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R3와 KCR4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KCR3와 KCR4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목록의 정의
2. 목록규칙의 정의

Ⅱ. 본론
1. 한국목록규칙의 변화과정
⑴ 서양식목록규칙 도입이전
⑵ 한국목록규칙 간행이전
⑶ 한국목록규칙 초판
⑷ 한국목록규칙 2판
⑸ 한국목록규칙 3판
⑹ 한국목록규칙 4판
2. KCR3과 KCR4의 특징
⑴ KCR3판의 특징
⑵ KCR4판의 특징
3. KCR3과 KCR4의 비교
⑴ 주요명칭과 용어비교
⑵ KCR3.1과 KCR4의 비교

Ⅲ. 결론

본문내용

al.’을 각괄호([])로 묶어 표시한다.
③ 판사항
KCR4에서는 복제본의 으뜸정보원에 영인판(본) 또는 복사판(본)임을 나타내는 어구가 있을 경우, 이를 판표시로 기술한다. 반면에 KCR3.1에서는 으뜸정보원의 판표시에 그것이 영인판(본) 또는 복사판(본)임을 나타내는 어구가 있을 경우 이를 판사항 자리에 기재하지 아니하고 주기사항에 기술한다. 만약 그 도서의 표제면상에 영인본 또는 복사본임을 나타내는 어귀가 서명의 바로 앞 또는 바로 뒤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잡제를 보고 서명 다음에 적는다. 너무 긴 경우에는 이를 주기사항에 기입한다.
④ 발행사항
ⓐ 발행지, 배포지 : KCR4에서는 하나의 발행처에 둘 이상의 발행지명이 표시된 경우에는 중요하게 기재되었거나 맨 처음에 표시된 발행지명을 기재한다. 외국지명이 먼저 기재되어 있고 우리나라의 지명이 그 다음에 기재된 것은 첫 번째 발행지에 이어 우리나라의 지명을 병기한다. 이밖에 복수의 상이한 언어로 기재된 발행지명은 본문의 언어와 일치하는 발행지를 기재한다. 반면에 KCR3.1에서는 서양서의 경우는, 미국외의 지명이 맨 처음에 나오고 미국의 것이 두 번째 이하에 나오는 것은 그 첫 번째 것이 한국 것인 경우를 제외하고 첫 번째 발행지에 이어 미국의 것을 부기해 준다.
ⓑ 발행처, 배포처 : KCR4에서는 발행처명이 표제와 책임표시사항에 포함된 경우에는 발행처명을 반복해서 기술해 준다. 반면에 KCR3.1에서는 ‘동’으로 대신해서 ‘동협회’와 같이 축약하거나 약칭으로 기재해 준다. 축약을 요하는 발행서명이 서양인명일 경우에는 名부분을 두문자로 줄여 기재해준다.
⑤ 총서사항
KCR4에서는 총서의 본표제는 기술대상 자료에 기재된 형식 그대로 (한국식물도감) 야생화: 4)와 같이 원괄호(())로 묶어 본표제의 기술방식에 따라 기술한다. 반면에 KCR3.1에서는 (한국식물도감 야생화: 4)와 같이 기술한다.
⑥ 주기사항
ⓐ 학위논문주기 : KCR4에서는 동양서의 경우, “학위논문(석사) - 전주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6”과 같이 기재하며, 서양서의 경우는 ‘Thesis'란 어구 다음에 'M.A.' 또는 ‘Ph.D’ 등의 학위명의 약칭(만약 이들 약칭이 부적합할 경우에 완전철자를 써준다)을 원괄호 (())로 묶어 부기한다. 반면에 KCR3.1에서는 동양서의 경우, 학위명칭에 ‘학위논문’이란 말을 덧붙여인 다음 학위수여대학교명과 수여년을 붙임표(-)를 앞세워 부기하고, 서양서의 경우는 영어로 ‘Thesis'란 어구 다음에 'M.A.' 또는 ‘Ph.D’ 등의 학위명의 약칭(만약 이들 약칭이 부적합할 경우에 ‘doctoral’ 등의 완전철자)을 붙임표(-)로 묶어 부기하고, 다시 학위수여대학교명과 수여년을 붙임표(-)를 앞세워 부기한다.
ⓑ 내용주기 : KCR4에서는 용어와 구두점이 변경되었다. 즉 ‘내용’ 또는 ‘불완전내용’ 또는 ‘부분내용’ 이란 표출어를 앞세워 주기한다. 그리고 구두점은 각 표제와 책임표시의 단위사이는 붙임표(--)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반면에 KCR3.1에서는 ‘목차’ 또는 ‘주요목차’ 또는 ‘부분목차’란 표출어를 사용하며, 구두점은 각 표제와 책임표시 사이는 온점(.)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 부록에 관한 주기 : KCR4에서는 ‘권말부록’ 또는 ‘별책부록’이란 표출어를 앞세워 주기한다. 별책부록일 경우에는 ‘모체본’이라는 어구를 앞세워 주기한다. 반면에 KCR3.1에서는 ‘부록’이라는 표출어를 앞세워 기술하며, 별책으로 나온 것은 이를 딸림자료로 보아 그 규정에 따라 기술하며, 같은 책안에 붙어있는 것일지라도 그것이 정형적 기술부에 적힌 서명이 아닌 독립적 별개의 저작일 경우에는 이를 합철물로 보아 기술한다.
⑦ 표준번호 및 입수조건사항
KCR4에서는 KCR3.1에서 사용하던 ‘서적번호 구득조건사항’명이 새로 변경되었고 기술요목도, 표준번호, 등록표제, 입수조건표시를 바뀌었다. 가격표시는 KCR3.1에서는 : 6000원(특가12000원) 과 같이 기재하던 것을 KCR4에서는 : \6000 (특가\12000) 과 같이 한국자료의 화표 단위명칭이 다르게 기재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목록과 목록규칙의 정의. 한국목록규칙의 변화과정, 그리고 KCR3와 KCR4의 특징을 KCR3와 KCR4의 단행본 규칙들을 비교해 보았다. KCR4는 KCR3의 한계점들을 보완수정하고 단행본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목록규칙이다. 끝으로 한국목록규칙 4판의 중요한 몇 가지 유용성을 말한 후 끝맺겠다. KCR4는 첫째, 저록에 포함되는 책임표시의 수에 원칙적으로 제한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접근점을 확대하여 검색성을 제고하였다. 둘째, 기술 대상자료의 유형을 제시하여 이용의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목록 이용자로 하여금 자료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였다. 셋째, 자료의 서지적 특성을 제시하는 기술사항을 추가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특정 자료의 간행상의 특성이나 기타 특이 사항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단행본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 목록규칙이다. 다섯째, 접근점의 선정과 형식을 전거에서 처리하도록 미루어 목록의 유용성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적어도 각종 접근점의 형식에 대해서 만이라도 표준적인 모델을 목록규칙에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통일표목의 개념을 배제함으로써 목록의 유용성보다는 편목자의 편의성만을 고려하였다. 음악 녹음자료와 같은 특정한 유형의 자료에 있어서는 목록 이용자의 검색성을 고려한 접근점의 확대라는 차원에서 적어도 통일표제의 개념만이라도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도태현. 2000. 한국의 목록규칙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1954년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31(2): 139-167.
강미혜. 2004. KCR4와 KCR3.1의 단행본관련 목록규칙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38(3): 141-157.
이창수. 2006. 한국목록규칙 4판에 반영된 목록의 유용성.「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36(3): 137-148.
이경호, 김정현. 2005. “자료목록법”.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키워드

KCR3,   KCR4,   목록규칙,   역사,   비교,   KCR3.1,   한국목록규칙,   목록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2.07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0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