
일본은 전지산업, 장동차 산업 등 첨단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구조 하에서 수출 중심의 제조부문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물류합리화 정책의 추진이 필요하였다. 이에 1960년대부터 물류경쟁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물류근대화 정책을 추진하였고, 70년대에는 자원제약을 고려한 효율성 위주의 수송체계를 구축의 일환으로 철도, 해운으로의 수송 전환, 물류시설간의 유기적 협합 및 거점 정비를 추진하였다. 80년대에는 장기적은 전망에 입각한 종합운송체계 구축에 주안점을 두고 효율적 물류체계 및 자원절약과 저공해형 물류체계 형성을 지향하고 국철화물운송체계의 재편성을 통해 간선물류망을 개성하였다. 90년대 들어 정보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세계무역의 자유화로 에너지 절약과 환경중심 정책이 정착하여 물류거점의 정비에 주안점을 맞추게 된다. 90년대 중반 이후 화주기업의 물류요구가 다양화되고 고도화되면서 물류분야에 대한 아웃소싱이 증대되는 경향에 따라 정부차원의 제3자물류사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0년대 이후 물류분야에 있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동 육성을 통한 산업구조 합리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였다.
(표2) 일본의 물류정책 관련 주요 내용
년 도
주요 발표 내용
세부 내용
1965
물류근대화정책 방향 확립
-민관일체의 조정체계구축, 기술전보의 촉진, 각종유통시설의 확충과 정비
운수백서
-물류비용의 중요성 지적
1967
경제사회개발계획
-기초인프라 정비 및 확충, 물류근대화 시책 제시
1969
신 전국종합개발계획
-대규모 유통센터 건설 촉진, 기초자재의 유통 가공기지 및 유통망 정비, 대도시 물류기능 재편, 일관유통 시스템촉진 등
1970
신 경제사회발전계획
-물류 근대화 방향 제시 : 현동일관수송의 추 진, 사회간접자본 확충, 창고와 배송센터의 근대화 추진 등
1971
물류시스템화의 기본방향
-물류시책 제시 : 물류네트워크 정비 및 컨테 이너 수송체계 정비 추진 등
각 부처의 시책 발표
-운수성 : 공장수송, 공동화물 수납시설, 공동 택배의 시스템화
-통산성 : 수배송 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